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olkloric Demonstration on 'Sam-gama' The Field Report 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Sam-gama'

'삼가마' 유구에 대한 민속학적논증 '삼가마'(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현지조사 보고

  • 임형진 (국립문화재연구소무형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09.06.02
  • Accepted : 2009.09.08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ough admitting that, in light of the recent archaeological trend, the excavation on relics of Sam-gama (a sort of kiln steaming the hemp) is increasingly reported, little efforts by far have been made not only to restore its traditional structure design but also to research hardly the change of hemp-steaming technologies in ages. In this regard, this paper shows the exploration of structural method and design as well as operability with regard to Sam-gut, traditional hemp-processing equipment that was recently reconstructed in Jungsun, Kangwon Province. Samgut, generally positioned at the waterside area, is an traditional device for steaming hemp to get bast fibers from the raw material of hemp, principally consisting of HWA-JIP(fire-place) to obtain steams by feeding fire ad Mong-got(boiling chamber) to make the hemp steamed after stacking. More specifically, thick round-logs were piled at the bottom of Hwajip prior to stacking stones around its circumferential area. When the timber positioned below gets burned with high temperature to heat stones existing in the upper side, waters then poured onto it after laying a bundle of grass and soil up to the boiled stones. If so, there generates hot vapor, which is conveyed to Monggot to steam the hemp. Functionally, it is of outstanding importance that Samgut is capable of producing high-temperature water vapors instantaneously under the intensive manpower, thus being constructed achievable for those purposes. The Samgut made by digging the ground is an instant facility that is closed after use. The remains, which were used to generate higher thermal power for steaming hemp, make it hard to excavate the historic traits because there left little vestiges in the soil, which means keen attention must be paid to find out the trace of Smgama relics. Future research stall be focused on collection of broader data regarding Samgut including technological review in extracting bas fibers from the hemp.

최근 고고학적 경향 중 삼 찌는 시설인 '삼가마' 유구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이들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복원은 보기 어렵다. 게다가 삼을 찌는 기술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그 내용에 대한 논의도 찾기 어렵다. 이 글은 최근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재현한 전통적인 '삼굿'을 현지조사하고 삼굿의 축조와 구조, 운용에 대한 보고서로서, 위 두 가지 질문에 앞서 '전통적인 삼굿의 실상'을 민속지적으로 설명하고자 할 것이다. '삼굿'은 삼(대마)에서 인피섬유를 얻기 위해 삼을 찌는 시설이다. 삼굿은 물가에 터를 잡고 설치하며, 불을 지펴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화집'과 삼을 쌓아 익히는 '?곳'으로 구성된다. 화집에 아래에는 굵은 통나무를 쌓고 위에는 돌을 두르듯이 쌓는다. 아래쪽 나무에 불이 붙어 돌을 뜨겁게 달구면, 달구어진 돌 위에 풀과 흙을 덮고 물을 붓게 되는데, 돌에 닿아 발생한 뜨거운 수증기는 '?곳'으로 전달되어 삼을 찌게 되는 것이다. '삼굿'은 집약적인 노동력의 동원과 함께 순간적으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것과, 이 수증기를 전달하고 효율적으로 집중하는 목적에 맞게 축조된다. 땅을 파서 축조된 삼굿은 일회성 시설이며, 사용 후 폐기된다. 삼을 찌기 위해 높은 화력을 만들지만 그 화력이 토양에 흔적을 남기기는 어려우며, 이런 이유 때문에 현재 발견되는 삼가마 유구의 존재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삼굿에 대한 보다 다양한 자료가 수집되어야 하며, 삼에서 인피부(靭皮部)를 분리하는 다양한 기술을 검토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