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치위생과 학생의 현장임상실습교육에 관한 교수효율성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0.23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training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1 dental hygiene juniors in seven different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on whom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 WIN 12.0 program,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aching efficiency of clinical training that the dental hygiene students undergone was on the average. As for evaluation of the factors of teaching efficiency, they gave the highest marks to the role model factor(3.40). 2. The size of the institutions where they received clinical training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teaching efficiency of their clinical training. The university hospitals ranked first in professional knowledge, one of the sub-directory of teaching efficiency,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 Concerning links betwee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major and view of teaching efficiency, stronger satisfaction with the major led to better perception of teaching efficiency(p=.001). Among the subdirectory of teaching efficiency, tha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view of interpersonal skills, performance as a supporter, fair evaluation, academic organization skills(p=.005), encouragement and support, teaching methods, professional academic knowledge(p=.001), communicative competency, performance as a role model and cooperation with the staff of dental clinics(p=.000).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teaching efficiency according to teaching styles. Among the sub-directory of teaching effici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encouragement and support(p=.00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clinical training was approximately on the average, and that a better satisfaction with the major led to a higher teaching efficacy. Therefore a wide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boost the quality of clinical training to improve its teaching efficacy.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교육에 있어 교수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4월 12일부터 4월 26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7개 대학의 치위생과 3학년 학생 37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교육 교수효율성은 '중'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효율성 요인에 대한 평가는 역할모델 요인이 3.40점으로 가장 높았다. 2. 임상실습기관 규모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교수효율성 하위영역에서는 전문적 지식요인이 대학병원에서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치위생 전공만족도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수효율성이 높았고(p=.001), 교수효율성 하위영역에서는 대인 관계술, 원조자로서의 기능, 공정한 평가, 교과에 대한 조직력(p=.005), 격려와 지지, 교수법,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p=.001), 의사소통술, 좋은 역할모델, 치과직원과의 협조(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현장임상실습 교수유형에 따른 교수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교수효율성 하위 영역에서는 격려와 지지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장임상실습교육에 관한 교수효율성은 '중'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수효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으므로, 교수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법 및 체계적인 실습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임상실습교육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lare J et al.: Curriculum clinical education, recruiment transition and retension in nursing. AUTC Phase One Final Report, Flinders University, Adelaide, Australia, 2002.
  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2판. 하우출판사: 서울, pp. 100-150, 1994.
  3. 최미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 대한 교수효율성과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 임상간호과학 대학원, 서울, 2005.
  4. Fitzptrick JJ: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Nursing Education Persectives 25(3): 109, 2004.
  5. 최공옥, 조현숙, 김정엽: 간호학생 임상실습교육에서 실습지도 자활용(preceptorship)의 교수효율성. 가천길대학논문집 제29(1): 51-58, 2001.
  6. 유영환: 간호전문대학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97.
  7. 양승경, 한경순: 치위생 현장임상교육에서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효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 653-662, 2009.
  8. 김화자: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중 인지하는 스트레스, 증상 , 대처양상과 임상실습 수행과의 관계. 수원여자대학 개교 30주년 기념논문집 제25(1): 451-492, 1999.
  9. Reeve MM: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1): 15-20, 1994.
  10. 김미애: 임상간호 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96.
  11. 박정란: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과 임상실습에 관한 태도[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대구, 1991.
  12. Nahas VL, Yam MC: Hong k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ive clinical teache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0(5): 233-237, 2001.
  13. 심형순 등: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에 관한 실태조사. 구강생물학회지 27(2): 37-50, 2003.
  14. 조경미, 이성은: 임상실습교육의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경인논집 1(2): 123-135,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