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구강보건 지식정도와 노인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지정도 연구

Elderly Convalescence Facility Workers'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Subjective Oral Health Care is the Degree of the Elderly

  • 투고 : 2010.09.28
  • 심사 : 2010.12.02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 및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지역 노인시설 종사자 23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의 문항별 응답은 '칫솔질할 때 혀도 닦아야 한다'가 97%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2.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에서는 정기적 치과방문이 6개월마다 방문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일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4회 이상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구강보건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구강보건 지식정도는 전체 평균은 13점 만점에 9.84점으로 전체적으로 구강보건지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일반적인 구강보건지식이 4점 만점 중 3.69점, 노인성 구강보건지식인 6점 만점에 4.28점, 의치구강보건지식이 3점 만점에 1.86점으로서 일반적인 구강보건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노인구강보건관심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는 관심이 많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구강보건지식정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5. 조사대상자의 노인구강보건관리 및 교육요구도 에서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83.7%, 불필요하다는 응답이 16.3%로 나타났다. 6. 노인구강보건관리 및 교육은 치과위생사가 하는 것이 적합하다라는 응답이 57.9%로 가장 많았고 구강보건지식정도도 치과위생사가 되어야 한다고 인지한 대상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Table 7). 이상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시설종사자들에게 노인구강 보건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구강보건지식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노인구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과위생사를 노인시설에 적극적으로 배치시키는 일들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recognition on subjective oral health knowledge and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to 233 worke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Gyeonggi-do, it was shown that their general oral health knowledge level was high while their elderly oral health knowledge was lower than general oral health knowledge. And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answering they had keen interest in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elderly oral health showed a higher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than those answering they had no interest in it, which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Regarding the study subjects'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demand, quite a high percentage of 83,7% responded the education is needed. A response that it is appropriate for dental hygienists to give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and the education showed 57.9%, which was the most. Also, it was shown that in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rs and educators, subjects recognizing that it is needed to be dental hygienists indicated a high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which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키워드

참고문헌

  1. 왕혁종: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성공적 도입방안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서울, 2008.
  2. 통계청. 장래인구특별 추계. 2005.
  3. 양영애: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을 위한 작업치료사의 요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2): 1-3, 2007.
  4. 국민건강관리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의의 설명자료. 2010.
  5.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23조, 제32조[일부개정 2010.3.17 법률 제10127호]. 2010.
  6. 노인복지법. 제34조[일부개정 2010.1.25 법률 제9964호]. 2010.
  7. 신리혜 외: 한국노인요양시설 구강 위생 현황과 일본 노인요양 보험법 비교를 통한 치과의사의 역할과 전망.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6(1): 83-89, 2008.
  8. 유상희, 김영임, 이홍수: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4): 575-586, 2008.
  9. 원영순: 노인의 구강상태와 식습관 및 건강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원주, 2003.
  10. 김미은: 노인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조사(시설종사자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광주, 2008.
  11. 오영희: 우리나라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인식의 관련성연구[박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5.
  12. 이영자: 한국 노인의 건강사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89.
  13. 황지민: 노인의 구강보건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4. 백선호: 노인구강보건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대학원, 죽전, 2002.
  15. 민병국, 이규선: 지역사회 노인의 구강건강 실태 조사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1(1): 86-103, 2003.
  16. 황미영 외: 지역사회노인의 구강관리 실태 조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2): 143-148, 2002.
  17. 김혜진, 이연경: 일부 노인의 보철장착에 따른 구강건강행태와 구강관리 요구도 조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9(4): 824-835, 2009.
  18.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별표1[(타)일부개정 2010.9.1 제 18호]. 2010.
  19.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치과위생사 소개. http://www.kdha.or.kr/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