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과 손자녀 양육경험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 오경석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0.04.06
  • 심사 : 2010.06.15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에 따라 그들의 손자녀 양육경험이 어떠한 특정을 보이는가를 살펴보았다. 심층면접과 참여관찰법이 연구방법으로 이용되었다. 먼저 재미한인노인의 생성감 수준을 측정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노인과 높은 노인으로 각각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생성감 수준이 낮은 조부모들은 비자발적 양육책임, 심한 양육스트레스, 가족에 대한 죄책감과 수치심, 불안한 미래, 자기 돌봄의 부재, 사회적 지지의 부재를 나타내었다. 생성감 수준이 높은 조부모들은 자발적 양육책임, 역전된 부모역할에 대한 긍정적 반응, 양육에 대한 보람, 미래에 대한 희망, 자기 돌봄의 존재, 사회적 지지의 존재를 특징으로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and care-giving experiences of their grandchildren according to their level of generativity.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were used. First, this study used Loyola Generativity Scale in order to find Korean immigrant elderly's generativity level. 4 grandparents were selected as a group of low generativity level and 4 grandparents as high level. Grandparents with low generativity level showed non-voluntary care-giving, severe care-giving stress, guilty feeling for their adult children and shame for their ancestors, anxiety for the unstable future, lack of self-care, and lack of social assistance. Grandparents with high generativity level showed voluntary care-giving, positive reaction for the reversed parental care, feeling of usefulness for care-giving, hope for the future, existence of self-care, and existence of social assistance. Further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made from the study resul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인수. (2001).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아동간호학회지, 6(2), 212-223.
  2. 김미혜, 김혜선. (2004).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4(3), 153-170.
  3. 김오남. (2007).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부담과 보상감. 한국노년학연구, 16, 59-84.
  4. 김유미, 김명희, 정여주.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복지연구, 38, 123-163.
  5. 김은주, 서영희. (2007).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실제에 관한 질적연구. 아동학회지, 28(2), 175-192.
  6. 김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8, 85-117.
  7. 김혜선. (2005). 농촌과 도시 지역 손자녀를 전담 양육하는 저소득층 조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8, 341-378.
  8. 박경애. (2007). 사회적 지지가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돌봄보상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2(3), 25-45.
  9.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79-410.
  10. 배진희. (2007).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요인 - 양육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9, 67-94.
  11. 서현. (2009).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양육에 대한 조부모의 어려움.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13-27.
  12. 서혜석. (2005). P.E.T.를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이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27, 279-302.
  13. 서흥란, 김양호.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과 사회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67-296.
  14. 송유미, 이윤형. (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4.
  15.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 (2008). 농촌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손자녀에 대한 비용-보상적 가치관이 손자녀 양육 이후의 생활만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8(2), 145-178.
  16. 오경석. (1995). 재미 한인 노인의 생성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논집, 15(1), 3-25.
  17. 오경석. (2001). 청년, 중년, 노년의 생성감. 한국노년학, 21(1), 59-71.
  18. 오경석. (2002). 노인의 생성감과 인생이야기. 한국노년학, 22(2), 113-129.
  19. 유민지, 이기숙. (2002). 노년기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 노년학, 21(3), 91-109.
  20. 이미숙. (2008). 국내 장애아 조부모 역할 증진에 대한 고찰. 중복 . 지체부자유 연구, 51(3), 143-166.
  21. 이미영. (2007). 조손가정의 형성과정 및 생활실태, 복지행정논총, 17(1), 203-230.
  22.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23. 이영숙. (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73-681.
  24. 이영숙, 박화윤. (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11-232.
  25. 이현주. (2007a) 저소득 조손가족 아동의 성인아이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한국아동복지학, 23, 7-32.
  26. 이현주. (2007b). 조부모 대리 양육 아동의 장기위탁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8(6), 53-72.
  27. 이현주. (2007c). 대리양육 위탁가정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정-근거 이론 접근방법으로- 노인복지연구, 37, 361-392.
  28. 이화영. (2006). 조손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32, 327-355.
  29. 장희선, 김윤정. (2008). 농촌지역 조부모-손자녀가족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0, 7-30.
  30. 정동하. (200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29-49.
  31. 최혜지. (2006). 저소득층 조손가족의 조부모-손자녀 관계 결정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6(3), 641-655.
  32. 최혜지. (2008).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의 실태와 작용기제에 관한 연구. 정선보건과 사회사업, 29, 122-149.
  33. 한경혜, 주지현, 이정화. (2008). 조손가족 조모가 경험하는 손자녀 양육이 보상과 비용, 한국노년학, 28(4), 1147-1164.
  34. 한경혜, 주지현, 정다겸. (2009).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저소득층 조손가족 조부모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적응. 한국가족복지학, 26, 87-122.
  35. Burton, L. M. (1992). Black grandparents rearing children of drug-addictedparents: Stressors, outcomes, and social service needs. The Gerontologist, 32(6), 744-751. https://doi.org/10.1093/geront/32.6.744
  36. Dowdell, E. B. (2004). Grandmother caregivers and caregiver burden.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9(5), 299-304. https://doi.org/10.1097/00005721-200409000-00007
  37. Dowdell, E. B. & Sherwen, L. N. (1998).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Across-generation challenge to caregiv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4(5), 8-13.
  38.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ew York: Norton.
  39. Erikson, E. H. (1964). Insight and responsibility. New York: Norton.
  40. Jendrek, M. P.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https://doi.org/10.1093/geront/34.2.206
  41. Kelly, S. J., Yorker, B. C. & Whitley, D. (2001). To grandmother's house we and stay: Children raised in intergenerational famil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7, 12-20.
  42. Kennedy, J. F. & Keeny, V. T. (1998). The extended family revisited: Grandparents rearing grandchildre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19, 26-35.
  43. Keyes, C. M. & Ryff, C. D. (1998). Generativity in adult lives: Social sturctural contours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ces. In D. P. McAdams & E. de St. Aubin (Ed.),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pp. 227-263).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4. Kim, O. (1999). Predictors of loneliness in elderly Korean immigrant women living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9(5), 1082-1088.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0993.x
  45. Kotre, J. (1984). Outliving the self: Generativity and the interpretation of lives. Baltimore, MD: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46. Lee, M. S., Crittenden, K. S. & Yu. E. (1996).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2(4), 313-327. https://doi.org/10.2190/2VHH-JLXY-EBVG-Y8JB
  47. McAdams, D. P. & de St. Aubin, E. (1992). A theory of generativity and its assessment through self-report, behavioral acts, and narrative themes ill autobi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1003-1015. https://doi.org/10.1037/0022-3514.62.6.1003
  48. McAdams, D. P. & de St. Aubin, E. (Ed). (1998). Generativity and adult development.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9. McAdams, D. P., de St. Aubin, E., & Logan, R. L. (1993). Generativity among young, midlife,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8, 221-230. https://doi.org/10.1037/0882-7974.8.2.221
  50. Mui, A. C. (2001). Stress, coping,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3(3-4), 281-300.
  51. Neugarten, B. L. & Weinstein, K. K. (1964). The changing American grand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26(2), 199-204. https://doi.org/10.2307/349727
  52. Ochse, R. & Plug, C. (1986). Cross-cultural investigations of the validity of Erikson's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igy, 50, 240-1252.
  53. Pang, K. Y C. (2000). Symptom expression and somatizat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Clinical Geropsychology, 6(3), 199-212. https://doi.org/10.1023/A:1009541200013
  54. Peterson, B. E. & Stewart, A. J. (1993). Antecedents and contexts of generativity motivation at midlife. Psychology and Aging, 11, 21-33.
  55. Roithmayer, S. (2001). Emotional distress of grandmother raising grand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York.
  56. Ryff, C. D. & Migdal, S. (1984). Intimacy and generativity: Self-perceived transitions. Signs, 9, 470-481. https://doi.org/10.1086/494072
  57. Smith, A. & Dannison, L. (2002). Education educators: Programming to support grandparent-headed families, Contemporary Education, 72, 47-51.
  58. Sohng, K. Y, Sohng, S. & Yeom, H. A. (2002).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elderly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Health Nursing, 19(4), 294-300. https://doi.org/10.1046/j.1525-1446.2002.19409.x
  59. Young, K. & Pang. C. (1998). Symptoms of depression in elderly Korean immigrants: Narration and the healing process.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22(1), 93-122. https://doi.org/10.1023/A:1005389321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