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motional Quality Design Framework for Improvement of the User Experience -with emphasis on the User Interface Design-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감성 품질 디자인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서종환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
  • 이건표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8.10
  • Accepted : 2010.09.03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n the field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interactive product,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to understand emotional quality and its characteristics. By a series of experiments on emotional quality of user interface, this paper aimed to develope a systematic approach to investigating emotional quality. First, a emotional quality framework that consists of 6 dimensions (Usefulness, Easy of Use, Aesthetics, Stimulation, Identification, and Harmony) and 18 elements was developed through two experiments that users and UI expert participated in. Second, by conducting a user survey based on the emotional quality framework, it was illustrated how various emotional qualities of interactive product can be evaluated and what effects they have on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roduct.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motional quality dimensions and the contextual factors that change emotional quality, and provided basic knowledg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emotional quality for the succeeding studies.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감성 품질과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인터랙티브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감성 품질에 대한 일련의 실험연구와 분석을 통해 감성 품질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실제 사용자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조사와 실험을 통해 6가지 차원들(유용성, 사용편의성, 심미성, 자극성, 정체성, 조화성)과 18가지 요소들로 구성된 감성 품질 프레임웍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규명된 감성 품질들을 척도화한 후 실제 인터랙티브 제품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제품의 다양한 감성 품질을 측정하고 각 품질의 차원들이 제품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품질 차원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감성 품질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요인 등에 대한 분석과 논의를 통해 감성 품질의 구현과 관련된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 지식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이, 최동성, 김진우 (2002). 무엇이 홈페이지의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가? - 감성 측면과 디자이너의 측면 그리고 사용자 측면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5(4), 한국디자인학회, 97-110.
  2. 박은주, 하수진 (2001). 의류제품의 쾌락적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7(1), 1-3.
  3. 이구형 (1998).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감성과학, 1(1), 한국감성과학회, 113-122.
  4. Chen, K. & Owen, C. L. (1997). Form language and style description, Design Studies, 18(1), 249-274.
  5. Desmet, P. M. A. (2003). From Disgust to Desire: How Products Elicit Emotions, In: Hekkert, P., McDonagh, D. C., & van Erp, J. (Eds.),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Design and Emotion.
  6. Haruo, K. (2007). Perceived Quality, 한국감성과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Closing Keynote.
  7. Hassenzahl, M. (2007). Towards a UX Manifesto, In: Law, E., Vermeeren, A., Hassenzahl, M., & Blythe, M. (Eds.), COST294-MAUSE affiliated workshop, 10-14.
  8. Jordan, P. W. (2000). Designing Pleasurable Products, Taylor and Francis.
  9. Lavie, T. & Tractinsky, N. (2004). Assessing Dimensions of Perceived Visual Aesthetics of Web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60(3), 269-298.
  10. Norman, D. A. (2004). Introduction to this Special Section on Beauty, Goodness, and Usability, Human-Computer Interaction, 19(4).
  11. Phing Zhang, P. & von Dran, G. M. (2000). Satisfiers and Dissatisfiers: A Two-Factor Model for Website Design and Evalu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1(14), 1253-1260.
  12. Rafaeli, A. & Vilnai-Yavetz, I. (2004). Instrument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 of physical artifacts as triggers of emotion,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5(1), 91-112.
  13. Thompson, W. & Robitaille, B. (1992). Can composers express emotions through music?,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10(1), 79-89.
  14. Tractinsky, N. & Zmiri, D. (2006). Exploring Attributes of Skins as Potential Antecedents of Emotion in HCI, In: Fishwick, P. (Eds.), Aesthetic Computing, MIT Press, 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