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보건복지부, 한국의 주요아동지표. 서울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2006.
- 보건복지부, 중장기아동정책과 국가행동계획,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 국민건강보험공단, 영유아 건강검진 매뉴얼, 2008.
-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Autism/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2000.
- 조광순, "장애 유아의 조기 발견 및 진단.평가절차와 방법", 국립특수교육원자격연수, 제1권, pp.223-239, 2004.
- F. P. Glascoe, M. Foster, M. L. Wolraich, "An economic analysis of developmental detection methods", Pediatrics. Vol.99, pp.830-837, 2007. https://doi.org/10.1542/peds.99.6.830
- T. Collier, The Screening Process. I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Slack, 1991.
- 이미선, 조광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의 요소 및 정책 방안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제37권, pp.291-318, 2002.
- L. J. Miller, First STEP screening tool. San Antonio: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0.
- D. Dobrez, A. L. Sasso, J, Holl, M. l. Shalowitz, S. Leon, P. Budetti, "Estimating the cost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screening of preschool children in general pediatric practice", Pediatrics“, Vol.108, pp.913-921, 2001. https://doi.org/10.1542/peds.108.4.913
-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년도 영유아 건강검진관련서식, 2008.
- 신희선, 권범선, 임성오, “발달문제 위험 아동 선별을 위한 한국형 Denver II 검사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16-321, 2005.
- 신희선, "아동발달 사정(Denver II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제8권, 제4호, pp.482-484, 2002.
-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 한국형Denver II 검사지침서, 현문사, 2002.
- W. K. Frenkenburg, J. Dodds, P. Archer, H. Shapiro, B. Bresnick, “The Denver II: A major revision and re-standardization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Pediatrics, Vol.89, pp.91-97, 1992.
- F. P. Glascoe, K. E. Byrne, L. G. Ashford, K. L. Johnson, B. Chang, B. Strickland, "Accuracy of the Denver-II in developmental screening", Pediatrics, Vol.89, pp.1221-1225, 1992.
- 허계형, 문정숙, 정영란, "부모작성 영유아 발달선별 도구 ASQ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36권, 제1호, pp.275-296, 2001.
- 허계형, J. Squires, 이소영, 이준석, K-ASQ 사용 지침서, 서울장애인복지관, 2006.
- 고정자, “가정환경변인이 아동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문, 제12권,pp.89-102, 1994.
- R. Humphry, L. Wakeford, "An occupation -centered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0, pp.258-267, 2006. https://doi.org/10.5014/ajot.60.3.258
- 김동배,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5.
- 윤종희, 김리진, 하수민, "건강가정지원 사업에서 가족 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도 조사: 통합장애아 가정을 대상으로 한 생태학적 접근“, 인간발달연구, 제13권, pp.15-34, 2006.
- J. Case-Smith,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5th ed.), Mosby, 2005.
- 강정화, 부모작성 선별도구 ASQ의 정확도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성아, 지역사회 3-5세 아동의 발달 선별 검사의 타당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A. P. Turnbull, J. A. Summers, M. J. Brotherson., Families of handicapped persons,Baltimore: Paul H. Brooks, 1986.
- P. Kramer, J. Hinojosa, Frame of reference for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1999.
- G. A. Simpson, L. Colpe, N. Greenspan, "Measuring functional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prevalence rates from the NHIS-D", Pediatric Perinate Epidemiolgy. Vol.17, pp.68-80, 2003. https://doi.org/10.1046/j.1365-3016.2003.00459.x
- S. J. Meisels, "C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identify children who are developmental at risk?" Pediatrics. Vol.83, pp.578-585, 1989.
- R. A. Fox, D. L. Platz, and K. S. Bentley, "Maternal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practies developmental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156, pp.431-441. 1995. https://doi.org/10.1080/00221325.1995.9914835
- 안지연, 저소득층 학령기전 아동의 가정환경과 발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연섭, 강문희,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87.
- K .M. Tang, T. Y, Chen, V. W. Lau, and M. M. Wu, "Clinical profile of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elay in Hong Kong", Hong Kong Medical Journal, Vol.14, pp.97-102, 2008.
- 손상훈, 가족 형태 및 가정배경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C. A. Boyle, P. Decoufle, M. Yeargin-Allsopp. "Prevalence and health impac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S children", Pediatrics, Vol.93, pp.399-403, 1994.
- N. Sand, M. Silverstein, F. P. Glascoe, V. B. Gupta, T. P. Tonniges, K. G. O'Connor, "Pediatricians' reported actices regarding developmental screening: do guidelines work? Do they help?", Pediatrics, Vol.16, pp.174-179, 2005.
- 고순옥. 영유아 정상아동의 언어발달과 사회.정서적 발달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P. Dale, "The Validity of a parent report measure of vocabulary and syntax of 24 month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4, pp.565-571, 1991. https://doi.org/10.1044/jshr.3403.565
- D. S. Fleming, Promoting health child development: A population health approach,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