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Street Processions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한국의 가두행렬(街頭行列)과 전통연희

  • Received : 2008.12.30
  • Accepted : 2009.01.28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rocession depicted in Goguryeo's ancient tomb mural consists of guards, honor guards, music band, and performing artists. Since this coincides with the royal processions of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e relationship of its impact can be examined. The performing arts appearing in such street procession were mostly sanakbaekhui.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king visited Bongeunsa templ when the lotus lantern festival was celebrated. At such tim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ad travelled by the king were installed mountains made of lanterns and trees made of lanterns. The procession was quite large in scale and was accompanied by colorful music and performanc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Goryeo Dynasty, as in China, street procession and performing arts took place. The jisinbarbgi performed by a peasant band in early January is a custom of narye. A new character appears in the royal nary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features of narye transform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can be examined. In the Joseon Dynasty's procession of a king returning to the palace, the royal band in front and behind the carriage of the king played marching music, and led by a sanbung this street procession headed toward the palace. Various performances also took place during this time. The samilyuga and munhuiyeon were festivals of the yangban class(nobility). Those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hired musicians and performers and paraded around town in Seoul for three days to celebrate the auspicious outcome for their family and to show off their family's power. In the Joseon's dongje and eupchijeui ceremonies, street processions were carried out with a shrine deity image or symbolic flag at the head. The dongje in a Korean village, combined with jisinbarbgi, incorporated a procession with the flags ymbolizing the guardian deity of the village at the head, and this went from house to house. The procession of suyeongyaru had the publicity impact of a mask play performance, and by creating a sense of unity among the participants, heightened the celebratory atmosphere. At the core of the bukcheonggun toseongri gwanweonnori was as treet procession imitating the traveling of high government officials. The toseong gwanweonnori has the folk religion function of praying for safe human living and abundance of grains for the village, the entertainment function of having fun and joy through street processions and various performances, and the social function of creating unity and harmony among the residents. In all the aforementioned events, the street procession had a large role in creating a celebratory atmosphere, and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he middle of the procession or after the procession enabled the participants to feel united. The participants of the street procession felt cultural pride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various events and they were ab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show off and proudly display their abilities.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행렬도는 묘 주인의 등급에 따라 인원수와 각종 대열 및 인원 배치가 규정될 정도로 상당한 수준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가두행렬에 동반되는 연희들은 대부분 산악 백희의 종목들이었다. 특히 안악 3호분의 악대는 고취와 횡취를 갖추고 있어서, 이 행렬의 국제적 교류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호위병, 의장대, 악대, 연희자를 갖춘 고구려의 행렬은 고려와 조선시대의 어가행렬과 일치하므로 그 영향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 가두행렬은 왕의 어가행렬이다. 연등회에서 왕이 봉은사나 흥왕사를 다녀올 때, 왕이 지나는 차도의 좌우에는 등산과 화수를 설치했으며, 그 가두행렬의 규모가 매우 컸고 다채로운 음악과 공연을 연행했다. 나례는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고려시대의 궁중의례에 수용되었다. 고려의 나례에서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가두행렬과 연희를 행했다. 그리고 정초에 풍물패가 행하는 지신밟기도 나례의 유풍이다. 조선전기의 궁중나례에는 방상시 12지신 이외에 판관 조왕신 소매 등 새로운 배역이 등장한다. 그래서 나례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변모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환궁행사에서 왕이 탄 가마는 전후의 고취악대가 행진음악을 연주하고, 산붕이 인도하는 가운데 대궐을 향해 가두행렬을 진행했는데, 이때 각종 연희도 공연되었다. 이 환궁행사는 고려 의종 때의 환궁행사와 매우 유사하다. 조선시대의 삼일유가와 문희연은 양반층의 축제였다. 급제자는 악사와 연희자들을 대동하고 서울 시가를 3일간이나 돌아다니며 가두행렬을 벌이면서, 자기 가문의 경사를 축하하고 가문의 위세를 과시했다. 조선시대의 동제와 읍치제의에서는 사당의 신상이나 신대를 앞세우고 가두행렬을 진행했다. 중국의 마을제사인 영신새회가 후대에는 나례의 연문축역과 융합되었듯이, 한국의 마을제사도 지신밟기와 결합되어 마을의 수호신을 상징하는 신대를 앞세우고 집집마다 찾아다니는 가두행렬이 형성되었다. 수영야류의 가두행렬은 가면극 공연의 홍보 효과가 있었고, 참가자들의 일체감을 조성하면서 축제적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북청군 토성리 관원놀이의 중심은 관원의 행차를 모방한 가두행렬이었다. 토성 관원놀이는 인명의 안과와 마을의 오곡 풍성을 기원하는 민속신앙의 기능, 가두행렬과 여러 연희들을 통해 흥과 신명으로 즐기는 오락적 기능, 주민들의 단결과 화합을 조성하는 사회적 기능을 갖고 있었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가두행렬은 자생적 가두행렬과 외래 기원의 가두행렬이 있었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행렬도의 고취와 횡취, 고려시대에 상원이라는 연등회의 시기와 왕이 참석한 가운데 행해지는 교방가무희 및 백희 공연, 동제의 지신밟기 등을 통해서 국제적 교류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상원연등회는 중국에서 유입되었지만, 왕이 선대 임금들의 초상화를 모신 봉은사에 다녀올 때의 가두행렬과 그 노변에 설치되는 등산과 화수 및 수많은 등은 고려 연등회의 특징이다. 이상의 모든 행사에서 가두행렬은 축제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큰 몫을 담당했고, 행렬의 중간이나 행렬이 끝난 후 펼쳐지는 전통연희의 공연에서 참가자들이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가두행렬의 참가자들은 각 행사를 통해 문화적인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었고, 자기들의 역량을 과시하고 자랑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Grant :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의 생활문화론적 연구

Supported by : 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