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지식과 인식

  • Received : 2009.07.27
  • Accepted : 2010.01.12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Identifying students' misconceptions by teachers is the primary step in using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ies. We investigated how secondary science teachers were aware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differences of predicted misconceptions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We also investigated how they addressed students' misconceptions in their instruction, and how necessary they thought it was to identify students' misconceptions for teaching science concept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7 science teachers at 28 middle schools in Seoul. Teachers' predictions were compared with the misconceptions of 240 seventh-grade students. The teachers, as a group, identified almost all the misconceptions held by the students. However, they were unable to predict which types of misconceptions were more frequent. The total number of misconceptions predicted by the teachers who had careers of less than 10 years, possessed Master's degrees, or majored in chemical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lthough most teachers stated that knowing students' misconceptions was needed for their instruction, they rarely and simply addressed them in their instructions. Many techers faced misconceptions in classroom activities, and only few teachers found them through publications relating to students' misconceptions, teacher preparation courses and/or in-service training program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은 구성주의적인 수업 전략을 행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 교사들이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을 인지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의 차이를 배경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어떻게 오개념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과학 개념을 지도하기 위해 오개념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 28개 중학교의 과학교사 8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이 제시한 오개념을 중학교 1학년 240명에게서 나타난 오개념과 비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집단적으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의 유형을 대부분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오개념이 무엇인지는 잘 예상하지 못하였다.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는 교육 경력이 10년 미만이거나 학력이 높거나 전공이 화학인 교사 집단에서 더 많았다. 비록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오개념을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단순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알게 된 교사들이 많았으며 오개념에 관한 자료나 교사 양성 과정, 교사 재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한 교사는 드물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9]. 서울: 교육부.
  2. 김경순 (2005). 화학 개념 학습에서 협동적 CAI와 상호동료 교수적 CAI의 효과: 개념 이해와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노태희, 차정호, 김창민, 최용남 (1998).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입자 수준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컴퓨터보조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61-171.
  4. 우수명 (2007). 마우스로 잡는 SPSS 14.0. 서울:인간과 복지.
  5. 윤지현, 한재영, 노태희 (2009). 구성주의 교사양성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으로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40-252.
  6. 윤회정, 우애자 (2007).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기체의 성질에 관한 오개념 비교. 교과교육학 연구, 11(2), 567-582.
  7.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8. 정은영 (2006).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운영 실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2), 155-173.
  9. 최경숙 (2003). 물질의 상태와 상태변화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Adadan, E., Irving, K., & Trundle, K. C. (2009). Impacts of multi-representational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s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3), 1743-1775.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78628
  11. Adbo, K., & Taber, K. S. (2009). Learners' mental models of the particle nature of matter: A study of 16-year-old Swedish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6), 757-786. https://doi.org/10.1080/09500690701799383
  12. Ausubel, D. (1968).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3. Berg, T., & Brouwer, W. (1991). Teacher awareness of student alternate conceptions about rotational motion and gravit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8(1), 3-18.
  14. Driver, R., & Oldham, V. (1986).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3(1), 105-122. https://doi.org/10.1080/03057268608559933
  15. Driver, R., Squires, A., Rushworth, P., & Wood-Robinson, V. (1994). Making sense of secondary science: Research into children's ideas. London: Routledge.
  16. Guzzetti, B. J., Snyder, T. E., Glass, G. V., & Gamas, W. S. (1993). Promoting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A comparative metaanalysis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s from reading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8(2), 116-159. https://doi.org/10.2307/747886
  17. Halim, L., & Meerah, S. M. (2002). Science traine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ts influence on physics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2), 215-225. https://doi.org/10.1080/0263514022000030462
  18. Herron, J. D. (1996). The chemistry classroom: Formulas for successful teaching.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 Hesse, J. (1989). From naive to knowledgeable. The Science Teacher, 56(6). 55-58.
  20. Meyer, H. (2004). Novice and expert teachers'conceptions of learners'prior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8(6), 970-983. https://doi.org/10.1002/sce.20006
  21. Morrison, J., & Lederman, N. (2003). Science teachers'diagnosi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preconceptions. Science Education, 87(6), 849-867. https://doi.org/10.1002/sce.10092
  22. Osborne, R., & Freyberg, P. (1985). Learning in science: The implications of children's science. Aukland, New Zealand: Heinemann.
  23. Pine, K., Messer, D., & St. John, K. (2001). Children's misconceptions in primary science: A survey of teachers'view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9(1), 79-96. https://doi.org/10.1080/02635140120046240
  24. Pines, A. L., & West, L. T. (1986). Conceptional understanding and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in a source-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5), 583-604. https://doi.org/10.1002/sce.3730700510
  25. Stavy, R. (1990). Children's conception of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from liquid (or solid) to ga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3), 247-266. https://doi.org/10.1002/tea.3660270308
  26. Taber, K. S. (2001). The mismatch between assumed prior knowledge and the learner's conceptions: A typology of learning impediments. Educational Studies, 27(2), 159-171. https://doi.org/10.1080/03055690120050392

Cited by

  1. 예비 과학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와 오답 반응 분석: 중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vol.55, pp.6,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1.55.6.1030
  2. 예비 과학 교사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문제 해결 능력 조사 vol.56, pp.5,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2.56.5.617
  3.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개념 변화에 초등교사들의 토론이 미치는 영향과 분류활동 결과의 분석 vol.59, pp.4, 2010, https://doi.org/10.5012/jkcs.2015.59.4.320
  4. 물질의 특성에 대한 중학생의 거시적 개념과 미시적 개념의 비교 vol.62, pp.3, 2018, https://doi.org/10.5012/jkcs.2018.62.3.243
  5.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 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vol.44, pp.3, 2010, https://doi.org/10.21796/jse.2020.44.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