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mporal-Spatial Location of Dwelling Site in Asan Bay in the Neolithic Age

아산만지역(牙山灣地域)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집자리의 시공적(時空的) 위치(位置)

  • Koo, Ja Jin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Housing and City Museum)
  • 구자진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박물관)
  • Received : 2009.07.22
  • Accepted : 2009.09.10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welling site from among the sites of the Neolithic age found in the Asan Bay(牙山灣) area, and the temporal-spatial location and meaning of the dwelling site (settlement). The majority of the settlements in the area are of a square style but some coexist with rectangular-style settlements, which is noteworthy. The dwelling sites of the Neolithic age found in Asan Bay area are mostly located in a ridge of hilly areas, divided into gentle, low areas (20~50 meters above sea level) and relatively high areas (50~80 meters above the sea level). Although location strongly corresponded to the residents' subsistence and the technical levels within the culture, it likely was greatly affected by natural environment where they lived, as well. In examining radiocarbon dating results and the excavated artifacts, the settlements found in Asan Bay were determined to belong to the period II(3,500~3,000 B.C.) stated in the Relative Chronological table of Dwelling sites in the Neolithic age, written by the author. Said Dwelling sites are proven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ose found on the coast of Gyeonggi Province(京畿道) and in the Geum River(錦江) valley. This is deemed to be the result of expansion and interchange between Gyeonggi Province(京畿道) group and Geum River(錦江) valley group, who constituted the large settlements. Additionally, the Daecheon-ri type dwelling sites in the Geum River valley were verified to be the result of exchange, and spread to the Asan Bay area in the same era. Two forms of Dwelling sites coexisted dynamically in the Asan Bay area around 3,500 B.C. Such a phenomenon resulted primarily from the expansion of the dwelling site due to the introduction of primitive agriculture, as well as environmental (temperature), biological and social changes at those times.

아산만지역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유적 중 집자리(마을)를 중심으로 구조와 특징을 살펴본 후, 이 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의 시 공간적 위치와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방형이 주류를 이루며, 일부 장방형 집자리와 공존하는 예가 확인되고 있어 주목된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는 대부분 구릉지역에 위치하나, 세부적으로는 완만하고 낮은 구릉지역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구릉지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후자 유적들은 차령산맥의 영향으로 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산 천안지역의 구릉지역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해발고도 50~80m 정도에 해당한다. 반면 전자 유적들은 삽교천과 예당평야가 넓게 펼쳐진 당진과 예산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어 비교적 해발고도가 낮고 완만한 구릉지역(해발고도 20~50m)에 위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입지선택은 문화내적으로는 이들 집단의 생계경제 및 기술수준과 관련되지만, 외적으로는 이들 집단이 처한 자연환경(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결과이다. 아산만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값과 출토유물을 통해 보면, 동시기 유적으로 필자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상대편년 중 II기(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한다. 이들 신석기시대 집자리(마을)는 경기(인천) 해안지역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이는 대규모 마을을 이루던 경기 해안지역 집단들과 금강유역(충청내륙지역)의 대표적인 '대천리식 집자리'의 확산 및 교류에 의해 동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아산만지역은 기원전 3,5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두 유형의 집자리가 공존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환경(기후) 및 생태적 사회적 변화 등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초보적인 농경의 도입에 따른 유적의 확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