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Multiple Basal Cell Carcinomas in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 Ji, So Young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ong Kang General Hospital) ;
  • Lee, Seong Pyo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ong Kang General Hospital) ;
  • Suhk, Jeong Hoon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ong Kang General Hospital) ;
  • Yang, Wan Suk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Dong Kang General Hospital)
  • Received : 2010.03.05
  • Accepted : 2010.03.31
  • Published : 2010.04.10

Abstract

목적: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또는 골린-골츠 증후군은 한국에서는 흔하지 않은 증후군으로 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하고 다기관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높은 표현율과 다양한 표현도를 특징으로 한다.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의 진단 기준에는 다발성 기저세포암, 이소성 석회화(ectopic calcification), 손 또는 발바닥 오목 (palma or plantar pits), 치성 각화 낭종(odontogenic keratocysts), 가족력 및 골격계, 신경계, 안, 비뇨생식계 및 심장혈관의 이상 등이 있다. 본원에서 주로 두부의 다발성 기저세포암을 가진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 환자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환자는 2007년 4월 두부의 색소성 모반으로 피부과에서 시행한 펀치 생검에서 기저세포암을 진단받고 의뢰되었으며, 이후 2009년 7월까지 14회의 추가적인 절제 및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는 갑상샘 유두암종의 재발로 인해 갑상샘 절제술을 2회 시행한 과거력이 있었으며 이학적 검사와 일반 혈액, 소변, 간 기능 및 갑상선 기능 검사를 시행하였고, 흉부와 늑골 방사선 검사, 심전도와 안면부 및 두부 컴퓨터단층촬영과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두부와 안면부에서 절제한 27개의 병변 중 23개(85%)가 기저세포암으로 진단되었으며, 치성 각화 낭종과 대뇌겸 석회화, 이학적 검사에서 손바닥 오목이 발견되었다. 하복부 초음파에서 난소 낭종이 발견되었으나 조직 검사는 시행되지 않았다. 결론: 한국에서 모반양 기저세포암 증후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치과와 피부과 영역에서 국한되었으며, 특히 치과 영역에서의 보고는 치성 각화 낭종 및 손바닥 오목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주로 두부의 다발성 기저세포암을 가진 모반양 기저세포암의 환자를 경험하였으며, 초기에 발견된 작은 병변의 제거 시 2mm의 정상 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였어도 3년간의 경과관찰 중 재발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orlin RJ: Nevoid basal-cell carcinoma (Gorlin) syndrome. Genet Med 6: 530, 2004 https://doi.org/10.1097/01.GIM.0000144188.15902.C4
  2. Kimonis VE, Goldstein AM, Pastakia B: Clinical manifestations in 105 persons with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Am J Med Genet 69: 299, 1997 https://doi.org/10.1002/(SICI)1096-8628(19970331)69:3<299::AID-AJMG16>3.0.CO;2-M
  3. Evans DG, Ladusans EJ, Rimmer S: Complications of the na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Results of a population based study. J Med Genet 30: 460, 1993 https://doi.org/10.1136/jmg.30.6.460
  4. Ahn SG, Lim YS, Kim DK, Kim SG, Lee SH, Yoon JH: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A retrospective analysis of 33 affected Korean individuals. Int J Oral Maxillofac Surg 33: 458, 2004 https://doi.org/10.1016/j.ijom.2003.11.001
  5. Gorlin RJ, Goltz RW: Multiple nevoid basal-cell epithelioma, jaw cysts, and bifid rib syndromes. New Eng J Med 262: 908, 1960 https://doi.org/10.1056/NEJM196005052621803
  6. Hahn H, Wicking C, Zaphiropoulos P, Gailani M, Shanley S, Chidambaram A: Mutations of the human homologue of Drosophila patched in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Cell 85: 841, 1996 https://doi.org/10.1016/S0092-8674(00)81268-4
  7. Howell JB, Freeman RG: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the pits with their tumors in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J Am Acad Dermatol 2: 224, 1980 https://doi.org/10.1016/S0190-9622(80)80010-7
  8. Stephen J. Mathes: Plastic Surgery, 2nd ed, Philadelpia, Saunders Elsevier, 2006, Vol 5 p 416
  9. Holubar K, Matras H, Smalik AV: Multiple palmar basal cell epitheliomas in basal cell nevus syndrome. Arch Dermatol 101: 679, 1970 https://doi.org/10.1001/archderm.101.6.679
  10. Cho DY, Lee SC, Won YH, Chon IG: A case of nevoid cell carcinoma syndrome with basal cell carcinoma developing in a palmar pit. Korean J Dermatol 34: 684, 1996
  11. Cho KY, Nam JT, Kim KH, Kim YS, Lee BG: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two case reports. Korean J Dermatol 30: 951,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