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Composite Girder by Turn Over Process

단면회전방법을 적용한 강합성 소수주거더 개발 및 실험적 성능 평가

  • 김성재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나현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성배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BK21) ;
  • 김장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0.02.02
  • Accepted : 2010.08.17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In Korea, more than 90% of the total number of steel bridges built for 40~70 m span length is a steel box-girder bridge type. A steel box-girder bridge is suitable for long span or curved bridges with outstanding flexural and torsional rigidity as well as good constructability and safety. However, a steel box-girder bridge is uneconomical, requiring many secondary members and workmanship such as stiffeners and ribs requiring welding attachments to flanges or webs. Therefore, in US and Japan, a plate girder bridge, which is relatively cheap and easy to construct is generally used. One type of the plate girder bridge is the two- or three-main girder plate bridge, which is a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that minimizes the number of required main girders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girders. Also, for the simplification of girder section, the stiffener which requires attachment to the web is not required. The two-main steel girder plate bridge is a representative type of plate girder bridges, which is suitable for bridges with 10 m effective width and has been developed in the early 1960s in France. To ensure greater safety of two- or three-main girder plate bridges, a larger steel section is used in the bridge domestically than in Europe or Japan. Also, the total number of two- or three-main girder plate bridge constructed in Korea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steel box girder bridge due to a lack of designers' familiarity with more complex design detailing of the bridge compare to that of a steel box girder bridge design. In this study, a new construction method called Turn Over method is proposed to minimize the steel section size used in a two- or three-main girder plate bridge by applying prestressing force to the member using confining concrete section's weight to reduce construction cost. Also, a full scale 20 m Turn Over girder specimen and a Turn Over girder bridge specimen were tested to evaluate constructability and structural safety of the members constructed using Turn Over process.

현재 국내에서 설계되고 있는 40~70 m 지간의 강도로교 90% 이상이 박스거더교 형식이며 박스거더교는 휨 강성과 비틀림 강성이 뛰어나 장경간이나 곡선을 갖는 교량 형식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가설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현장 안전관리 면에서도 유리한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박스거더는 상하 플랜지와 복부판이 수직, 수평보강재로 보강되는 구조로 부재량과 용접량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교량 형식으로 많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상대적으로 부부재를 줄일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인 플레이트거더교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거더교의 한 형식인 소수주거더교는 강합성교량의 합리화를 위해 많이 채용되는 형식으로, 주거더 간격을 종래의 3 m 정도에서 2배 정도인 6 m 이상으로 증가하여 주거더의 개수를 최소화시키는 경제적인 교량형식이다. 또한, 거더 단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거더의 복부판에 부착되는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를 최대한 생략할 수 있다. 2주거더교는 소수주거더교의 대표적인 형식으로, 유효폭 10 m 전후의 교량에 적합하여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서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어왔다. 국내에서는 소수주거더교 적용시 안전율 확보를 위해 유럽이나 일본 등에 비해 많은 강재량을 사용하고 있으며, 설계자들의 친밀도 부족과 박스거더교에 비해 복잡한 설계 등과 같은 여러가지 실무적용 차원에서 적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합리화 강교량 형식인 소수주거더교의 제작방법을 개선하고 구속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강교량에서 공사비와 직결되는 강중을 줄일 수 있는 신형식 강합성거더(Turn Over Composite Girder) 구조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실물 크기인 20 m 단면회전방법을 적용한 강합성 거더시험체 및 교량시험체를 제작하여 제작성을 평가하고 구조성능 실험을 하여 구조안전성을 평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용수, 안병국, 방진환, 김문영(2005) H형강과 고강도 강판으로 복합단면을 구성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플레이트거더의 개발,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7권 5호, pp. 637-648.
  2. 길흥배, 강상규(2003) 플랜지 폭이 동일한 일축대칭 플레이트거더 복부판의 전단좌굴계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1A호, pp. 121-128.
  3. 길흥배, 최병호, 권영근, 장종환(2007) 소수주거더교 설계 합리화방안, 한국강구조학회지, 한국강구조학회, 제19권 1호, pp. 22-30.
  4. 김상효, 조광일, 박병규(2006)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강거더교의 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6호, pp. 717-726.
  5. 김성일, 이필구, 이정휘, 여인호(2006)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모달테스트 및 이동 열차하중 해석에 의한 동적거동,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8권 6호, pp. 793-804.
  6. 김성훈, 박영훈, 이승용, 최준혁(2008) 역 T형강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3A호, pp. 331-340.
  7. 김재흥, 김장호, 김성배, 이나현(2010) 휨연결재에 의해 횡방향으로 보강된 분절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정적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3A호, pp. 287-295.
  8. 박미연(2007) 강건 최적화 기법에 의한 고속철도 소수주형 강교량의 LCC 효율적인 실용적 최적 설계,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박용명, 조움돋이, 황민호, 윤태양(2008) 연속 2-거더교의 여유도평가 실험-수평브레이싱 효과,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4A호, pp. 417-429.
  10. 박찬희(2007) TU 소수주거더 기술개발 1차 중간보고서, 포항산업과학연구원.
  11. 박철순(2003) 소수주거더 3경간 연속교의 가로보 부착 위치에 따른 거동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산업대학교.
  12. 이필구, 심창수, 윤태양(2003) 대직경 스터드 전단연결재의 정적거동,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5권 6호, pp. 611-620.
  13. 이필구, 심창수, 장승필, 정철헌(2001)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연속합성보의 실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5A호, pp. 583-592.
  14. 임채선(2008) 비대칭 I형 합성거더의 전단좌굴계수 분석과 적용,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5. 정연주, 정광회, 구현본, 김병석(2004) 교량용 강 .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의 실험적 정적거동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1A호, pp. 17-25.
  16. Bouazaoui, L., Perrenot, G., Delmas, Y., and Li, A. (2007) Experimental study of bonded steel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Journal of Construction Steel Research, Vol. 63, pp. 1268-1278. https://doi.org/10.1016/j.jcsr.2006.11.002
  17. Brozzetti, J. (2000) Design development of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in france, Journal of Construction Steel Research, Vol. 55, pp. 229-243. https://doi.org/10.1016/S0143-974X(99)00087-5
  18. Chiewanichakorn, M., Aref, A.J., Chen, S.S., and Ahn, I.S. (2004) Effective flange width definition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 girder,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30, No. 12, pp. 2016-2031.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2004)130:12(2016)
  19. Galambos, T.V. (1998) Guide to Stability Design Criteria for Metal Structures, 5th Edition, John Wiley & Sons.
  20. He, J., Liu, Y. Chenm I., and Yoda T. (2010) Experimental study on inelastic mechanical behaviour of composite girders under hogging moment, Journal of steel research, Vol. 66, pp. 37-52. https://doi.org/10.1016/j.jcsr.2009.07.005
  21. Kim, J.H.J., Nam, J.W., Kim, H.J., Kim, J.H., Kim, S.B., and Byun, K.J. (2008) Overview and applications of precast prestressed box-beam bridges in korea, PCI Journal, Vol. 53, No. 4, pp. 83-107. https://doi.org/10.15554/pcij.07012008.83.107
  22. Montes, S., Vollery, J.C., and Park, J. (2003) Advantage of twin i beam composite solutions for highway and railway bridge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el Structures, Vol. 3, No. 1, pp. 65-72. https://doi.org/10.12989/scs.2003.3.1.065
  23. Nakai, H., Matsui, S., Yoda, T., and Kurita, A. (1998) Trends in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in japan, Struc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Vol. 8, No. 1, pp. 30-34. https://doi.org/10.2749/101686698780489540
  24. Staliings, J.M., Cousins, T.E., and Stafford, T.E. (1996) Effects of removing diaphragms from steel girder bridg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541, pp. 183-188. https://doi.org/10.3141/1541-24
  25. Toshiyuki, K. (2006), Consideration on recent trends in, and future prospects of, steel bridge construction in japan, Journal of Construction Steel Research, Vol. 62, pp. 1192-1198. https://doi.org/10.1016/j.jcsr.2006.06.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