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Policy Countermeasures of Welfare Agency While the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른 복지기관의 정책적 대응 고찰

  • Received : 2010.10.20
  • Accepted : 2010.11.11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e research examine countermeasures of community welfare center, total welfare service provider in the local, to establish of identity and revitaliz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It examine countermeasure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environment of welfare environmen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to provide welfare service which is improvement the quality of life in local, to be as methodical casework facility and to solve the community matters throughout organized residents. Also, comparison with specific welfare center and similar welfare facilities,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to provide differentiation services from totally welfare services. Finally, in privatized and market economic welfare environmen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as to have policy countermeasures strategies to survive in competition not only welfare service provider.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의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운영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정체성 확립과 활성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를 크게 제도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지역사회복지관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역사회복지의 핵심기관으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사례관리기관으로서 역할과 지역주민의 조직화를 통한 지역사회 문제의 공동대처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또한 대상별 다양화되고 있는 단종복지 기관의 출현과 유관기관의 설립으로 과거의 종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에서 다양한 기관과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장화, 민영화로 이루어진 최근의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단순한 서비스 제공기관이 아닌 타기관과의 경쟁적 관계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관의 정책적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흥주, “지역중심 사회복지체제의 비판적 검토”, 농촌사회, 제15권, 제1호, pp.257-288, 2005.
  2. 한국사회복지관협회, “복지로 여는 세상”, 겨울호, 제37권, pp.3-29, 2007.
  3. 전광현, “지역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방안”,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15집, pp.119-137, 2004.
  4. 박태영, “지역사회복지 거점기관으로서의 사회복지관 역할 정립”,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08춘계학술대회, pp.3-29, 2008.
  5. http://wwwk.dongguk.ac.kr/~pki/nonje/eassy/bang.html
  6. 최선희, “사례관리를 통한 거점기관으로서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제21회 전국사회복지관 관장세미나, pp.23-37, 2007.
  7. 이택룡, 노무지, 권정호, 조현순,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07.
  8. 김영종, “지방분권 정책과 지역복지의 과제”, 부산지역 정책연찬회 자료집,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05.
  9.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07.
  10. 서울복지재단, “사회복지프로그램 매뉴얼 개발연구 사례관리 실천방법-지역사회보호사업”, pp.1-192, 2005.
  11. 이인재,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과 과제-주민생활지원서비스 체계개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제176호, pp.6-19, 2008.
  12. 최일섭, “사회복지환경변화에 따른 전망과 과제”, 미발간 자료, 1997.
  13. 김범수, 신원우,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14. http://www.kaswc.or.kr/gboard/bbs/board.php?bo_table=data_01&wr_id=315
  15. 변용찬, “사회복지관 운영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97권, 제8호, pp.72-79,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