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stimation of Amount of Debris-Flow using Terrestrial LiDAR

지상 LiDAR를 이용한 토석류 발생량 산정에 관한 기초연구

  • 전계원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전병희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
  • 안광국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 장창덕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 김남균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0.01.20
  • Accepted : 2010.02.11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stimating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in hazard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surveying data. Jecheon area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n, the surveyed LiDAR information of DEM and 1:5000 digital map of DEM have been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 amount of debris flow has been estim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that the amount of erosion was $24,150m^3$ and deposition was $14,296m^3$. Well shape of channelized debris flow, hillslope debris and deposition at the bending reach of a channel can be found in the area. This study 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debris flow was expect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s for debris flow of disaster mitigation and simulation work.

본 연구에서는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스캔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 재해 발생지역에 대한 토석류 발생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충북 제천시를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1:5000 수치지도를 이용한 DEM(수치표고모형)자료와 LiDAR 측량자료를 이용한 수치표고모형자료를 비교분석 하고 토석류 발생량을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침식량은 $24,150m^3$, 퇴적량은 $14,296m^3$로 산정되었고, 수로형 토석류와 사면형 토석류의 형태, 만곡부에서의 퇴적 등이 적절히 표현되었다. 토석류 발생량의 산정연구는 토석류 재해저감이나 대책수립 및 수치모의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References

  1. 김기환, 이동혁, 김대회, 이승호 (2008), 토석류 흐름 상태 특성 파악을 위한 모형실험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 Vol. 9, No. 5, pp. 83-89.
  2. 김용균, 안대영, 강대우, 한병원 (2008), 유비쿼터스 기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지질공학회, Vol. 18, No. 4, pp. 511-522.
  3. 서용석, 김성권, 채병곤 (2008), 토석류 산사태 시뮬레이션 연구, 2008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질공학회, pp. 209-215.
  4. 유병옥, 송평현, 정찬규 (2006), 2006 강원 인제, 양양, 평창지역 토석류 발생사례분석, 2006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지질공학회, pp. 615-625.
  5. 윤호중 (2008), 항공 LiDAR를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붕괴토사량 추정, 산림과학정보, No. 203, pp. 4-5.
  6. 윤호중, 이창우, 우충식, 정용호, 이천용 (2009), 토석류 발생특성과 피해규모 예측기법 개발, 연구보고09-20, 국립산림과학원, pp. 92-107.
  7. 이창우, 우충식 (2009), 항공사진 및 LiDAR 자료와 GIS기법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조사, 월간산림, No. 522, pp. 92-95.
  8. 이철주, 유남재 (2009), 2006년 강원도 인제지역의 토석류 산사태 수해 및 복구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Vol. 9, No. 1, pp. 99-105.
  9. 정두영 (1999), 산사태나 토석류 등 재해에 대한 예측과 대책, 한국지반공학회, Vol. 15, No. 10, pp. 16-26.
  10. 채병곤, 김원영, 조용찬, 김경수, 이춘오, 최영섭 (2004),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개발, 대한지질공학회, Vol. 14, No. 2, pp. 211-222.
  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NEMA-06NH-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p. 16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