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Tomato

저장 온도에 따른 토마토의 품질 변화

  • Kim, Jin-Hee (Dep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 Gu, Jeong-Ry (Gyeongnam Hyundai Cooking & Coffee Education Academy Gyeongnam) ;
  • Kim, Geong-Hwan (Dept, of Food Science, DongEui Technology Institute College) ;
  • Choi, Sung-Rak (Dept. of Hotel Sommelier & Barista, Daedong College) ;
  • Yang, Ji-Young (Dep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김진희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 구정리 (경남현대요리커피교육학원) ;
  • 김경환 (동의과학대학 식품과학계열) ;
  • 최성락 (대동대학 호텔소무리에바리스타과) ;
  • 양지영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Received : 2010.08.12
  • Accepted : 2010.09.09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omato were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10^{\circ}C$, $20^{\circ}C$, room temperature and $30^{\circ}C$) for 5 days.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x, pH, color, texture, vitamin C, lycopene were analyzed. Brix and pH had a little change. Texture force of tomato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we could see a softening for tomato stored at $30^{\circ}C$ for 1 day. Addtional, the $L^*$(lightness) and $b^*$(yellowness) decreased and $a^*$(rednes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Addtionally, content of vitamin C increased up to 9.08 mg/100 g~17.82 mg/100 g after 5 days storage according storage temperature, whereas content of lycopene increased up to 3.81 mg/kg~34.56 mg/kg after 5 days storage according storage temperature. Optimal mature temperature for tomato was room temperature.

미숙 토마토를 대상으로 숙성에 미치는 저장 온도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미숙 토마토가 숙성이 되는 최적의 온도는 알아보기 위해 저장 온도를 달리 설정하여 5 일간의 숙성 기간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다. 저장 온도별로 변화되는 화학적 품질 변화를 측정한 결과, 토마토의 당도 변화에서는 초기당도가 9.10 brix에서 저장 온도에 따라 8.77 brix에서 8.93 brix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저장 온도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실온에서의 당도 변화가 가장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토마토의 pH의 변화에서는 미숙 토마토의 pH가 4.2에서 저장 5일 후 4.11에서 4.13 으로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Hunter's color value 변화에서는 L값은 미숙 토마토의 경우 41.2에서 저장 5일 후 36.81에서 38.77로 다소 값이 낮아졌으며, $10^{\circ}C$의 경우에는 40.71로 다른 저장 온도보다는 덜 감소하였다. a값은 미숙 토마토의 경우 -6.22에서 저장 5일 후 11.87에서 15.74로 증가하였으며, $10^{\circ}C$의 경우에는 8.50으로 다른 저장 온도보다는 덜 증가하였다. 그리고 b값은 미숙 토마토의 경우 20.16에서 저장 5일 후 16.13에서 17.63로 다소 값이 낮아졌으며 저장 온도가 차이는 없었다. Rheometer에 의한 토마토의 texture 변화도 미숙 토마토의 경도가 1,253 g에서 경도의 $10^{\circ}C$ 저장 5일 후에도 1,150 g이었으며, 저장 2일 후 $20^{\circ}C$의 경우 899 g, 실온의 경우 404 g, $30^{\circ}C$의 경우 486 g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비타민 C 변화에서는 미숙 토마토의 경우 7.98 mg/100 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5일간 저장 시 $10^{\circ}C$에서는 9.08 mg/100 g으로 증가하였고, $20^{\circ}C$에서는 12.01 mg/100 g, 실온은 17.65 mg/100 g으로 증가하였으며, $30^{\circ}C$에서는 17.81 mg/100 g을 나타내었다. 저장 온도에 따른 lycopene 변화에서는 미숙 토마토의 경우 0.37 mg/kg의 함량을 나타냈으며, 5일간 저장 시 $10^{\circ}C$에서는 3.81 mg/kg으로 증가하였고, $20^{\circ}C$에서는 26.85 mg/kg, 실온은 34.19 mg/kg으로 증가하였으며, $30^{\circ}C$에서는 34.56 mg/kg을 나타내었다. 토마토의 숙성 지표로 색차의 a값, 경도, vitamin C 함량, lycopene 함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토마토의 적숙온도는 실온이 적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hrens MJ, Huber DJ. 1990. Physiology and firmness determination of ripening tomato fruit. Physiol Plant 78:8-14 https://doi.org/10.1111/j.1399-3054.1990.tb08707.x
  2. Cho YJ, Hwang JK. 1998. Physicochemical factors for evalua ting freshness of apple and tomato. J Kor Soc Agric Mach 23:473-480
  3. Choi SJ, Kim YC, Park KW. 1983. Changes in pectic substances during the storage of tomato fruits at varied temperatures. J Kor Soc Hort Sci 24:118-123
  4. Hong JH, Hong SJ, Lee SK, Kim JK. 1995. Effect of nutrient calcium on the ripening of tomato fruit. J Kor Soc Hort Sci 36:595-600
  5. Hong SJ, Lee JW, Kim YC, Kim KY, Park SW. 2003.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quality attributes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ripening of tomato fruits. J Kor Soc Hort Sci 44:438-441.
  6. Hong SJ, Lee SK. 1996. Changes i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mato fruit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J Kor Soc Hort Sci 37:33-36
  7. Hong JH, Lee SK. 1999. Comparison of ripening characteristics of vine- and room-ripened tomato fruits. J Kor Soc Hort Sci 40:529-532
  8. Kim HS, Ko JS, Lee JS. 1996. Changes of composition in immature green persimm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9:478-483
  9. Kim IS, Jeong CS. 1996.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puppyfruit, content of sugar and organic acid in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J Kor Soc Hort Sci 38:187-192
  10. Kim YC, Kim KY, Suh HD, Park KW, Yun HK, Seo TC, Lee JW, Lee SG. 2003. Effect of granular silicate application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tomato in perlite culture. J Kor Soc Hort Sci 44:321-324
  11. Park YM, Ha HT. 2001. Gas absorption potential of oak charcoal and modelling for practical appliction. Kor J Hort Sci Technol 19:174-178
  12. Park KW, Kang HM, Kim DM, Park HW. 1999. Effects of the packaging films and storage temperatures on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ripe tomato. J Kor Soc Hort Sci 40:643-646
  13. Park SW, Ko EY, Lee MR, Hong SJ. 2005. Fruit quality of 'York' tomato as influenced by harvest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J Kor Hort Sci 23:31-37
  14. Hwang J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chestnuts based on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 Nutr 22:587-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