Emotional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for Children's Rec-Education Space

어린이 놀이학습공간 실내디자인의 감성적 특성

  • 신선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이규백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실내공간디자인)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08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termine the emotional design on domestic rec-education space, in order to propose a way to design children rec-education space. A study is on reviewing needs and verify categories of emotional design through interior design of rec-education space, A study procedure will begin with theoretical proofing of children rec-education and move on to needs of emotional design in interior design and types of analysis for it. With this procedure, we will project adequate way for emotional characteristics in rec-education space and will analyze types of it from interior design of rec-education space in nine different domestic brands. With this background, we like to present methods and reveal characteristics of it. The conclusion on this study is described as followed. First, children rec-education space has positively carried type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continuity, and symbolism. Second, Some precondition; application through types of pattern, experimentation on light in space, continuity on linear interior space composition, symbolism in abstract implementation, and physical control over designed subject, has low effectiveness on creating emotional space by applying such scale matters. Third, the actual interior design subject matters and supporting facilities' textural accommodation is inadequately built for their majority, children, whether it is direct or indirect for contact. Forth, Even though to carry emotional space needs some kinds of story telling and prerequisite sequential space composition, there are lack of applicable space compositions. For this reason, it needs on going study in emotional space for children rec-education space. Last, there are needs for researching a depth understanding and presen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rior design by brand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2. 김미지자, 감성공학, 디자인 오피스, 1998
  3. 나까마찌미쥬오, 감성공학, 김영민 역, 울산대학교출판부, 1994
  4. 오영근, 건축.감성디자인의 언어, 시공문화사, 2002
  5. 이영화, 건축과 회화로 보는 감성 공간사, 한불문화출판, 2001
  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이성 그 너머의 감성공간디자인, 기문당, 2009
  7. 곽은주, 놀이학습 프로그램이 공감감각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 김지이, 국내 사무공간의 공용공간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9. 김춘길, 현대 오피스 공간 디자인의 감성적 접근에 관한 연구, 경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박수정, 이토 도요 공간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호서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1. 윤정미, 현대 주거공간 디자인의 감성적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이주현, 어린이 인지발달에 따른 놀이 공간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장인경, 현대 상업 실내 공간에 나타난 감성 디자인의 도입성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4. 하세강, 국내 어린이 병원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5. 한인호, 현대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자연요소의 감성적 표현과 인지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 홍규리, 여성전문병원 로비공간의 감성적 실내디자인 적용방법과 실태에 관한 연구, 울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홍유정,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감성적 표현에 관한 연구: 국내아파트의 엠블럼(emblem)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8.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권 2호 통권 43호, 2004
  19. 이미경, 테마파크 환경연출기법에 있어서 감성적 경향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통권38호, 2004
  20. http://www.bewegung.co.kr/
  21. http://www.gymboree.co.kr/
  22. http://www.i-crada.com/
  23. http://www.i-gaem.com/
  24. http://www.ischule.co.kr/
  25. http://www.kids-doctor.co.kr/
  26. http://www.kinderschule.co.kr/
  27. http://www.totovill.com/
  28. http://www.wizislan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