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Center Directors' Experience about Integrated Child Care for Infants with Disability

보육시설장의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이귀애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형모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2.03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enter directors' experience about integrated child care for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o understand positive and negative awareness of integrated child care. This study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of six child care center dire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were 12 categories, 25 lower categories and 82 concep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difficulty from integrated child care implementation'. To overcome the central phenomenon, the cause and effect strategies we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bligated education', 'continuous studies on integration', and the result was 'preparation for desirable integrated child care center'.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보육 실시에 따른 시설장의 긍정적 내지 부정적 인식과 초래되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통합보육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보육시설의 시설장으로 재직 중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범주, 25개의 하위범주, 8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보육시설장의 장애 통합보육 경험의 중심현상인 '통합보육 시행에 따른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의무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 '통합에 대한 끊임없는 공부'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바람직한 통합보육 시설의 준비'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 만안초등학교(2002). 통합교육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중복장애아의 사회적 응능력 신장. 통합교육 시범학교 운영사례집. 2. 59-75.
  2. 구옥종(2006).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진(2007). 장애아 통합보육의 필요성과 실행요소.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 학회 추계전국학술대회. 79-80.
  4. 김외정(2009).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불교 원광유아 기관(유치원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덕자(2007).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사립유치원장의 인식 조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정순(1999).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교사의 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문희(2001). 특수보육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신경림(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9. 안함순.민기연.박영균(2005).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유치원의 운영자와 일반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4(2). 221-235.
  10. 안함순.서경희(1998).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장의 태도. 아동.가족복지연구. 2. 103-119.
  11. 양영아․서영숙(2005). 보육시설장이 바라보는 보육시설 운영과정에서의 보육 본질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57-78.
  12. 오미옥(2004).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태 및 통합유치원장의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명자(1995).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관한 유치원장의태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소현(2005). 장애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77-305.
  15. 이소현.조윤경.최윤희.이수정.원종례.김수진(2006). 장애유아 통합보육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 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특수교육학연구. 41(1). 253-281.
  16. 이언담(2007). 교정사고를 경험한 교도관의 심리변화 및 적응과정: 근거이론적접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영철(2000). 장애아 전담 보육시설 기관장의 시설운영에 대한 태도와 역할. 재활심리연구. 7(1). 187-199.
  18. 장영실(2009). 장애유아부모의 통합보육 경험과 욕구 분석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8(9). 127-147.
  19. 정길정(2002).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조용환(1999).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서울: 형설출판사.
  21. 조윤경(2006). 통합된 취학전 장애아동의 관련 서비스 수혜 실태 및 욕구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165-180.
  22. 최보연.전귀연.정정희(2002). 포괄적인 장애아 통합교육 서비스 모형개발. 대한가정학회지. 43(4). 79-95.
  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통계연보.
  24. Guba & Lincoln(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