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ntal Health Capacity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among Children in a Primary School in Suncheon City

순천시 일개 초등학교의 제일대구치 건강도 조사

  • Received : 2010.11.03
  • Accepted : 2010.11.25
  • Published : 2010.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first permanent molars condition that was how catch on general oral health of the children in primary school, to make use of the basic data on dental health policy project for the school oral health. The sampling was done at the primary school in Suncheon. It made a survey on the first permanent molars of 823 person who had attended in March, 2009. By using the WHO standards and Clune's dental health capacity, the conditions of first permanent molars calculated. DMFT index and it's condition of first molars statistically a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1. The dental health capacity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was 92.2%. 2. The DMFS index of first permanent molars was 3.97. 3. The dental health capacity of first permanent molars have related with DMFT index(r= -0.895). 4. DMFS index of the first molar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DMFT index(r= 0.902). In this repor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evaluation of dental health project for the school age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cluding the healthy status of the first molars.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조사할 수 있는 제일대구치 건강도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집단의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포괄적인 구강건강상태 판정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09년 3월 순천시 일개 초등학교 재학생 823명의 구강검진을 수행하였다. 건전제일대구치는 10점, 상실제일대구치나 발거지시 제일대구치는 0점, 우식증에 이환된 제일대구치의 치면의 수에 따라 1점씩 감점, 충전되어 있는 제일대구치의 치면 수에 따라 0.5점씩 감점하여 4개의 제일대구치평점을 합한 후 40점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 제일대구치건강도는 36.9점, 제일대구치건강률은 92.2%이었고, 한 사람의 제일대구치건강도가 높을수록 그 사람이 보유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작아져 상관관계는 역상관(r=-0.895)이었으며, 제일대구치 우식경험치면지수도 작아져 역상관(r=-0.932)이었고,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상관관계는 순상관(r=0.902)이었다(P<0.001). 그러므로 제일대구치 건강도는 구강건강상태판정과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질관리를 위한 구강보건지표로 활용가능하게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훈, 김명섭, 이선미, 배광학, 오막엽, 김진범, “학교구강보건실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 효과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0권, 제3호, pp.231-242, 2006.
  2. 신제원, 치아형태학, 대한나래출판, p.173, 2010.
  3. 김종배, 최유진, 문혁수, 김진범, 김동기, 이흥수, 박덕영, 공중구강보건학4판, 고문사, p.322, 2004.
  4. 이영희, 권호근, 김백일,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인의 치아별 치면별 우식발생 양상”,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8권, 제3호, pp.315-323, 2004.
  5. R. Lallo, M. H Hobdell, H. J, Mosha, F. Mboli, and T. Tanda, “Dental Carious Status of 5-7 Year Old Children in Three Districts in Tanzania, Uganda, and Mozambique", J. of Odontostomatol Trop, Vol.22, No.87, pp.46-48, 1999.
  6. F. Manji, H. Mosha, and J. Frencken, “Tooth and Surface Patterns of Dental Caries in 12-Year-Old-Urban Children in East Afric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14, pp.99-103, 1986.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6.tb01506.x
  7. D. S. Berman and G. I. Slack, “Susceptibility of Tooth Surfaces to Carious Attack", Br Dent J. Vol.134, pp.135-139, 1973. https://doi.org/10.1038/sj.bdj.4802968
  8. T. W. Clune, “A Dental Health Index", J. Am Assoc, Vol.32, p.1262, 1945.
  9. F. M. Richard and A. Y. Ralph, “Evaluation of The Components of A Dental Public Health Program Through The Screening of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American J. of Public Health, pp.547-550, 1972.
  10. 성철제, 김종배, “한국인의 제 1대구치 건강도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7권, 제1호, pp.21-36, 1983.
  11. 서현석,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학교계속6세구치관리사업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16권, 제2호, pp.400-428, 1992.
  12. 최승희, 신승철, 권정희, 류연정, 김임선, 장연수, 조자원, “한국인의 제1대구치건강도의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9권, 제4호, pp.430-439, 2005.
  13. 최숙희, 김동기, 김승희, 정진아, 이병진, “노인의 제일대구치건강도에 관한 연구”, 구강생물학회지, 제33권, 제3호, pp.8-14, 2009.
  14. 홍지원, 이승우, 박덕영, 마득상, “강릉시 초등학교구강보건사업 평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4권, 제4호, pp.411-420, 2000.
  15. 장기완, 김진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구강보건조사법, 고문사, pp.50-58, 2000.
  16. 보건복지부, Health Plan 2010, 보건복지부, pp.51-53, 2005.
  17. P. Sutcliffe, "A Longitudinal Study of Carious Experience and Extraction of Permanent First Molars in English 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3, pp.182-186, 1974. https://doi.org/10.1111/j.1600-0528.1974.tb01870.x
  18. N. M. King, L Shaw, and J. J Murray, “Caries Susceptibility of Permanent First And Second Molars In Children Aged 5-15 Yea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8, pp.151-158, 1980. https://doi.org/10.1111/j.1600-0528.1980.tb01278.x
  19. 이춘화, 이수경, 장기완, "한국인 영구치 발거 연령 및 특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6권, 제2호, pp.209-218, 2002.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y of the utility of oral health indicators in adults vol.41, pp.3, 2017, https://doi.org/10.11149/jkaoh.2017.41.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