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Student Presenters' and Student Visito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Festival

과학축전 활동 경험에 대한 부스 운영 및 참여 관람 학생의 인식

  • Park, Eun-Ji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Kyung (BK21 Science Education for the Next Societ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i-Sang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
  • Kim, Chan-J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은지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선경 (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과학교육연구사업단) ;
  • 김기상 (한국과학창의재단) ;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16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Science festival' is an annual public event featuring a varie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workshops and live demonstrations of experiments by student presenter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udent presenters' and student visito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festival. The subjects were 323 student presenters who managed laboratory booths and 495 student visitors who attended the festival for six day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modified items of ones both from Ahn & Park (2009) and Lee et al. (2010). Data included students' participation backgrounds, differences of their perception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participation types and school levels, and student presenters' perceptions of scientific inquiry that they had through the preparation of the festival.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 presenters perceived their experience of preparing for the festival as meaningful scientific inquiry process such as asking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for communitybased programs as an informal science education were presented.

매년 개최되는 '과학 축전'에서는 부스 운영 학생들의 안내 하에 다양한 과학 및 기술관련 워크숍, 시범 실험등의 활동이 제공된다. 본 연구는 과학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들과 참여 관람 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6일 동안 축전에 참여한 부스 운영 학생 323명과 참여 관람 학생 49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안광호와 박일우(2009) 및 이선경 외(2010)의 설문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되었다. 연구 결과로서, 학생들의 참여 배경, 참여 유형별 및 학교급별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인식, 부스 운영 학생들의 과학탐구 경험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과학축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부스 운영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하는 탐구 과정에 참여한 것을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비형식 과학교육으로서 공동체 기반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홍진, 김찬종, 2007,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14-23. https://doi.org/10.5467/JKESS.2007.28.1.014
  2. 김기상, 허준영, 이선경, 김찬종, 2007, 비형식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부모와 아동의 대화 특성: ZPD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832-847.
  3. 김성원, 이현경, 1996, 우리나라 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 175-189.
  4. 김성원, 최고운, 1999, 과학관 이용자 만족도 평가(4개 과학관의 전시실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3, 161-182.
  5. 김소희, 송진웅, 2003,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 544-560.
  6. 김학수, 1998, 과학축전과 과학커뮤니케이션: 1997년 4월 '과학의 달' 행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6, 99-127.
  7. 류춘렬, 2009,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분석: 2007년도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겨울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0, 81-95. https://doi.org/10.5467/JKESS.2009.30.1.081
  8. 맹승호, 박명숙, 이정아, 김찬종, 2007, 야외 지질 학습에서 나타난 중학생들의 귀추적 추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818-831.
  9. 서동욱, 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86-894.
  10. 서혜애, 전영석, 현종오, 류성철, 한재영, 최원호, 김현빈, 조수민, 임혁, 2001, 신나는 과학 놀이 마당 평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473-486.
  11. 송성수, 2003, 과학기술과 사회문화 연계를 위한 선진국 정책 사례. 지식경제, 2003년 겨울호, 1-19.
  12. 송진웅, 2000, 영국에서의 과학-기술-사회 교육의 태동과 발전 과정(II): 20세기 후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 52-76.
  13. 신동희, 2004, 과학교육의 변화: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의 추구. 국어교육학연구, 21, 95-119.
  14. 안광호, 박일우, 2009, 과학 대회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인식, 과학 관련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8, 304-312.
  15. 이석희, 허소영, 2009, 부산지역 공립 과학관에 대한 초등학생들과 초등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3, 81-112.
  16. 이선경, 신현정, 명전옥, 김찬종, 2010,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9, 47-85.
  17. 이주하, 2005,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의 현장견학의 가능성과 그 인식론. 교육철학, 27, 233-255.
  18.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49-658.
  19. 최지은, 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 315-326.
  20.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이선경, 2004a,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 869-885.
  21. 최지은, 이선경, 신명경, 임진영, 변호승, 이선경, 이창진, 김찬종, 2004b, 자연사 박물관의 예비관람객의 요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 91-106.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09, 2009 대한민국과학축전. 한국과학창의재단, 282 p.
  23. Anderson, C.W., Holland, J.D., and Palincsar, A.S., 1997, Canonical and sociocultural approaches to research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story of Juan and his group.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7, 359-383. https://doi.org/10.1086/461871
  24. Chin, C.-C., 2004, Museum experience-a resource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 63-90. https://doi.org/10.1023/B:IJMA.0000026536.75034.34
  25. Crane, V., Chen, M., Bitgood, S., Serrell, B., Thompson, D., Nicholson, H., Weiss, F., and Campbell, P., 1994, Informal science learning: What the research says about television, science museums, and community-based project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Washington, D.C., USA, 281 p.
  26. Falk, J., Donovan, E., and Woods, R., 2001, Free-choice science education: How we learn science outside of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VT, USA, 216 p.
  27. Griffin, J. and Symington, D., 1997, Moving from task-oriented to learning-oriented strategies on school excursions to museums. Science Education, 81, 763-779.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11)81:6<763::AID-SCE11>3.0.CO;2-O
  28. Hofstein, A. and Rosenfeld, S., 1996, Bridging the gap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cience learning.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8, 87-112. https://doi.org/10.1080/03057269608560085
  29. Lee, S.-K. and Kim, C.-J., 2007, Understanding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 case of dyadic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 134-143.
  30. Mielke, K.W. and Miller, J.D., 1995, The influence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mathematical liter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tlanta, GA.
  31. Parker, V.A. and Gerber, B.L., 2002, Performance-based assessment, science festival exhibit presentations, and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4, 59-67. https://doi.org/10.1007/BF03174737
  32. Ramey-Gassert, L., Walberg III, H.J., and Walberg, H.J., 1994, Museums as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Science Education, 78, 345-363. https://doi.org/10.1002/sce.3730780403
  33. Simpson, J. and Parsons, E.C., 2009, African american perspectives and informal science educational experiences. Science Education, 93, 293-321. https://doi.org/10.1002/sce.20300
  34. Tal, T. and Morag, O., 2007, School visits to natural history museums: Teaching or enri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747-769. https://doi.org/10.1002/tea.20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