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of Developmental Delay and Family Environ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아동의 발달지연과 가족환경과의 관련성

  • Received : 2010.08.03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delay in a sample of normal 3-5 years old children. Developmental evaluation is performed using K-DDST II and K-ASQ. Family environment is researched by survey. The survey questions include children's order, family numbers, religion, patient's age, patient's education history. Subject is selected between the age of 3-5 years old children. The test has been conducted to find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a developmental delayed result and family environment. Study has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s family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factor includes children's gender, birth order, parent's age, education history. Therefore, developmental evaluation must have consideration on the element of children's family environment for developmental delay test because of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developmental delay result.

본 연구는 3-5세 아동을 대상으로 발달선별검사인 K-DDSTII, K-ASQ을 실시하여 발달지연 결과를 가진 하부검사와 가정환경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K-DDST에서는 가족환경 중 아버지의 나이와 개인사회성, 어머니의 나이와 교육력이 대동작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K-ASQ에서는 의사소통과 성별, 출생순서와 부모의 교육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과 출생순서, 그리고 하부검사 중 하나이상의 발달지연이 있는 경우는 성별과 출생순서와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발달선별 검사 시에 가족환경에 관한 조사가 병행된다면 아동 발달에 대한 선별검사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의 하나일 수 있음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한국의 주요아동지표. 서울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2006.
  2. 보건복지부, 중장기아동정책과 국가행동계획,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6.
  3. 국민건강보험공단, 영유아 건강검진 매뉴얼, 2008.
  4.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Health, Autism/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2000.
  5. 조광순, "장애 유아의 조기 발견 및 진단.평가절차와 방법", 국립특수교육원자격연수, 제1권, pp.223-239, 2004.
  6. F. P. Glascoe, M. Foster, M. L. Wolraich, "An economic analysis of developmental detection methods", Pediatrics. Vol.99, pp.830-837, 2007. https://doi.org/10.1542/peds.99.6.830
  7. T. Collier, The Screening Process. In: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Slack, 1991.
  8. 이미선, 조광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의 요소 및 정책 방안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제37권, pp.291-318, 2002.
  9. L. J. Miller, First STEP screening tool. San Antonio: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0.
  10. D. Dobrez, A. L. Sasso, J, Holl, M. l. Shalowitz, S. Leon, P. Budetti, "Estimating the cost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screening of preschool children in general pediatric practice", Pediatrics“, Vol.108, pp.913-921, 2001. https://doi.org/10.1542/peds.108.4.913
  11.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년도 영유아 건강검진관련서식, 2008.
  12. 신희선, 권범선, 임성오, “발달문제 위험 아동 선별을 위한 한국형 Denver II 검사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16-321, 2005.
  13. 신희선, "아동발달 사정(Denver II를 중심으로)". 아동간호학회지, 제8권, 제4호, pp.482-484, 2002.
  14.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 한국형Denver II 검사지침서, 현문사, 2002.
  15. W. K. Frenkenburg, J. Dodds, P. Archer, H. Shapiro, B. Bresnick, “The Denver II: A major revision and re-standardization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Pediatrics, Vol.89, pp.91-97, 1992.
  16. F. P. Glascoe, K. E. Byrne, L. G. Ashford, K. L. Johnson, B. Chang, B. Strickland, "Accuracy of the Denver-II in developmental screening", Pediatrics, Vol.89, pp.1221-1225, 1992.
  17. 허계형, 문정숙, 정영란, "부모작성 영유아 발달선별 도구 ASQ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제36권, 제1호, pp.275-296, 2001.
  18. 허계형, J. Squires, 이소영, 이준석, K-ASQ 사용 지침서, 서울장애인복지관, 2006.
  19. 고정자, “가정환경변인이 아동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문, 제12권,pp.89-102, 1994.
  20. R. Humphry, L. Wakeford, "An occupation -centered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0, pp.258-267, 2006. https://doi.org/10.5014/ajot.60.3.258
  21. 김동배, 권중돈,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5.
  22. 윤종희, 김리진, 하수민, "건강가정지원 사업에서 가족 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요구도 조사: 통합장애아 가정을 대상으로 한 생태학적 접근“, 인간발달연구, 제13권, pp.15-34, 2006.
  23. J. Case-Smith,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5th ed.), Mosby, 2005.
  24. 강정화, 부모작성 선별도구 ASQ의 정확도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이성아, 지역사회 3-5세 아동의 발달 선별 검사의 타당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6. A. P. Turnbull, J. A. Summers, M. J. Brotherson., Families of handicapped persons,Baltimore: Paul H. Brooks, 1986.
  27. P. Kramer, J. Hinojosa, Frame of reference for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lkins, 1999.
  28. G. A. Simpson, L. Colpe, N. Greenspan, "Measuring functional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prevalence rates from the NHIS-D", Pediatric Perinate Epidemiolgy. Vol.17, pp.68-80, 2003. https://doi.org/10.1046/j.1365-3016.2003.00459.x
  29. S. J. Meisels, "C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identify children who are developmental at risk?" Pediatrics. Vol.83, pp.578-585, 1989.
  30. R. A. Fox, D. L. Platz, and K. S. Bentley, "Maternal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practies developmental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child behavior problem",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156, pp.431-441. 1995. https://doi.org/10.1080/00221325.1995.9914835
  31. 안지연, 저소득층 학령기전 아동의 가정환경과 발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2. 이연섭, 강문희, 유아의 언어교육, 창지사, 1987.
  33. K .M. Tang, T. Y, Chen, V. W. Lau, and M. M. Wu, "Clinical profile of young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elay in Hong Kong", Hong Kong Medical Journal, Vol.14, pp.97-102, 2008.
  34. 손상훈, 가족 형태 및 가정배경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5. C. A. Boyle, P. Decoufle, M. Yeargin-Allsopp. "Prevalence and health impac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S children", Pediatrics, Vol.93, pp.399-403, 1994.
  36. N. Sand, M. Silverstein, F. P. Glascoe, V. B. Gupta, T. P. Tonniges, K. G. O'Connor, "Pediatricians' reported actices regarding developmental screening: do guidelines work? Do they help?", Pediatrics, Vol.16, pp.174-179, 2005.
  37. 고순옥. 영유아 정상아동의 언어발달과 사회.정서적 발달 및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8. P. Dale, "The Validity of a parent report measure of vocabulary and syntax of 24 month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34, pp.565-571, 1991. https://doi.org/10.1044/jshr.3403.565
  39. D. S. Fleming, Promoting health child development: A population health approach, Doctor of philosophy,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