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보건복지가족부
References
-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제 3판. 고려의학. 2008;3:143-50.
- 이광재. 비만관리를 위한 건강 길잡이. 서울:한미의학. 2003:6-7, 98-121.
- 보건복지부.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편. 서울. 1999.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서울. 2009.
- Jean-Pierre D, Isabelle L, Jean B, Pilippe P, et al. Abdomin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ontribution to global cardiometabolic risk.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1039-49. https://doi.org/10.1161/ATVBAHA.107.159228
- 김철희.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비만의 약물치료. 대한당뇨병학회. 임상당뇨병. 2008:173-7.
- 박혜순. 비만 약물의 특성과 상황에 따른 처방 요령. 대한비만학회지. 2002;11(1):25-33.
- 박철영. 비만의 최신 약물치료제. 경희의학. 2002;18(2):77-85.
-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2000년 이후 비만치료에 사용되는 처방 및 본초에 대한 문헌연구(麻黃을 중심으로). 한방비만학회지. 2007;7(1):39-54.
- 이기주, 전병훈, 김경요. 太陰調胃湯이 백서의 비만증 및 유도비만세포에 미치는 효과.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2):219-38.
- 신동준, 김달래, 김선형. 太陰調胃湯과 麻黃이 비만백서의 Leptin에 미치는 영향. 사상체질의학회지. 2001;13(1):79-87.
-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회혁, 김종오, 임은미. 12주간 太陰調胃湯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 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2002;11(1):53-65.
-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회혁, 김종오, 정진욱. 운동과 太陰調胃湯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운동과학. 2002;11(2):345-57.
- 이재익, 박용권, 김용정, 김경수, 김강산. 太陰調胃湯 전탕액이 비만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3):497-507.
- 조세왕, 박성식. 太陰調胃湯이 비만유발 흰쥐의 체중감량, 혈청지절 및 UC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87-97.
- 이준무, 임윤택. 太陰調胃湯 약침이 고지방 급여 흰쥐의 혈장 및 간장의 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5;22(2):151-61.
- 한정석, 신영오, 오재근, 금동호. 太陰調胃湯 투여가 비만유전자 쥐의 식욕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131-45.
- 김길수, 이동웅, 김용래, 황문제, 김근우, 구병수. 太陰調胃湯과 그 加減方의 항비만 및 항고지혈증 효과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2):57-74.
- 송미연, 이종수, 김성수, 신현대. 절식요법 시행 후 태음인비만에 대한 淸肺瀉肝湯과 太陰調胃湯의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8;8(1):34-56.
- 서남준, 남동우, 이은욱, 심범상, 안규석, 김성훈. 加味太陰調胃湯 전탕액을 활용한 비만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2):446-52.
- 장영주, 조정훈, 송병재. 太陰調胃湯과 전기침 병행 치료의 비만에 대한 효과. 한방비만학회지. 2001;1(1):1-11.
- 장문석, 심경준, 김휴영, 박은화, 고은빛, 최봉재, 양웅모, 임형호, 이명종, 박성규. SD계 흰쥐에 대한 太陰調胃湯의 급성 경구 독성 시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439-43.
- 이영미, 박혜순, 천병철, 김현수. 복부지방의 지표로서 부위별 허리둘레 측정값의 신뢰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2):123-30.
- Fujioka S, Matsuzawa Y, Tokunaga K, Tarui S. Contribution of intra-abdominal fat accumulation to the impairment of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human obesity. Metabolism. 1987;36:54-9. https://doi.org/10.1016/0026-0495(87)90063-1
- 박혜순, 선우성, 오상우 등. 한국형 비만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대한비만학회지. 2003;12(4):280-93.
- 이민규, 이영호, 박세현, 손창호, 홍성국, 이병관. 한국판 식사태도검사-26(The Korean 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신뢰도 및 요인분석. 정신신체의학. 1998;6(2):155-74.
- 이주아, 공경환, 고호연, 배광호, 박선영, 박경무, 송윤경, 박정현, 김호준, 박선주, 박정수, 고성규. 비만과 대사증후군에 관한 임상시험의 최근 경향. 한방비만학회지. 2009;9(1):15-22.
- 楊維傑. 內經素問譯解. 서울:대성문화사. 1990:235-43, 356-61.
- 張仲景. 金匱要略方論. 서울:성보사. 1985:35.
- 박성수, 염태환. 현대한방강좌. 서울:행림의원. 1975:473.
- 楊維傑. 內經靈樞譯解. 서울:성보사. 1990:303-9.
-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1971:367, 420, 426, 557, 569.
- 이제마. 東醫壽世保元. 서울:대성문화사. 1993.
-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회.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1997:413, 436-8, 482-3, 553-5.
- 신민교. 원색임상본초학. 서울:남산당. 1986:232, 374, 392, 516.
- 이상인 외. 한약임상응용. 서울:성보사. 1982:53, 73, 130, 182, 431.
- Rotblatt, Ziment. 원장원, 안세영 편역.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한우리. 2002:127-30.
- White LM, Gardner SF, Gurley BJ, et al. Pharmacokinetics and cardiovascular effects of Ma-huang(Ephedra Sinica) in normotensive adults. J Clin Pharmac. 1997;37:116-22. https://doi.org/10.1002/j.1552-4604.1997.tb04769.x
- Max HP, Edzard E. Dietary supplements for body-weight reductio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04;79:529-36.
- http://www.fda.gov/oc/initiatives/ephedra/february2004/finalsummary.html.
- 김호준, 한창호, 이의주, 송윤경, 신병철, 김윤경. 비만치료 및 체중감량에서의 적절한 마황 사용에 대한 임상 진료지침 개발. 한방비만학회지. 2007;7(2):27-37.
- 송문구. 마황이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발된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대학원. 석사논문. 2009.
- 원찬욱. 고지방식이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을 이용한 麻黃, 魔芋의 비만조절효과. 동국대대학원. 석사논문. 2008.
- 주준성,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채우석. 풍륭, 음릉천에 대한 약침(창출, 의이인)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2):131-53.
- 이영종, 손영종, 임덕빈, 이은섭, 박중수, 김성기. 13과당 유도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의이인의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1):85-92.
-
김성옥. 지방세포 3T3-L1에 인삼 사포닌 Re와 의이인 추출액 처리시 비만관련 유전자인 TNF-
${\alpha}$ , lipoprotein lipase, leptin 및 resistin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회지. 2007;17(11):1523-32. - 박태용. 체감의이인탕의 항비만효과 연구. 원광대대학원. 박사논문. 2008.
- 김중화. 사상체질별 약물의 lipase 저해 활성을 통한 항비만 효능에 관한 실험 연구. 동의대대학원. 석사논문. 2005.
- 문세희, 신수환, 김희준, 김정연. 사상체질별 체성분분석과 이를 통한 비만과의 상관관계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998;8(1):267-76.
- 김달래, 백태현. 사상체질과 비만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6;8(1):319-34.
- 김은영, 김종원. 사상체질과 비만에 관한 임상적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3):100-11.
- 임진희, 이임순, 고병희, 송일병, 이수경. 중년 비만여성의 사상체질별 특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004;16(3):59-69.
- 류수민, 신승우, 김길수, 문진석, 윤유식. 사상 체질별 비만도 분석과 체지방 감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5;5(1):21-9.
- 김경요, 한종현, 홍순용. 태음인 남학생의 혈액변화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991;3(1):151-72.
- 김경준, 김달래. 체질별 혈청 지질성분의 분석에 관한 실험적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993;5(1):139-44.
- 김기진, 안나영, 황문영. 성인의 허리둘레와 비만관련 특성의 관련성.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6;27:135-45.
- 심우진, 류수진, 신승우, 김길수. 비만치료에 유용한 단순비만지표의 선별. 한방비만학회지. 2006;6(1):69-80.
- 이영훈. 일부 지역사회의 정상 체질량지수 여성에서 허리둘레, 허리둘레/신장비와 대사성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09;13(1):12-23.
- Zhu S, Wang Z, Heshka S, Heo MS, Faith M, Heymsfiled S. Waist circumference and obesity-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white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linical action thresholds. Am J Clin Nutr. 2002;76:743-9.
- 김상만, 김성수, 윤수진, 심경원, 최희정, 김광민, 이득주. 복부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순비만지표는?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57-68.
- 이형우. 대사증후군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2006;71(4):463-7.
- 고진호, 김기진. 성인여성의 체지방률, BMI 및 허리둘레로 구분한 비만유형간 신체구성의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07;15:1-7.
-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 Med. 1982;12(4):871-8.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49163
- http://ezdrug.kfda.go.kr/kfda2.
- 김효정, 김종열. 太陰調胃湯을 복용한 태음인 소음인 소양인의 반응에 대한 임상보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600-5.
- 서동민, 이상훈, 이재동. 비만환자에 대한 조위승청탕의 효과 및 부작용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22(3):145-53.
- James WP, Astrup A, Finer N, Hilsted J, Kopelman P, Rossner S, Saris WH, Van Gaal LF. Effect of sibutramine on weight maintenance after weight loss: a randomised trial. STROM Study Group. Sibutramine Trial Obesity Reduction and Maintenance. Lancet. 2000;356:2119-25. https://doi.org/10.1016/S0140-6736(00)034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