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김귀현(2006). 정보제공이 중환자실 퇴실 환자가족의 불안 및 역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뇌졸증 환자가족을 대상으로-.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 김미예(2006). 정보제공이 응급실 내원 아동 어머니의 기분상태와 지지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나윤경(2008). SMS를 이용한 수술환자 진행정보제공이 환자가족의 간호요구만족도와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운제(2002). 의료의 질 향상 지침서. 서울: 고려의학.
- 박정은(2002). 개복수술을 받는 암환자 가족을 위한 수술대기실에서의 정보제공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박재산, 우영국(2001). SERVQUAL 척도를 활용한 입원환자 서비스의 질 구성차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논총, 11(1), 129-138.
- 박재성(1995). 외래환자의 환자만족도 측정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유양숙, 조옥희, 박숙경, 정혜선, 김석일(2005). 단문 메세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웹기반 고혈압 환자 관리 시스템 개발 및 효과: 예비연구. 임상간호연구, 11(1), 57-70.
- 이정일(2009. 1. 2). 우리나라도 '1인 2 휴대폰' 시대 개막? 아시아 경제신문, 2009. 6. 27,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09010207554653133&nvr=에서 인출
- 이미향(2006). 아로마 요법이 중환자실에 입원한 심장 스텐트삽관 환자의 안위, 불안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 이선희, 최귀선, 강혜영, 조우현, 채유미(2001). 국내 의료기관의 질 향상 사업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조직동인적 관점에서-. 예방의학회지, 34(4), 363-371.
- 이연희(2003). 수술환자 가족의 수술에 대한 불안과 간호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임정순(2006). 수술진행 정보제공 방법에 따른 암수술 환자가족의 간호요구 만족도와 상태불안.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 정기자(2002). 도.농 복합도시 대학병원의 환자만족도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천안.
- 정유진(2005). 수술 전 간호 정보 제공이 개심술 환자의 수술 후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조우현, 이선희, 이해종, 전기홍(1999). 의료서비스 마케팅. 서울: 퇴설당.
- 최귀선, 조우현, 이선희, 남정모(2000),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의 질과 만족도, 서비스 가치, 재이용 의사간의 구조분석. 예방의학회지, 33(4), 426-435.
- 최용백(2005). E-mail을 이용한 미숙아 정보제공이 부모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홍희정(2004). 수술대기실 환자현황판을 이용한 수술진행 정보 제공이 환아어머니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Anhoj, J., & Moldrup, C. (2004). Feasibility of collecting diary data from asthma patients through mobile phones and SMS(short message service): Response rate analysis and focus group evaluation from a pilot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6(4), e42. https://doi.org/10.2196/jmir.6.4.e42
- Arthur, H. M., Daniels, C., McKelvie, R., Hirsh, J., & Rush, B. (2000). Effect of preoperative intervention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in low-risk patients awaiting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3(4), 253-262.
- Carmody, S., Hickey, P., & Bookbinder, M. (1991). Perioperative needs of families. Results of a survey AORN Journal, 54(3), 561-567.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Donnell, S. G. (1989). Coping during the wait: Surgical nurse liaison program aids families. AORN Journal, 50(5), 1088, 1090-1092.
- Leske, J. S. (1996). Intraoperative progress reports decrease family members' anxiety. AORN Journal, 64(3), 424-436. https://doi.org/10.1016/S0001-2092(06)63055-X
- MacDonald, K., Latimer, M., & Drisdelle, N. (2006). Determining the impact of a surgical liaison nurse role in the paediatric operating room. Canadian Operating Room Nursing Journal, 24(1), 35-36.
- Molter, N. C. (1979)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descriptive study. Heart & Lung, 8(2), 332-339.
- Paavilainen, E., Seppanen, S., & Astedt-Kurki, P. (2001). Family involvement in perioperative nursing of adult patients undergoing emergency surger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2), 230-237.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1.00477.x
- Travelbee, J. (1963). What do we mean by rappo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63, 7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