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특수교육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

The Subjective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in Speci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 Kim, Hyun-Suk (Colleg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Choi, Jung-Boon (Department of Health in Ky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 Cho, Mee-Yeon (College of Nursing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투고 : 2010.04.22
  • 심사 : 2010.06.21
  • 발행 : 2010.06.01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It will be provid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November 18th to November 27th, 2009 through questionnaire about the stress, the depression and the sleeping.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94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Results: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of the mothers;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depressio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the sleeping; and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sleeping significantly in statistics (p<.001). Mother group in elementary school has mild depression and the other variables in all groups of mothers are included in normal ran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o the comparative study for stress, depression and sleeping of mothers with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and to make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optimiz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reducing depression for the sub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봉 (2002). 스트레스와 정신신체의학. 서울: 일조각.
  2. 고정선 (2008).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감,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연구: 정신지체와 자폐아동 어머니를 중심으로.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1-17.
  3. 권석만 (2008). 우울증, 서울: 학지사.
  4. 김교연 (2009). 지적 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돌봄 통제감 및 우울: 장애인 생애주기의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3), 81-107.
  5. 김미라, 정남운 (2006). 장애아동 어머니가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8(1), 201-216.
  6. 김수지, 고성희, 김경희, 김영숙, 민소영, 서문숙 외 (2009). 원리 및 실무중심의 정신간호학(8판). 서울: 수문사.
  7. 박순영 (1999). ?????. 광주광역시 서구 보건소식지, 11(84) ???-???.
  8. 박혜정 (2007).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관한 인지- 행동미술치료사례연구. 재활심리연구, 14(1), 57-79.
  9. 배혜영 (2009).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요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1), 137-157
  10. 심미경 (1997).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대처유형, 삶의 질에 관한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7(3), 673-682.
  11.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 (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대한간호학회지, 28(3), 563-572.
  12. 윤선아, 나수현 (2005). 전반적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연구, 4(1), 73-101.
  13. 이경숙, 박미현 (2007). 한국의 cosleeping 양육에 관한 예비연구:어머니 요인을 중심으로. 200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388-389.
  14. 임현승 (2004). 사회적 지지가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639-656.
  15.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2008, February 29). 국가법령정보센터. Retrieved April 10, 2010, from http://law.go.kr/LSW/lsInfoP.do?lsiSeq=84755#0000
  16. 정소영, 조결자 (2007). 정상아와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기능에 대한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16(3), 258-266.
  17. 정재권 (2009). 지체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4), 245-265.
  18. 특수교육통계 (2009, June 30). 교육과학기술부. Retrieved April 10, 2010, from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544
  19. 최정미, 우희정 (2004). 초.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6(2), 73-84.
  20. 황미경, 백성수 (2009). 사회적 고립감으로 인한 우울증과 운동의 긍정적 효과. 스포츠과학리뷰, 3(1), 15-24.
  21. Drotar, D., Baskiewicz, B., Irvin, N., Kennell, J., & Klausm, M.(1975). The adaption of parents to the birth of an infant with a congenital malformaion: A hypothetical model. Pediatrics, 56(5), 710-717.
  2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1 (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3. Shin, K. R. (1992). The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Korean-American Women in New York C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