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dition and Identity of Korean Mime

한국 마임의 전통성과 정체성 - 기원, 역사, 특징 -

  • Received : 2008.12.28
  • Accepted : 2009.01.28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origin of Korean mime is traceable to sacred actions of prehistoric age. There are materials about mime of this age in the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is age, oral literature/myth, and written literature about this age. There were traces of the most original form of mime in primitive ritual of tribal nation age. The mimes of Samkooksidae/Tree Nation Age of Korea were presented to forms of Kamoobekhee(歌舞百戱)/Sanakbekhee(散樂百戱). We can discover traces of mime of this age in Hosunmoo(胡旋舞), Gwangsumoo(廣袖舞), Kweraehee(傀儡戱), Keeak(伎樂), Kummoo(劍舞) Muaemoo(無㝵舞), and so forth. Especially, Keeak in Beckjae was mask mime of Buddhistic contents. We can recognize that secular theatres were more diversified and strengthened than sacred thaetres in Nambukgooksidae/South-north Nation Age.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re were many changes in the mime of this age. We can concretely find traditions of mime of this age in Cheryongkamoo(處容歌舞), Hwangchanmoo(黃倡舞), Taemyun(大面), Wuljen(月顚), Sodok(束毒)', Sanyae (狻猊), and so forth. Mimes of Koreasidae/Korea Age take diverse forms of puppet play, mask play, dance play. Established traditional mimes as Cheryongkamoo(處容歌舞) were widely disseminated in society. And dance plays of mime form as Hunsundo(獻仙桃), Pokurak(抛毬樂), Yunhwadae(蓮花臺)' were imported from Song Nation of China. Mime of Chosundidae/Chosun Age were developed with changes of theatre that were divided into Kyusickjeehee[規式之戲] as Kwangdae(廣大), Ser-in(西人), Joojil(注叱), Rongryung(弄鈴), Kendoo(斤頭) and Sohakjihee[笑謔之戱] as Soochuk(水尺) Sengkwangdae(僧廣大). Styles of theatre in this age were specialized into mudangkuk, Pungmoolkut, Inhyunguk/Puppet play, Talnoree/Mask paly, Pansori, Kungjoong Kamuakguk. According to this changes, mime of this age were specialized into diverse aspects. Korean mime were specialized into Kutnorum-formed mime, Inhyungnorum-formed mime, Jabsaeknorum-formed mime, Talnorum-formed mime, Kungjoongmuyong-formed mime, Pansori-formed mime, and so forth.

마임(mime)/무언극(無言劇)이란 '신체를 움직이는 기술'을 뜻하고, 오늘날에는 사실적이고 상징적인 몸짓으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하나의 성격을 창조하고 묘사하는 기술을 뜻한다. 한국 마임의 시원은 멀리 선사시대의 '신성한 몸짓'에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대의 마임에 관한 자료는 고고학적 발굴 자료들, 구비전승 자료 및 이후에 기록된 이 시대 관련 문자기록들 등이다. 부족국가시대에는 인간이 수행하는 가장 원초적인 연극 형식인 윈시 제천의식(祭天儀式) 등에 마임의 흔적이 나타난다. 삼국시대의 마임은 악가무희사(樂歌舞戱詞)가 종합된 이른바 '가무백희(歌舞百戱)' 혹은 '산악백희(散樂百戱)' 형태로 존재했다. 이 시기의 마임은 '호선무(胡旋舞)' '광수무(廣袖舞)' '괴뢰희(傀儡戱)' '기악(伎樂)' 검무(劍舞) '무애무(無㝵舞)'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백제 '기악(伎樂)'은 불교적인 내용의 가면 묵극(黙劇) 곧 마임으로 보인다. 남북국시대에는, 신성한 제의극보다는 세속극이 더욱 더 강화되고 정형화되고 다양화되었으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마임도 그만큼 다양한 정형화를 이루었다. 구체적으로는, '처용가무(處容歌舞)' '황창무(黃倡舞)' '대면(大面)' '월전(月顚)' '속독(束毒)' '산예(狻猊)' 등에서 시 시대의 마임 전통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마임은 매우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인형극, 탈놀음, 무용극 형태로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처용가무(處容歌舞)'와 같은 기존의 전통 마임이 사회적으로 널리 보편화되고, '헌선도(獻仙桃) 포구락(抛毬樂) 연화대(蓮花臺)'와 같은 마임 형태의 무용극이 수입되었다. 조선시대에의 마임은 광대(廣大) 서인(西人) 주질(注叱) 농령(弄鈴) 근두(斤頭) 등과 같은 '규식(規式)이 있는 유희[규식지희(規式之戲)]'와 수척(水尺) 승광대(僧廣大) 등과 같은 '웃고 희학하는 놀이[소학지희(笑謔之戱)]'로 분화된 연극의 변화와 더불어 발전했다. 이 시기에 들어오면, 연극적 양식들이, 무당굿 풍물굿/농악 인형극/괴뢰희 탈놀이 조희 판소리 궁중 가무악극(歌舞樂劇)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분화 발전됨에 따라, 마임도 이런 다양한 연극적 양식들의 변화 발전 속에서 다양하게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한국의 마임은 역사적으로 매우 유구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독자적인 양식으로 분화되지 않은 채, 여러 연극 양식들 속에서, 그 연극 양식의 일부분으로 존재해 왔다. 이러한 특징과 전개 양상에 따라, 한국의 마임은 굿놀음식 마임, 인형놀음식 마임, 잡색놀음식 마임, 탈놀음식 마임, 궁중무용식 마임, 판소리식 마임 등등, 다양한 양식적 분화를 이룩해 왔으며, 그 각 양식적 분화에 따라 각 양식별로 매우 특특하고도 다양한 특징들을 확립해 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