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hanges of social spatiality in rural areas as seen on a sloping scale in referenc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territorial assets. Guessing from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communities and farming activities in Hwangsan village of Uichon-Myeon, Geochang-Gun and Hanam village of Chogye-Myeon, Hapchon-Gun, it will become a society characterized by super-aged intensification and large-scale crop cultivation. Deokgok-Myeon and Yulji village of Hapchon-Gun are required to intake outside residents. They have to understand the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become consciou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ing residents and relocated people in Yudong village of Yokji-Myeon, Tonyoung-Si. Due to a decreasing population and the phenomena of the 'super-aged', the efforts to revive the spatial function as a living and working space while utilizing territorial assets could be challenged in these case study regions.
본 논문은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의 관점에서 공간적 경계를 넘나들며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를 밝히고 있다. 촌락 공동체의 인구 특성과 농업 활동을 토대로 촌락사회의 미래를 예상하면, 거창군 위천면 황산마을과 합천군 초계면 하남마을에서는 앞으로 촌락 주민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농업 경영의 특성화 및 대규모화가 진행될 것이다. 외지인의 유입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합천군 덕곡면과 율지마을은 통영시 욕지면 유동마을에서 이주민과 토착민 간의 상호보완적 관계와 공동체 의식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촌락 공동체가 영역 자산을 활용하여 삶터(교육 문화 공간)와 일터(경제활동 공간)로서 촌락의 공간적 기능을 재생시키려는 노력이 사례 지역의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 현상으로 시련을 맞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