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Regarding Traditional Food

전통음식관련 연구동향

  • 박재완 (남서울대학교 호텔경영학과)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0.12.13
  • Published : 2010.12.28

Abstract

Recently the development if traditional food local food affects regional and national tourism industry. Traditional food has to be renewed by emphasizing regional tradition, historicity, and characteristic and be regarded as cultural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tourism resources focused on traditional food. This analysed traditional food related study published from 1985 to 2009(n=129).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regard to such perspectives as study field, methodology, statistical analysis etc.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Frist, 40.3% of articles was written by one author, and slightly more then 59.7% was written by co-author. Seconds, 39% articles was focus on preferences and awareness so, need to study on menu developmen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tourism resources and commercialization. Academician should continue to conduct research in these fields in an effort to provide practitioners informations.

최근 지방과 국가차원에서 관광산업의 일환으로 전통음식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전통음식은 지역의 전통, 역사와 특성, 문화를 구성하는 중요요소로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음식을 관광자원개발로 연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통음식과 관련하여 1985년부터 2009년까지 출판된 연구 129개를 대상으로하여 연구시기와 저자, 연구비지원과 연구내용의 동향, 조사대상과 지역, 연구형식과 분석기법의 동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관련분석으로 단독연구가 40.3%, 공동연구가 59.7%로 나타났고 지속적으로 단독연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둘째, 선호도와 인식과 관련한 분야에 대한 연구가 39%로 높게 나타나 향후, 메뉴개발이나 실태조사 등과 관련한 연구를 통한 상품화와 자원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을 학생으로 한 연구가 24%로 나타나 관광객과 외국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넷째, 현재 57.4%에 이르는 설문지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연구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산업체를 중심으로 하는 연구 지원 등이 수행된다면 학계의 연구결과가가 산업현장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지속적인 학문적 노력과 연구를 통하여 가능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현순, “한식의 세계화, 관광상품화 전략에 관한 연구”, 문명연지 제22호, pp.37-58, 2009.
  2. 박재완, 이덕원, “강원지역 향토음식 메뉴개발 의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2권, 제1호, pp.180-193, 2008.
  3. 문화경제신문, 2009. 10. 17.
  4. 정규엽, 이승연, 서용진, “호텔경영학의 연구문헌 동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93-206, 2006.
  5. Sheldon Pauline J, "An Authorship Analysis of Tourism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8, pp.473-484, 1991.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53-E
  6. Shane C. Blum, "Organizational trend analysis of the hospitality preparing for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Vol.8, No.7, pp.20-32, 1996. https://doi.org/10.1108/09596119610152023
  7. C. W. Simon and W. M. Ken, "An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areas and research techniques used in five hospitality related journal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11, No.2, p.159, 1992.
  8. 김정근, “한국의 관광학연구 성향에 관한 고찰”, 관광학연구, 제14권, pp.113-127, 1989.
  9. 안종윤, “한국에 있어서 관광연구의 현상과 과제”, 관광학연구, 제18권, 제2호, pp.221-238, 1995.
  10. 김사헌, “우리나라 관광학술지의 연구논문 성향 분석”, 관광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89-211, 1999.
  11. 박호표, “한국과 외국의 관광학 연구 동향에 관한 비교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8권 제1호, pp.243-269, 1999.
  12. 김대권, “국내관광학 연구문헌의 연구동향”관광정책학연구, 제9권, 제1호, pp.41-62, 2003.
  13. 최규환, “관광학술지 연구논문에 관한 내용분석”, 관광.레저연구, 제15권, 제1호, pp.11-29, 2003.
  14. 변우희, 조광익, 김기태, 한상현, “관광학 연구동향 및 교육과정 분석과 관광학총론의 구성체계”, 관광학연구, 제32권, 제4호, pp.35-53, 2008.
  15. 임영희, 최은희, “국내 외식산업의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생활과학연구, 제4권, pp.65-91, 1998.
  16. 이선호, 나태균, “메뉴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조리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6-143, 2006.
  17. 정유경, 정원희, 김영갑, “외식경영관련 학술지논문의 동향분석”, 외식경영연구, 제10권, 제2호, pp.73-91, 2007.
  18. Rutherford Denny G. and Willim H. Samefink, "Most frequent contributors to the hospitality literature", Hospitality Research Journal, Vol.16, No.1, pp.23-39, 1992. https://doi.org/10.1177/109634809201600103
  19. 오익근, “내용분석의 관광연구 활동”, 관광학연구, 제24권, 제1호, pp.317-322, 2000.
  20. 김영석, 사회조사방법론, 나남출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