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by Life-Cycle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영민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조승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투고 : 2009.12.04
  • 심사 : 2010.03.11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부산시의 주택순환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가구의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설문조사는 부산시 거주 만 4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결혼 이후 현재까지의 주거이동에 대한 주거경력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 분석의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대상자들이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살펴보면, 주택유형은 아파트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택의 점유형태는 자가소유이며, 주택규모는 30평형대, 거주기간은 6년 이상 10년 미만이다. 주택자금마련 방법은 저축과 은행대출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현재 가구의 소득만으로는 자가소유의 희망주택을 마련하는 것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주택금융을 활용하여 내집마련을 하는 주거문화는 임대료를 지불하고 임차소유를 하는 외국과는 다소 다른 우리의 주거문화이다. 그러나 주거만족도의 측면에서 주거이동은 주택규모를 확장시키고 점유형태를 변화시켰기 때문에 주거이동으로 인해 대부분의 가구가 주거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의 주거에 대해 매우 높은 만족감을 보인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obility according to the household's life-cycle to observe the housing filtering process in Busan. The questionary subjects were adult 40 and over who inhabited in Busan and surveyed residential career about residential mobility. The analysis result of statistical data and result of questionary reveals similar result every articles, the summaries are as follows : Examining housing where the respondent live presently, apartment dominate absolutely high ratio as housing type and owner-occupation as housing tenure type, and housing size is about 30 pyeong, dwelling period is 6 years to 10 years. Saving and loan hold a large majority to make housing capital, that means, they apply housing finance to getting own housing despite it is impossible with present household's income to have owner-occupation of desired housing. This is different custom ours from foreign's that rent a house. However, as aspec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most household recognised that quality is improved, because residential mobility expanded housing size and changed tenure type and showed fairly high 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resid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재희(2004) 저소득 근로자의 주거이동 경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 김경수, 장욱(2001) 부산시 내부인구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5호, pp. 39-55.
  3. 김진유, 지규현(2007) 저소득가구 주거이동 특성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2권 제1호, pp. 81-98.
  4. 박승미(2002) 도시가구의 주거조절성향 및 결정요인에 관하 연구-과천시의 주거이동과 주거개선의 비교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5. 신나윤(2006) 도시가구의 고용특성 및 변화에 따른 주거이동에 관한 연구-수도권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6. 양세화(1998) 울산시 거주가구의 주거이동효과 분석, 주택연구, 한국주택학회, 제6권 제2호, pp. 87-105.
  7. 임창호, 이창무, 손정락(2002) 서울 주변지역의 이주특성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4호, pp. 95-108.
  8. 조덕호(1995) 주택여과과정과 정책대안,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0권 제4호, pp. 295-307.
  9. 최막중, 고진수(2006), 주택유형간 유동성 차이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제3호, pp. 83-93.
  10. 최열(1999) 도시내 주거이동 결정요인과 희망주거지역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5호, pp. 19-30.
  11. 최열(2001) 근린주거지 선호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제36권 제4호, pp. 129-140.
  12. Clark, W.V. and Onaka, J.L. (1983) Life Cycle and Housing Adjustment As Explan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Urban Studies, Vol. 20.
  13. Earhart, C.C. and Weber, M.J. (1992) Mobility Intentions of Rural Elderly and Non-elderly: Implication for Social Services and Planned Housing for the Elderly,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Vol. 10, No. 1, pp. 49-64.
  14. Kim, Kabsung and Lee, Kanghoon (2004) Filtering in an urban housing market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Asian Pacific Planning Review, Vol. 3, No. 1, pp. 67-80.
  15. Porell, F.W. (1982) Models of intraurban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49, No. 2, pp. 184-199.
  16. Yong Chen and Stuart S. Rosenthal (2008) Local amenities and lifecycle migration: Do people move for jobs of fun?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 64, pp. 519-537. https://doi.org/10.1016/j.jue.2008.05.005
  17. Varady, D.P. (1983)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49, No. 2, pp. 184-199. https://doi.org/10.1080/01944368308977063
  18. Williamson, C. and Baer, W.C. (1988) The filtering of households and housing units,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Vol. 3, No.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