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ollection Time on Physical Characteristic and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볏짚 수거시기가 물리적 특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Kim, Ung-Duk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Moo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Joo-Hwan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ction time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Nutritive value, digestibility and palatability in rice straw. Collection time of rice straw after the rice harvest was allocated into nine treatments: T1 (10 days), T2 (25 days), T3 (40 days), T4 (55 days), T5 (70 days), T6 (85 days), T7 (100 days), T8 (115 days) and T9 (130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Plant length, leaf length and green degree were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Mold distribution and dry matter loss were in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crude fiber were in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But crude ash showed multifarious. In situ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Palatability of Hanwoo, Holstein and deer was decreased with prolonging collection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good rice straw collection time would be recommendable during the from 10 days to 40 days after rice straw harvest.

본 실험은 볏짚 수거시기에 따른 물리적 특성, 사료가치, 소화율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볏짚 수거시기를 9처리 3반복(T1: 벼 수확 후 10일, T2: 벼 수확 후 25일, T3: 벼 수확 후 40일, T4: 벼 수확 후 51일, T5: 벼 수확 후 70일, T6: 벼 수확 후 85일, T7: 벼 수확 후 100일, T8: 벼 수확 후 115일, T9: 벼 수확 후 130일)으로 하여 2007년 10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 실험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엽장, 녹색도는 떨어지며, 곰팡이 발생 및 건물 손실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떨어졌으나,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조회분은 함량은 일정한 경향치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추위 소화율은 볏짚 수거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성에 있어서는 볏짚 수거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한우, 젖소, 사슴에 있어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볏짚수거 시기가 늦어지면 물리적 특성, 영양적 특성 및 기호성이 모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볏짚 수거시기는 가급적 빠른 시기(수확후 $10{\sim}40$일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이 양질의 볏짚을 생산하는 방안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찬호. 2001. Codex 유기농업과 초지의 역할. 한국초지학회. 제39회 학술발표 및 특별강연 초록. pp. 55-76
  2. 강한석, 김건중, 김정일, 유영우, 문성식, 신정남, 양성주, 유문일, 이기동, 정순영, 최일, 호경진. 1994 개정 가축사양학. 선진문화사. pp 341-352
  3. 강희신. 사료와 영양(상). 1994. 한국영양사료학회 편. 선진문화사. 제8장. 건초. pp. 356
  4. 고영두. 사료와 영양. 1994. 한국영양사료학회 편. 선진문화사. 제9장 사일리지. pp. 419
  5. 김동암. 1988.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pp 90-45-90-48
  6. 김동암, 김종덕, 한건준, 이광녕, 김종근. 1999. 봄철 포장건조 콩과목초의 수량 및 품질 손질. 한초지. 19(2):127-132
  7. 김종덕, 권찬호, 김호중, 김명기. 2004. 초종 및 반전횟수가 봄철 일년생 콩과목초 건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지. 46(3):451-458
  8. 김창호. 2004. 볏짚 사료가치의 품종간 차이 및 생육형질과의 관련성. 한작지. 49(6):516-521
  9. 이상무, 문상호, 전병태. 수수 ${\times}$ 수단그라스 교잡종과 대두와의 단작 및 간작에 따른 생육단계별 자유채식량에 관한연구. 한초지. 19(1):63-74
  10. 이성철. 1998. 벼의 생육시기가 한우 반추위 소화율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4):345-350
  11. 이형석, 이인덕. 2000. 수입 조사료의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0(4):303-308
  12. 이형석, 이인덕, 박덕섭, 박연진, 김선균, 금종수. 2001. 국내 유통 조사료에 관한 연구. 한초지. 21(3):109-114
  13. 정의수, 서 성, 김종근, 강우성, 김종덕. 1999. 수확시기별 Mower Conditioner 처리에 의한 속성 양질 호밀 건초조제 효과. 한초지. 19(3):251-258
  14. 한인규. 1998. 사료가공학. 선진문화사. pp 345-346
  15.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6. Armentano, L.E., Herrington, T.A., Polan, C.E., Moe, A.J., Herbein J. H. and Umstadt, P. 1986. Ruminal degradation of dried brewers granins, wet brewers granins, and soybean meal. J. Dairy Sci. 69:2124-2133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6)80644-0
  17. Arnold, G.W. and M.L. Dudzinski. 1969. The effects of pasture density and structure on the grazing animal eats and animal productivity. N.W.S. 42-48
  18. Baylor, J. E. 1991. Hay management in North America. In field guard for hay and silage management. 1991. National Feed Ingredients Association
  19. Han, I.K. and W.N. Garrett. 1986. Improving the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voluntary intake of low quality by various treatment. A review. Kor. J. Anim. Sci. 28:199-236
  20. Konno, S. and A. Reizo. 1958. Behaviour of phosphorous compounds during the ripening of rice plant. Crop Sci. Soc. Vol. 37:408-411
  21. Mehrez, A.Z. and E.R. $\Phi$rskov. 1977. A study of the artificial fiber bag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digestibility of feeds in the rumen. J. Agr. Sci. Camb. 88:645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37321
  22. Nocek, J.E. 1985. Evaluation of specific variable affecting in situ estimates of ruminator dry matter and protein digestion. J. Anim. Sci.60:1347 https://doi.org/10.2527/jas1985.6051347x
  23. Pitt, R.E., Muck, R.E. and Pickering, N.B. 1991. A model of aerobic fungal growth in silage. Grass and Forage Sci. 46:309-312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1.tb02234.x
  24. SAS. 2003.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rary. NC. USA
  25. Vadiveloo, J. 1992. Varietal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cambridge. 119:27-33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71513
  26. Van Soest, P.J. and L.H.P. Johnes. 1969. Effect of silica in forage upon digestibility. J. dairy Sci. 51:1644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68)87246-7
  27. 大原久友, 高野信雄. 1977. 放牧, 乾草,サイレージ. 明文書房. pp 78.
  28. 三秋 尙, 高藤 勇, 田中重行, 川村 修. 1984. ソルガムサイレージの利用性向上に關する硏究. 第4報. 數種の雜種ソルガム生草の營養價の比較. 宮大農報. 30:111
  29. 後藤正和, 森田 脩 佐藤貴雄, 中南中浩. 1994. いなわら消化率の品種間差異に及ほす植物生態學的要因. 日草誌. 40(1):38-45

Cited by

  1. A Comparative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Feed Components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s at Paddy Field Cultivation vol.32, pp.1, 2012, https://doi.org/10.5333/KGFS.2012.3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