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Early Maturing Rice Cultivar "Junamjosaeng" with Multiple Disease Resistance and High Grain Quality Traits

고품질 복합내병성 조생종 벼 신품종 "주남조생"

  • 이종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여운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이점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강종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곽도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 박동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조준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송유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박노봉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김춘송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이기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임상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오병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 신문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Received : 2009.05.18
  • Published : 20090600

Abstract

Junamjosaeng is a new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in 2006 from a cross between Milyang165*3 and Koshihikari at the Department of Functional Crop Science, NICS, RDA. This cultivar is suitable for the double cropping system (i. e., before and after the cash crop). Heading date of Junamjosaeng is 6 days earlier than Keumobyeo under the late transplanting cultivation on July 10. It has a high grain fertility under cold conditions and low premature heading. One of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is variety is its resistance to major diseases like leaf blast, bacterial blight races ($K_1$, $K_2$, $K_3$) and rice stripe virus disease. However, it showed susceptibility to major insect pests. Milled rice kernels are translucent with non glutinous endosperm and have 6.7% protein and 19.8% amylose contents. Milling recovery of head rice is 75.7%. The palatability of cooked rice is better than Keumobyeo. The milled rice yield of Junamjosaeng in local adaptability tests after harvest of the cash crop was $4.43\;tons\;ha^{-1}$. This cultivar is suitable for planting in the plain paddy fields of Honam and Yeonnam regions in Korea.

"주남조생"은 소득작물 전 후작에 적응하는 벼를 육성하고자, '98/'99년 동계에 밥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의 고시히까리에 밀양165호(주남벼)를 2회 여교배하여 육성한 조생종 단기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남조생의 영남 평야지의 소득작물 후작 만기재배에서 8월 26일로 "금오벼"보다 6일 빠른 조생종 품종으로 주당수수는 12개로 금오벼보다 2개 많은 편이고, 수당립수는 약간 적은편이며 현미천립중은 금오벼보다 약간 무거운 편이다. 2. 불시출수는 금오벼보다 덜 되는 편이지만 수발아는 금오벼보다 잘되는 편이다. 유묘기 내냉성은 금오벼와 비슷하며, 성숙기 임실율은 78%로 금오벼보다 높은 편이다. 3. 잎도열병 저항성반응은 금오벼와 비슷한 수준이며, 흰잎 마름병 레이스 $K_1$, $K_2$$K_3$에 저항성이며, 바이러스병은 줄무늬잎마름병에만 저항성이고, 벼멸구등 해충에는 감수성이다. 4. 쌀알은 맑고 심복백은 없다. 아밀로스 함량은 19.8%이고 단백질함량은 6.7%로 금오벼와 같고 밥맛은 금오벼보다 약간 양호하며, 도정수율은 금오벼와 약간 높은편이다. 5. 쌀수량은 '04~'06년 3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 4.43 MT/ha로 금오벼와 비슷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eon WT, Lee JS, Park KD, Park CY, Roh SW, Yang WH. 2005. Method of environmental-friendly fertilization for rice cultivation after vegetable copping in green house soi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24):191-197
  2. Lee BC, Yoon YM, Hong SJ, Hong YK, Kwak DY, Lee JH, Yeo US, Kang HW, Hwang HG. 2008. Analysis o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Res. Plant Dis. 14:210-213 https://doi.org/10.5423/RPD.2008.14.3.210
  3. Lee HD, Chang KY 1987. Analysis of Adaptability of Rice Varieties in Gyongnam Area. Korean J. of Breed. 19(4):373-377
  4. 농촌진흥청. 2004.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pp. 37-161
  5. 농촌진흥청. 2005.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pp. 38-167
  6. 농촌진흥청.2006a.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 보고서 pp. 38-169
  7. 농촌진흥청.2006b. 하계작물 신품종개발 공동연구사업 과제계획서 pp. 4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