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ntifying of Rural Landscape Picture by Fractal Index

프랙탈 지수를 이용한 농촌 경관사진의 정량화 방안 연구

  • Jeong, Ho-Hyun (Dep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l Univ.) ;
  • Jung, Nam-Su (Dep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l Univ.)
  • 정호현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 ;
  • 정남수 (공주대학교 지역건설공학)
  • Received : 2010.04.14
  • Accepted : 2010.08.1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With international attention to the rural landscape, there have been landscap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efforts. Because it contains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 rural landscape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rurality. With rural amenity resources survey projects launched since 2005, rural landscape categorization and evaluation such as resource value, use value, beauty, originality, traditionality, maintenance are performed by expert questionnaire survey and 100 rural amenity resources are select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fractal analysis for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of the rural landscape photographs. In evaluating processes, main and surrounding landscape are separated and fractal indexes are calculated and analyzed with beauty value scoured by experts. Results show that beauty valu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fractal index but differences of main and surrounding landscape fractal index.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08, 2008 농촌어메니티 종합기반기술 구축사업 농촌어메니티 자원조사 최종보고서.
  2.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09, 2008 농촌어메니티 100선.
  3. 김상범, 2006, 어메니티 향상을 위한 농촌경관의 보전.관리.
  4.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 13(1), 11-17.
  5. 최용복, 정문섭, 2006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 -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 14(3), 349-361.
  6. 안명준, 배정한,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 2008, 농촌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 -2007 농촌 어메니티 100선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4(2), 77-84.
  7. 서주환, 김상범, 노재현, 허준, 2009, 제주'오름'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경관이미지 비교 분석, 한국조경학회, 37(1), 65-77.
  8. 김상범, 허준, 2005, 전통테마마을의 향토경관 활용 방안에 판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3(4), 83-93.
  9. 서주환, 김상범, 1998, GIS를 활용한 경관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6(2), 62-72.
  10. 進上五十八 外 3人, 1999, 風景デザイン, 동경 學藝出版祉.
  11. 西村幸夫 外12人, 2000, 都市の風景計劃, 동경 學藝出版祉.
  12. 신영철, 박영달, 2006, 유형별 전통공간의 경관구조-상주지방을 사례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4(1), 54­68.
  13. 박찬용, 현중영, 2008, 전통마을 풍수의 프랙탈 구조에 관한 분석 연구 -하회마을을 사례연구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6(1), 29-34.
  14. 권기욱, 이종달, 2005, 프랙탈 기법에 의한 지형의 특성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1(6), 530-542.
  15. 허성구, 김기성, 안재훈, 윤정숙, 임경재, 최중대, 신용철, 유창원, 2007,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10-21.
  16. 이상엽, 오휘영, 조세환, 2002, 도시 교량경관의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서울 한강 교량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29(6), 11-20.
  17. 정성관, 채소정, 김경태, 이우성, 박경훈, 유주한, 2007, 교량경관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배경경관 및 교량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5(5), 82-91.
  18.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 2007,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5(1), 59-68.
  19. 주신하, 임승빈, 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 31(1), 1-10.
  20. 김대현, 김대수, 주신하, 오세래, 2007, 도시 경관도 작성 기법 연구 -시가화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 10(1), 23-35.
  21. Hiroyuki Sasaki, 1994, Fractal Analysis System for Windows (English version), http://cse.naro.affrc.go.jp/sasaki/index-e.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