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and Branch Characteristics of 35 Half-sib Families in a Seed Orchard of Quercus acutissima

상수리나무 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 Cheon, Byoung-Hwan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ang, Kyu-Su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Han, Sang-Ur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Oh, Chang-You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Chang-Soo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Kae-Hwan (Division of Forest Science, Forest Resources Major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전병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강규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한상억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오창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김장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 김계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2009.07.22
  • Published : 20090900

Abstract

Growth and branch characteristics of 35 half-sib families were surveyed in a seedling seed orchard of Quercus acutissima at ages 10 and 12. The averages of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branch height, crown width, branch angle and stem straightness at age 12 were 9.96 m, 14.50 cm, 1.04 m, 6.80 m, $18.82^{\circ}$ and 2.58, respectively. Families of 075 and 052 showed superior height growth and 0511 and 0517 were inferior ones. For DBH growth, 075 and 0413 were best families and 0725 and 0511 were inferior families. Pearson's product mom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all positive for all growth traits except branch angle at ages 10 and 12. This result showed that the families with good height and DBH growth were also superior in stem straightness. In ANOVA,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amilies in height, DBH, cylindric volume and stem straightness. Branch height, crown width and branch angl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amilies. Family heritability was higher than individual heritability at ages 10 and 12. Height, DBH and stem straightness were under strong genetic control, showing high family heritability. This implies that high genetic gain could be expected by family selection. Expected genetic gain for each trait was estimated based on the family selection. The highest genetic gain was expected for the traits of branch angle, height and DBH because of the large phenotypic standard deviation and the high family heritability. The growth performance and branch characteristics were weighted by the magnitude of genetic variation and heritability. The weighted values were then subjected to estimate family breeding values. This family breeding value would be applied as a criterion in the genetic thinning of the seed orchard.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circ}$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흉고직경 생장에 있어서는 075 및 0413 가계가 우수하였고 0725 및 0511 가계가 불량하였다. Pearson 상관 및 Spearman 순위상관 계수는 2006년과 2008년 조사에서 가지각도를 제외한 조사된 모든 형질에 있어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고 생장 및 흉고직경 생장이 우수한 가계가 통직성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수고, 흉고직경, 원주재적 및 통직성에 있어 가계간 고도의 유의적인 생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고, 수관폭 및 가지각도에 있어서도 가계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채종원 임령 10년 및 12년의 경우에 개체유전력 보다는 가계유전력이 더욱 높게 추정되었다. 특히 가계유전력이 높게 추정된 수고, 흉고직경 및 통직성은 강한 유전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체선발보다는 가계선발에 의하여 더욱 높은 개량효과가 추정됨을 알 수 있었다. 가계선발에 의한 각 조사형질별 개량효과 기대치를 추정한 결과 가지각도에서 개량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흉고직경, 수고 순이었다. 최종적으로 생장 및 가지특성에 대한 분산분석, 유전력, 유전변이량 등에 근거하여 생장형질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계별 육종가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육종가는 상수리나무 채종원에서 유전간벌을 적용하는데 있어 선발 기준 등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7. 개량종자 생산을 위한 채종원 조성 및 관리.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자료 291호. pp. 256
  2. 과학기술처. 1990. 참나무 자원의 종합이용 개발에 관한연구 (Ⅲ). 과학기술처 특정연구 개발사업보고서. pp. 449
  3. 김영모. 1995. 한국 상수리나무 집단의 형태적, 생리적 특성 및 유전변이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
  4. 김인식, 유근옥, 김태수, 송정호. 2003. 상수리나무의 산지별 생장특성 비교. 한국임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 p. 79
  5. 김장수, 전병환, 강규석, 한상억, 오창영. 2006. 상수리나무 채종원에서 클론별 종자특성 및 시기별 종자잔존율. 산림과 학논문집 69:139-148
  6. 민영택, 박홍락. 1992. 상수리나무 수형목 풍매차대 26가계의 묘고유전력과 개량효과. 한국임학회 학술발표자료집. p. 27-28
  7. 송정호. 2002. RAPD와 형태적 특성에 의한 굴참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5
  8. 이영노. 2001. 제주식물도감. 여미지. pp. 668
  9.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 990
  10. 조덕래. 1998. 도토리수급의 동향 및 결정요인분석. 한국농업정책학회 25:71-84
  11. 유근옥, 권오웅, 송정호, 김인식. 2004. 루브라참나무 23개 산지간 생장, 개엽시기 및 엽형변이. 한국임학회지 93(3):235-241
  12. 임목육종연구소. 1995. 참나무. 임목육종연구소. pp. 187
  13. Barnes RD. 1995. The breeding seedling orchard in the multiple population breeding strategy. Silvae Genet. 44:81-88
  14. Becker WA. 1984. Manual of quantitative genetics. 4th edition. Academic enterprises, Washington. pp. 188
  15. Bondesson FL, Lindgren D. 1993. Optimal utilization of clones and genetic thinning of seed orchards. Silvae Genet. 42:157-163
  16. Falconer DS. 1981. Introduction to quantitative genetics. 2nd edition. Longman Inc., New York. pp. 340
  17. Faulkner R. 1975. Seed orchards. London: Forestry Commission Bulletin 54. pp. 148
  18. Kang KS, El-Kassaby YA, Han SU, Kim CS. 2005. Genetic gain and diversity under different thinning scenarios in a breeding seed orchard of Quercus acutissima. For. Ecol. and Manage. 212:405-410 https://doi.org/10.1016/j.foreco.2005.03.063
  19. Han SU, Choi WY, Chung HG, Kang KS. 1997. Standardization of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estimated from various environments and its application to the empirical data of the open-pollinated progenies of Pinus densiflora S.et Z. Res. Rep. For. Gen. Res. Inst. Korea 33:47-53
  20. Kleinshmit J. 1993. Intraspecific variation of growth and adaptive traits in European oak species. Ann. Sci. For. 50(Suppl 1.):166s-185s https://doi.org/10.1051/forest:19930716
  21. SAS Institute. 1976. A User’s Guide to SAS 76, version 6.12, SAS Institute, Inc., 1976
  22. Zobel B, Talbert A. 1984. Applied forest tree improvemen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pp. 117-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