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보육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The Effect of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Job-Stress on Job-Satisfac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 추민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 장영애 (인천대학교 소비자아동학과)
  • Chu, Min-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 of Incheon) ;
  • Jang, Young-Ae (Dept. of Consumer Science and child Development, Univ. of Incheon)
  • 발행 : 2009.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the education and the influence of job-stress on job-satisfac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17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were chosen from 40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Gyeonggido, and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index, the job-stress instrument, and the job-satisfaction instrument, and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job-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er-related variables, including the type of institution, the number of classes, the age of children, the education, the teaching experience, the income, the age of teacher, and the marital status of the teacher.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the job-satisfac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especially the satisfaction of job itself indicat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 all sub-variables, especially the stres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on system indicated high negative correl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tress from the working environment, stress from the overload, stress from the peer relations, and the efficacy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job-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경(200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혁진(1995) 보육시설 보육교사와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 245-269.
  3. 권혜경.윤혜미(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03-319.
  4. 김영지(2004)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휘(199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 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진원(1993)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 고교 교사를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효심(200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 기독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련옥(2003)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주일(2003)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영혜.이은진(199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활동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소 14(1), 143-159.
  11. 신동희(200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여성가족부(2007) 유엔여성지위원원회 참가보고서, 제 51차.
  13. 여성부(2005) 보육시설 실태조사 보고. 이미화(저), 여성부(편), 여성보육기획과.
  14. 염미애(2004) 카톨릭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실태 및 원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윤영란(1998)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혜미.정경진(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 구논총 12(1), 81-95,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7. 이경미(2006)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기영(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영(2005) 어린이집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의 관계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성희.박영신(200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31-50.
  21. 이세나(200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61-84.
  22. 이은진(199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활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희자.함은숙.김경의(2003) 보육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2, 169-189.
  24. 장명숙(200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미선(200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청주대 사회복지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경진(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28. 조성연.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29. 최성상(2006) 인친지역 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경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한국일보(2004) 기사검색. 2004. 5. 22.
  31. 현미옥(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2. 현정환(2003) 보육실습이 예비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 학회지 24(6), 117-131.
  33. Dunn L(1993) Proximal and distal features of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develop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167-193.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9-4
  34. Janice S(2001) Sources of job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teachers at different career stage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New York.
  35. Jorde-Bloom P(1989)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hildhoo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https://doi.org/10.1080/02568548809594933
  36. Kelly DM(2002) A study of teacher job satisfaction, work-related stress and customer focus in suburban school distric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Michigan.
  37. Pence AR, Goelman H(1991) The relationship of regulation, training and motivation to quality of care in family day care. Child and Youth Care Forum 20(2), 83-101. https://doi.org/10.1007/BF00756691
  38. Pope S, Stemmel AJ(1992)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Child & Youth Care Forum 21(1), 44-45.
  39. Sarros J, Sarros A(1992) Social support and teacher burnout.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on 30(1), 55-69.
  40. Wessen PD(1981) Off-site stress and the disadvantaged caregiver: A neglected factor. Child Care Information Exchange 42,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