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ndency and Future Study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Research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동향: 성과와 과제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0.11.10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study trend and achievement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troduced to Korea in 1996 and recently started to be discussed a lot, and to state the problems and future development. Data related to recreation specialization were collected by using the database of KISS and RISS and 34 studie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type I-introduction and proposal, type T-study tendency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foreign countries, type U-quantitative studies using uni-dimensional approach to recreation specialization, type M-quantitative studies us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recreation specialization, type Q-qualitative studies, and type S-variable relations using SEM. One of the problems found in the studies is that recreation specialization is still analyzed by using uni-dimensional approach to recreation specialization. Second, measures directly translated from foreign studies need to be verified the validity. In addition, domestic studies tend to simply follow foreign studies. Lastly, the studies lack variety(diversity)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ers. The authors of this study argue that researchers must develop measures appropriate to Korean culture and diversify the research subjects and study methods.

이 연구는 1996년 한국에 소개된 이후 최근 활발히 연구되기 시작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연구동향 및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수행의 문제와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ISS와 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관련 연구를 수집하였으며, 총34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I형(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소개 및 제언 연구), T형(해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동향 연구), U형(단일차원 분석을 이용한 양적연구), M형(다차원 분석을 이용한 양적연구), Q형(질적연구), S형(구조모형을 이용한 변인간의 관계연구)의 6개 연구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까지도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단일차원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해외에서 개발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를 그대로 번안해서 사용하고 있어 그 타당성의 검증이 필요하다. 셋째, 해외의 연구흐름을 답습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연구방법과 연구자들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이에 따른 추후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에 적합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의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연구대상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영, 요가 수행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체험에 관한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김동환, 박보현, 이연주, “스노우스포츠 상급자의 스포츠 재미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4권, 제3호, pp.105-114, 2010.
  3. 김영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이론에 측정에 대한 고찰”, 체육연구, 제19권, 2003.
  4. 류성옥, 오치옥,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장소 애착의 관계: 미국 텍사스주 낚시 참가자를 대상으로”, 관광연구논총, 제20권, 제2호, pp.3-22, 2008.
  5. 박세혁,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측정방법 제안”, 한국체육학회, 국제 스포츠과학 학술대회자료집, pp.756-763, 1996.
  6. 박세혁, “사회체육소비자의 전문화 정도에 따른 마케팅 전략”, 한국사회체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106-116, 1997.
  7. 박세혁, “모험스포츠 모형 개발 및 분석을 위한 연구방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19권, pp.105-118, 2000.
  8. 박세혁, “여가스포츠 소비자들의 상이한 레크리에이션전문화 정도: 시장세분화 함의”,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4호, pp.423- 432, 2001.
  9. 송영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서 제약과 촉진의 의미 분석”, 관광학연구, 제34권, 제3호, pp.237-260, 2010.
  10. 원형중, 이승민, 박수정, “여가중심사회를 위한 여가교육”,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1호, pp.617-626, 2007.
  11. 윤영선, 박동규, 양재혁, “수상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전문화수준, 위험지각 및 만족도와의 인과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1권, 제3호, pp.63-77, 2007.
  12. 이광수, “모험스포츠 참여자의 전문화와 환경태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5권, pp.657-664, 2005.
  13. 이승철,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스포츠센터에 대한 태도,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2호, pp.237-244, 2003.
  14. 이승철, “스키어의 전문화와 스포츠 몰입, 미래의 행동의도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5호, pp.411-417, 2003.
  15. 이연주, “여가활동전문화의 연구동향과 추후 연구 방향”, 스포츠과학리뷰, 제1권, 제2호, pp.93-110, 2007.
  16. 이연주, “배드민턴 참가자들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여가정체성 및 행복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1권, 제4호, pp.19-30, 2007.
  17. 이연주, 조보성, “이석훈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여가활동 전문화와 스포츠재미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7권, 제3호, pp.377-386, 2008.
  18. 이영진, 김지선, 박미숙, “관람자 유형에 따른 관광박람회 관람 특성 분석: 전문화 수준에 따른 시장세분화”, 관광연구논총, 제22권, 제1호, pp.165-185, 2010.
  19. 이진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55-466, 2003.
  20. 이진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recreation specia-lization) 연구: 미국의 연구동향과 국내 연구방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28권, pp.67-78, 2005.
  21. 이진형,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역동성에 대한 연구: 탐조객에 대한 패널연구”, 관광학연구, 제29권, 제2호, pp.235-254, 2005.
  22. 이철원, 웰빙을 원한다면 여가를 경영하라, 도서출판 이치, 2005.
  23. 임승현, 조혁준, “테니스 동호인의 여가활동 전문화가 스포츠재미, 미래행동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79-189, 2010.
  24. 전상완, 배광열, 홍이수, “배드민턴 동호인의 여가활동 전문화가 스포츠 재미와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7권, pp.1709-1722, 2009.
  25. 정명희, 김남조, “모험성 레크리에이션의 통제소재와 전문화 및 위험지각의 관계: 스쿠버다이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0권, 제4호, pp.27-46, 2006.
  26. 주영환, “레저시장 세분화를 위한 전문화컨셉 활용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9권, pp.179-196, 1997.
  27. 주영환, 손대현, “스키 이용객의 행동특성에 따른 마케팅 전략”, 관광연구논총, 제9권, pp.272-299, 1998.
  28. 최성범, “스쿠버 다이버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장소귀속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3권, 제3호, pp.131-142, 2009.
  29. 황선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서비스 품질, 투자비용 및 기술 수준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4호, pp.387-395, 2009.
  30. 황선환, “스키어들의 여가활동 참가정도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진지한 여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40권, pp.811-819, 2010.
  31. 황선환, “대학생의 여가 동기 유형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4권, 제2호, pp.47-57, 2005.
  32. 황선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여가동기, 여가제약 및 협상전략의 관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체육학회지, 제49권, 제3호, pp.303-312, 2010.
  33. 황선환, 원도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스키리조트 선택요인 분석”, 체육과학연구, 제19권, 제3호, pp.96-105, 2009.
  34. 황선환, 이문진,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스키어를 대상으로”, 한국체육학회지, 제46권, 제6호, pp.393-402, 2009.
  35. 황선환, 최홍석, 한승진, “여가제약, 여가제약 협상 및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스키어를 중심으로”, 체육과학연구, 제21권, 제1호, pp.974-983, 2010.
  36. K. S. Bricker and D. L. Kerstetter, "Level of specialization and place attachment: An exploratory study of whitewater recreationists," Leisure Sciences, Vol.22, pp.233-257, 2000. https://doi.org/10.1080/01490409950202285
  37. H. Bryan, "Leisure value systems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The case of trout fisherme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9, pp.174-187, 1977. https://doi.org/10.1080/00222216.1977.11970328
  38. H. Bryan, Conflict in the great outdoors, The Birmingham Publishing Co., 1979.
  39. W. R. Borg and M. D. Gall, Educational research, Longman, 1983.
  40. M. P. Donnelly, J. J. Vaske, and A. R. Graefe, "Degree and range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oward a typology of boating related activ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8, pp.81-95, 1986. https://doi.org/10.1080/00222216.1986.11969648
  41. W. F. Kuentzel and C. D. McDonald, "Differential effects of past experience, commitment, and lifestyle dimensions on river use specializ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4, No.3, pp.269-287, 1992. https://doi.org/10.1080/00222216.1992.11969893
  42. J. Lee and D. Scott, "Measuring birding specializa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eisure Sciences, Vol.26, pp.245-260, 2004. https://doi.org/10.1080/01490400490461387
  43. B. L. McFarlane, "Specialization and motivations of birdwatchers," Wildlife Society Bulletin, Vol.22, pp.361-370, 1994.
  44. B. L. McFarlane,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site choice among vehicle-based campers," Leisure Sciences, Vol.26, pp.309-322, 2004. https://doi.org/10.1080/01490400490461981
  45. N. McIntyre and J. J. Pigram, "Recreation specialization reexamined: The case of vehicle based campers," Leisure Sciences, Vol.14, pp.3-15, 1992. https://doi.org/10.1080/01490409209513153
  46. C. Oh and R. B. Ditton, "Using recreation specialization to understand conservation suppor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40, No.4, pp.556-573, 2008. https://doi.org/10.1080/00222216.2008.11950152
  47. D. Scott and C. S. Shafer,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 critical look at the construc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33, No.3, pp.319-343, 2001. https://doi.org/10.1080/00222216.2001.11949944
  48. R. B. Ditton, D. K. Loomis, and S. Choi, "Recreation specialization: Re-conceptualization from a social world perspectiv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4, pp.33-51, 1992. https://doi.org/10.1080/00222216.1992.11969870
  49. D. R. Williams, Relationship to place as a determinant of outdoor recreation preferences, Unpublished M.S. Thesis, Utah State University, 1980.

Cited by

  1. Recreation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Levels of Skiers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