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a Research Network for Radiation Oncology in Korea

  • 최진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 박서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 강진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방사선종양학교실)
  • Choi, Jin-Hy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Park, Seo-Hyu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Jin-Oh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10.07.01
  • 심사 : 2010.08.03
  • 발행 : 2010.09.30

초록

목 적: 본 연구는 방사선 종양학과의 학술적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네트워크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KoreaMed 데이터베이스에서 1986년부터 2010년 4월 30일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논문 중 방사선종양학과가 저자와 기관으로 참여한 논문 1,512편을 발표 연도에 따라 구분하여 네트워크 중심성 및 key player 인덱스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은 UCINET 6.0을 이용하였고 sociogram을 작성하기 위해 Netdraw 2.090을 사용하였으며, key player 분석은 KeyPlayer 1.4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 과: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네트워크 집중도는 1986~1990 기간 8.29%에서 2006~2010 기간 1.84%로 현저하게 낮아졌으나 의학물리학회지를 제외하고 임상분야만을 보면 2001~2005년 2.32%에서 2006~2010년 3.80%로 최근 들어 다시 높아졌다. 기관별 중심성 분석에서는 서울대학교가 중심성 7.9%로 가장 높은 지역 중심성을 보이고 있었다. 외향 중심성과 내향 중심성도 모든 기간에 걸쳐 서울대학교가 가장 높았으며(6.50%, 8.54%), 사이 중심성(14.94%)과 위상 중심성(135.234%)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Key player는 1986~2010 기간에서 인하대학교로(0.491) 나타났으며 의학물리학회지를 제외하면 연세대학교가 0.5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 론: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네트워크는 각 연구기관의 참여가 확산되고 네트워크 내에 특정 기관으로의 쏠림 현상이 완화되어 중심성이 낮아진 반면 그룹간 교류는 많지 않다.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학술적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 그룹간 교류를 개선시킬 수 있는 연구 체계의 제도적 보안이 필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scientific network of radiation oncology socie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512 articles published from 1986 to April 2010 with the terms 'radiation oncology' or 'therapeutic radiology' were obtained in the KoreaMed database. The co-auth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and their relationship was used to build a matrix. With the matrix, centralization indices and the Key Player index were analyzed. We used UCINET 6.0 for the network analysis, Netdraw for determining a sociogram and Key Player 1.44 for the key player analysis. Results: The centralization of the radiation oncology field decreased from 8.29% for the period from 1986~1990 to 1.84% from 2006~2010. However, whe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was excluded, centralization increased from 2.32% for the period from 2001~2005 to 3.80% from 2006~2010. This suggested that the communication in the clinical research field of radiation oncology is decreasing. In a node centralization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7.9%. Seoul National University showed the highest indices in the Outdegree (6.50%) and Indegree (8.54%), in addition to Betweenness (14.94%) and Eigenvector (135.234%). The Key Player analysis indicated that Inha University had the highest index at 0.491, but whe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was excluded, Yonsei University had the highest Key Player index at 0.584. Conclusion: The degree centrality in the network of radiation oncology decreased in the most recent period as more institutions are participating in network. However, the Betweenness centrality is still increasing, suggesting that the communications among research groups (clique) in radiation oncology is warra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Freeman L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 Networks 1978-1979;1:215-239 https://doi.org/10.1016/0378-8733(78)90021-7
  2. Borgatti SP. Identifying sets of key players in a social network. Comput Math Organ Theory 2006;12:21-34 https://doi.org/10.1007/s10588-006-7084-x
  3. Sohn DW.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Kyung-Moon Publishers, 2002
  4. Wasserman S. Social network analysis. Sociology 1994;22: 109-127
  5. Kang JO, Park SH. Analysis of scientific publication networks among medical schools in Korea. J Korean Soc Med Inform 2010;16:100-119

피인용 문헌

  1. The Analysis of Co-authorship and Networks among the Korean Pathologists vol.45, pp.3, 2011, https://doi.org/10.4132/koreanjpathol.2011.45.3.227
  2. 정보조직 지식구조에 대한 연구 - 2000년~2011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vol.22, pp.3,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3.247
  3. 국내 산업공학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 vol.40, pp.6, 2014, https://doi.org/10.7232/jkiie.2014.40.6.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