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Beauty in Chuang-Tzu and Kant : The Practical Beauty and The Reflexive

장자와 칸트에 있어서 미 개념 : 실천미와 반성미

  • Received : 2009.03.05
  • Accepted : 2009.03.28
  • Published : 2009.03.30

Abstract

If we try to define the concept of beauty in the large sense, as Kant and Chaung-tzu all agree, It can not be fixed in the one sense, but whose connotation and denotation should be extended infinitely. In this sense,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beauty is liberty. Aesthetics of Kant is oriented toward subjective and reflexive dimension, while that of Chuang-tzu is oriented toward natural and practical one. The difference between aesthetics of the two philosophers begins from their philosophical methodology. If the transcendental methode which is proper to Kant's philosophy prefers to discriminate and devide everything especially from dichotomic viewpoint by langage. But Chuang-tzu' methode called Za-Mang criticizes such a dichotomic division and langage itself. Even so, the two in the long run agree as to the foundation of beauty. But Kant's liberty is one of will or transcendental, meanwhile that of Chuang-tzu is based on recognize the fact that we are all production of nature. according to Chuang-tzu, in the great beginning, there was non-being. It had neither being nor name. The One originates from it. When things obtain it and come into existence. As the One, Tao is in the excrement and urine. Everything is under the constant flux. All species have originative or moving power. Although the universe is vast, its transformation is uniform. Because all things are one. Vacuity, tranquillity, mellowness, quietness, and taking no action characterize the things of universe at peace and represent the ultimate of Tao and virtue. The material was transformed to be form, form was transformed to become life, and now life has transformed to become death. A basic principle of Chuang-tzu's art is expressed in the phrase "taking off clothes and squatting down bare-backed". The key of Chuang-tzu's aesthetics is to dedicate to the expression of inner spirit instead of physical verisimilitude, and painting should be a spontaneous and instantaneous flow of the brush. Kant's concepts such as "disinterested" and "purposiveness of nature" seem to imply in the long run the unification of nature and human being which is fundament to Chuang-tzu's aesthetics.

미 개념은 단정적으로 규정된 개념이 아니라, 새롭게 그 내포와 외연을 확장할 수 있는 유동적 개념이다. 이런 입장에서 미 개념을 자유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자유는 바로 인간의 삶의 의미만큼이나 포괄적이고 전체적이며 유동적인 개념이다. 결국 미는 어떤 한 사람의 확정적인 정의에로 환원될 수 없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칸트의 미학을 반성적 미학으로, 장자의 미학을 실천적 미학으로 특성화하면서 양자 미학의 유사와 차이를 동시에 해명하고자 한다. 양자의 미학의 차이는 칸트가 주관의 반성적 차원을 강조한다면, 장자는 자연 개념을 강조한다는 것에 있다. 그렇다고 양자가 서로 상반적인 미학을 구축한 것은 아니다. 즉 칸트의 미학은 선험적 방법을 사용하고, 장자의 미학은 좌망의 방법을 사용한다는 방법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다 같이 자유 개념을 미의 본질로 간주한다는 차원에서 공통의 지반 위에 서 있다. 그러나 자유에로 나아가는 방법은 동일하지 않다. 칸트가 무한한 의지의 선험적 자유를 강조한다면, 장자는 자연의 필연성을 인식하고 나의 자유의지의 환상을 자각하면서 자연에 순응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면서도 양자는 자연과 자유의 모순적 관계를 인정하고 동시에 극복을 시도한다. 그러나 자유에로 가는 비법에 관한 한 장자의 미학이 칸트의 미학보다 우위라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