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동 유적지의 식물규소체(Phytoliths) 분석 연구

A Study of the Phytoliths Analysis of Ga-dong Site in Gijang, Busan

  • 최기룡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김진태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투고 : 2009.07.24
  • 심사 : 2009.09.22
  • 발행 : 2009.09.30

초록

부산광역시 기장군 가동 유적지($129^{\circ}\;10^{\prime}\;49^{\prime\prime}{\sim}50^{\prime\prime}E$, $35^{\circ}\;19^{\prime}\;39^{\prime\prime}{\sim}48^{\prime\prime}N$, 68.5~78.5m) 퇴적물의 식물규소체(Phytoliths) 분석을 통하여 조사지 일대의 벼농사 개시기와 국지적 식생 변화를 규명하였다. 식물규소체 분석용 퇴적물은 유적지 내 3개 지점의 수직 구덩이 벽면에서 총 82개의 블록형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 결과, 지점 1에서는 퇴적물 8에서 29까지, 지점 2에서는 퇴적물 6에서 20까지, 지점 3에서는 퇴적물 7에서 33까지 벼(Oryza sativa)의 부채형 규소체가 검출되었다. 3개 지점의 바닥 층과 바닥에 가까운 층에서는 물대아과(Arundinoideae)와 쇠풀족(Andropogoneae)의 식물규소체 출현율이 높은 것으로부터 본 조사지 일대는 농경 개시기 이전 매우 습한 토양환경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닥 층에서 표층으로 올라 갈수록 물대아과와 쇠풀족의 식물규소체 출현율은 현저히 낮아지는 반면 벼의 식물규소체 출현율은 급격히 높아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조사지 일대의 벼농사는 습지 혹은 매우 습한 지역을 이용하였고, 유물편년과 $^{14}C$연대분석에 따르면 벼농사의 개시기가 청동기시대부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local vegetation history and the origin of rice cultivation, a phytolith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ediments collected from archaeological site at Ga-dong in Gijang, Busan. From the analysis with the sediments of three sampling sites, fan-shape phytoliths of Oryza sativa were detected: sediment 8 ~ sediment 29 of sampling site 1, sediment 6 ~ sediment 20 of sampling site 2 and sediment 7 ~ sediment 33 of sampling site 3. On the bottom layers or near the bottom layers from the three sampling sites, high densities of Arundinoideae and Andropogoneae were detected. It indicates that these layers were wet soil environment when they were sedimented. From near bottoms up to surfaces, the densities of Arundinoideae and Andropogoneae were abruptly decreased, while the density of Oryza sativa was sharply increased. With these resul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ice cultivation was started from the Bronze Age on this reg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