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정서.행동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f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 박경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 양윤경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 장순양 (경운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 투고 : 2010.11.11
  • 심사 : 2010.12.20
  • 발행 : 2010.12.01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children in early stage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 the children's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Methods: There were 270 subjects who were fist and fo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ir parents. This study use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 that was divided into five sub-scales, including internal problems, external problems, cognitive problems, abuse problems and psychosomatic problems. Each sub-scales have one cutting points, children whose scores above the cutting points means abnormal in correspond subscale. Results: 1) The most appearing problems was psychosomatic problems with 10.8% of subjects and next internal problems with 8.6% of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2) For distribution of mental behavior development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somatic problems between male and female (p =.009). 3) For distribution of mental behavior development according to grade,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problems (p =.000) and total scores of CPSQ (p =.012) between first grade and forth grade. Conclusion: When we develop children's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considerate the gender and grade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학생건강안전과 (2010). 학생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 및 추구관리 매뉴얼.
  2. 김광일, 서혜희, 박용철, 이승학, 김이영 (1989). 정신질환에 대한 일반인의 견해조사. 정신건강연구, 8, 118-132.
  3. 김선희 (2000). 학령기 아동의 행동문제 유형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인과모형 탐색.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
  4. 김유경 (2004). 청소년의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따른 인지적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5. 김현정, 김윤영, 이혜숙, 현미나, 남동현, 김상원, 안동현 (2009). 학생정신건강검진 시범운영사업에 따른 추진방안.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2(1), 33-48.
  6. 보건복지부 (2006). 2006년 상반기 아동 간이 정신건강 선별검사. 보건복지가족부.
  7. 박효인 (2010). 학령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의 부모와 교사간의 평가 일치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8. 신윤희, 강경희, 이수진 (2007). 초등학생들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간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289-303.
  9. 신현균 (2003). 한국판 아동 신체화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및 초등고학년생의 신체증상 경험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829-846.
  10. 신현균, 원호택 (1997).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19-231.
  11. 안동현, 정승아, 김석현, 송화진, 이미순 (2008). 건강증진학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의 정신 건강 실태 및 관련된 가정-사회적 요인들. 한국학교보건학회, 21(2), 1-12.
  12.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출판사.
  13. 원호택, 이민규 (1987).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1), 22-23.
  14. 육근정 (2007). 외현화.내재화 문제를 가진 아동집단의 Rorschach 반응 특성에 관한 분석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5. 이경희 (1995).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6. 이경주 (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광주.
  17. 이귀숙 (2007).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 및 변화유형의 단기 종단적 탐색.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대구.
  18. 이명자 (2004). 학교폭력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북.
  19. 이미숙, 최영, 유지숙 (2000). 청소년의 신체증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9(2), 323-333.
  20. 이시형 (2002). 청소년 정신건강의심리사회적 요인.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1. 이정아 (2002). 중학생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 요인.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2. 이지희 (2009).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외현화 아동의 교우관계,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3. 이춘자 (2000). 사회기술훈련이 아동의 교우관계, 학급활동 및 사회적 추론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부산.
  24. 이한주, 서미아 (2010). 청소년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2(1), 79-87.
  25. 이현희 (1994). 청소년 비행의 성별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사회연구. 동국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3, 115-138.
  26. 최현화 (1999). 관계지향 공격아동과 외현화 공격 아동의 의도성 판단 및 반응.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7.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8. 현온강, 이현정 (1999).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사회적 적응 및 행동문제. 대한가정학회지, 37(11), 167-197.
  29. 허윤석, 안동현, 최준호, 강지윤, 오경자 (2003). 아동용 문제행동 선별검사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 42(6), 724-734.
  30. 황혜정 (1996). 아동의 정서 행동 문제의 일관성 연구. 초등교육연구, 10(1), 29-45.
  31. 황정규 (1990). 한국 학생의 스트레스 측정과 형성. 사대논총, 41, 25-66.
  32. 홍영기 (2000). 초등학교 집단 따돌림에 대한 학부모, 교사, 학생의 인식 비교.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33. 허윤석 (2003). 아동용 문제행동 선별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4. Achenbach, T. M., & Edelbrock, C. (1983). Manualfor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s.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35. Brody, G. H., Murry, V. M., Kim, S., & Brown, A. C. (2002). Longitudinal pathways to compete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african american children living in rural single-parent households. Child Development, 73(5), 1505-1516. https://doi.org/10.1111/1467-8624.00486
  36. Campo, J. V., & Fritsch, S. L. (1994). Somatiz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33, 1223-1235. https://doi.org/10.1097/00004583-199411000-00003
  37. Ladd, G. W., & Troop-Gordon, W. (2003).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Child Development, 74(5), 1344-1367. https://doi.org/10.1111/1467-8624.00611
  38. Larsson, B., & Sund, A. M. (2007). Emotional, behavioral, social correlates and one-year predictors of frequent pains among early adolescents: Influences of pain characteristics. Eur J Pain, 11, 57-65. https://doi.org/10.1016/j.ejpain.2005.12.014
  39. Larsson, B., & Zaluha, M. (2003). Swedish school nurses' view of school health care utilization, causes and management of recurrent headaches among school children. Scand J Caring Sci, 17, 232-238. https://doi.org/10.1046/j.1471-6712.2003.00216.x
  40. Lipowski, Z. J. (1986). Somatization: A borderland between medicine and psychiatry. Can Med Assoc J, 135 , 609-614.
  41. Pomerantz, E .M., & Rudolph, K. D. (2003). What ensues from emotional distress?: Implications for competence estimation. Child Development, 74(2), 329-345. https://doi.org/10.1111/1467-8624.7402001
  42. Remschmidt, H., Belfer, M. (2005). Mental health c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orldwide: A review. World Psychiatry, 4(3), 147-153.
  43. Rhee, H., Holditch, D., & Miles, M. S. (2005). Patterns of physical symptoms and relationships with psychosocial factors in adolescents. Psychosom Med, 67, 1006-1012. https://doi.org/10.1097/01.psy.0000188404.02876.8b
  44. Schilling, B. L. (2009). Teacher perspectives on adolescent behavior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school-based screening instrument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Doctoral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Utah.
  45. Scicchitano, J., Lovell, P., Pearce, R., Marley, J., & Pilowsky, I. (1996). Illness behavior & somatization in general practice. J Psychosom Res, 41(3), 247-254. https://doi.org/10.1016/0022-3999(96)00034-7
  46. Seif, E. I., Din Amira (2004). Prevention and intervention in school setting. In H. Remschmidt, M. Belfer, I. Goodyer (Eds.), Facilitating pathways: Care, treatment and prevention i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326-334, Berlin : Springer-Verlag.
  47. Virtanen, R., Aromaa, M., Koskenvuo, M., Sillanpaa, M., Pulkkinen, L., Metsa Honkala, L., et al. (2004).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headache: A follow-up study of adolescent Finnish twins. Pediatrics, 114, 981-987. https://doi.org/10.1542/peds.2003-1103-L
  48. Weist, M. D., Rubin, M., Moore, E., Adelsheim, S., Wrobel, G. (2007). Mental health screening in schools. J Sch Health, 77, 53-58.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7.0016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