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eongbu Highway: Political Economic Geography of Mobility and Demarcation

경부고속도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경제지리

  •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6.24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Gyeongbu Highway construction from the standpoint of political economy, which was pursued by President Park Jeong-Hee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politics of mobility and demarcation implied in it. As results of examination, it can be argued that Gyeongbu Highway was seen as a powerful element to promote a socio-spatial integration of population and hence to enforce an authoritative political power of the Park regime through creation of mobility; that it has had an strong impact on changing the physical landscape of national space and the spatio-temporal rhythm of everyday life by extending the 'machine space' as a non-place; that it has provided a physical infrastructure on which the period of capital circulation could be reduced through its effect of space-time compression. But Gyeongbu Highway has led serious problems such as uneven regional development, expansion of non-place or alienated place, ecological destruction and pollution. In conclusion, a sustainable politics is suggested to overcome this kind of 'tragedy of highway' and to develop the highway as a true way of political and spatial balance and integration.

이 논문은 1960년대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추진된 경부고속도로의 건설에 내재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에 초점을 두고, 이를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경부고속도로는 첫째 교통로를 통한 이동성의 창출로 권위주의적 정치권력을 강화하고 사회공간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중요한 힘이었으며, 둘째 '비장소'로서 새로운 '기계공간'의 확충을 통해 국토공간의 물리적 경관과 국민들의 일상생활의 리듬을 바꾸어 놓는 위력을 가졌고, 셋째 시공간적 압축을 통해 자본의 회전시간을 단축하여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할 수 있는 물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러나 경부고속도로는 이에 포섭된 지역(수도권과 동남임해지역)과 배제된 지역(즉 호남지역과 강원지역)간 불균등발전을 틀지웠을 뿐만 아니라, 결국 이에 포섭된 지역들 내에서도 불균등발전을 심화시켜 수도권과 그 외 지역들 간을 구획화하는 정치경제적 균열화를 초래했다. 경부고속도로는 또한 이동성의 심화에 따른 장소 소외와 건설 운영과정에서 생태적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고속도로의 비극'을 해소하고 고속도로가 진정한 균형과 통합의 길로 거듭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정치'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