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Scaling Behaviors and Knowledge and Oral Health Belief of Workers in Certain Region

일부 지역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

  • Kim, Young-S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 Yoon, Young-J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 Go, Eun-Je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inju Health College)
  • 김영선 (대구보건대학 치위생과) ;
  • 윤영주 (대구보건대학 치위생과) ;
  • 고은정 (진주보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0.07.25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behaviors and knowledge about scaling and oral health belief of worker,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industry oral health policy. The survey had conduc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326 workers in Gyeongsan and Yeongcheon areas in Gyeongbuk province. Their scaling behaviors, knowledge and oral health belief were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about scaling was 6.44. The average oral health belief was 2.72. In detail, 'usefulness' was 3.24 as the highest and 'seriousness' was 2.25 as the lowest. The periodic scaling and scaling cycle were associated with 'seriousness' and 'barrier' as positive correlation(p<.05, .01).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ssociated with knowledge and 'usefulness' as negative correlation(p<.01). Meanwhile, scaling motiv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cue of action'(p<.01),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knowledge(p<.01). In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bout scaling and oral health belief, knowledg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arrier'(p<.01)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usefulness'(p<.01). Finally, we need to advertise and manage the importance of scaling politically and makes people do the voluntary scaling in six-month intervals in order to keep the periodontal health of worker.

본 연구는 근로자의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북 일부지역의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미회수자와 부실한 응답자 21명을 제외한 479명 중 스켈링 경험이 있는 326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스켈링 지식 평균은 6.44(10점 만점)이었고, 구강건강신념 평균은 2.72(5점 척도)이었다. 하부 영역 중 '유익성'이 3.24로 가장 높았고, '심각성'이 2.25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켈링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에서 성별은 '행동의 계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연령은 '심각성'과 '행동의 계기'에서 차이가 있었다(p<.05). 학력은 '심각성'에서 차이가 있었고(p<.01), 근무분야는 스켈링 지식과 '감수성' 및 '심각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5), 월수입은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05). 3.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의 차이에서 정기적으로 스켈링을 하는 경우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하지 않는 경우 '감수성', '심각성' 그리고 '장애성'에서 높았다(p<.05, .01, .001). 스켈링 주기는 짧을수록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이 유의하게 높았고(p<.001, .01), '장애성'은 주기가 길수록 높았다(p<.01). 스켈링 동기는 자발적인 경우 스켈링 지식이 높았고(p<.01), 권유에 의한 경우 '행동의 계기'가 높았다(p<.01) 4. 스켈링 행태와 지식 및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정기적 스켈링과 스켈링 주기에서 스켈링 지식과 '유익성'은 역상관(p<.01), '심각성'과 '장애성'은 순상관(p<.05, .01)을 보였고, 스켈링 동기는 스켈링 지식과는 역상관(p<.01), '행동의 계기'와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5. 스켈링 지식과 구강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는 '장애성'과는 역상관(p<.01), '유익성'과는 순상관(p<.01)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근로자의 치주건강을 위해서는 스켈링에 대한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홍보, 관리하여 6개월 주기로 정기적 스켈링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호근: 산업구강보건연구에서 새로운 접근방법-구강건강과 삶의 질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산업구강보건학회지 8(1): 53-60, 1998.
  2. 이태현, 나수정, 김진범: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 태도 및 행동.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1(2): 279-300, 1997.
  3. 김문조: 서울시내 모방직공장 여근로원 구강상태의 30년을 격한 비교.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3(4): 339-342, 1975.
  4. 질병관리본부: 국민구강건강영양조사. 2007.
  5. 임미희: 구강보건행동이 치은염 이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성남, 2001.
  6. 강현경 외 5인: 치주질환자에 대한 유지관리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3): 271-280, 2005.
  7. 심지은: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광주, 2002.
  8. 김은주: 구강건강신념과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치과병.의원 내원 환자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성남, 2001.
  9. 정은경: 제조업 근로자의 스켈링에 대한 행태와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4.
  10. 정정옥, 주온주, 우승희: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스켈링에 대한 인식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8(1): 133-145, 2008.
  11. 윤영주: 산업장 근로자의 치아스켈링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 와 관련요인[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9.
  12. Rosenstock IM: Why people use health services. Milbank Mem Fund quart 44: 94-127, 1966. https://doi.org/10.2307/3348967
  13. Kegeles SS: Some changes required to increase the public's dentistry. J Pub Health Dent 28(1): 19-26, 1968. https://doi.org/10.1111/j.1752-7325.1968.tb03923.x
  14. 이현옥, 김진: 노인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8(2): 57-63, 2008.
  15. 박금자, 박춘화, 김미옥: 중년여성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신념 과 지식 및 실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2): 130-139, 2009.
  16. 이정화, 전은숙, 이혜진: 현대 자동차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 행위 및 인지도에 관한 조사. 한국위생과학회지 12(2): 47-54, 2006.
  17. 정정옥, 배수명, 송귀숙: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1): 21-27, 2008.
  18. 김연화,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1): 17-23, 2009.
  19. 공만석 외: 모친의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1): 31-53, 1996.
  20. 오윤배: 모친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신념이 아동의 구 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익산, 1997.
  21. 신정제: 직장근로자들의 스케일링 방문에 영햐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1.
  22. 노희진, 박순영: 우리나라 국민들의 치주질환 예방에 대한 비용편익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치주학회지 27(1): 50-65, 2002.
  23. 김설악: 기혼여성의 구강건강신념에 관한 조사연구(6). 여주대학 논문집, 여주,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