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estern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전남서부해역의 수질환경 특성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monitored marine environments in system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2005-2007 and analyzed the data from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nutrients, which contributed to fluctuat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quaculture. On the basis of the fluctuation of temperature depending on seasons and sampling sites, too seasons of winter and summer showed a remarkable temperature gap of $5^{\circ}C$ compared with spring and autumn. Salinity in spring and summer approached 9 psu in Morkpo. Most of sampling sites showed COD below 2mg/L, indicating somewhat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T-N and T-P also had desirable horizontal distributions all year round the concentration of SS was higher, but Chi. a was well-distributed horizontally except for Morkpo. Marone environmental parameters of surface water were similar to those of bottome water except for Morkpo. Most of sampling sites showed the ratio of N/P below 16, impling that nitroge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growth of phytoplankton as a limiting fa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 a and nutrients was positive linear,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 a and COD were very strong positive. winder, Spring and Summer showed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Chi. a and COD. In the analysis of dendogram based on environmental parameters using SPSS ver. 10.0, the station 7 did not belong to other stations, and kept an independent place. The relationships of waters between Jindo, Wando and Heanam ware close, compared with other waters. Consequently, these regions except for Morkpo into which fresh water is introduced by the dike showed somewhat optimal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nutrients in year, and were assumed to maintain the desirable marine conditions for aquaculture.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 전남서부해역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및 영양염류를 분석하여 양식어장의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은 봄철과 가을철에 비하여 수온차가 최고 $5^{\circ}C$ 이상을 나타냄과 아울러 염분도 봄철과 여름철에 목포해역에 표층수가 최저 9 psu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영양염류의 경우 대부분의 해역에 COD 2 mg/L 이하를 보여 수질등급 II수준을 유지하여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보이고 있고, T-N과 T-P모두 연중 고른 공간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SS의 경우 연중 매우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Chl. a의 공간적 분포도 연중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고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정정별에서도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표층과 저층 모두 큰 차이을 보여 주지 못하고 있다. Redfield ratio도 대부분의 해역에서 16 이하를 보여 기초생물생산에 필요한 질산질소가 제한인자로 작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였다. Chl. a는 영양염류 뿐만 아니라 COD와 양의 상관관계이며, 특히 COD와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러한 관계는 겨울, 봄, 여름철에 잘 나타나고 있다. 유연관계를 보면 목포 7번 정점은 다른 해역에 속하지 않고 독립적인 위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거리도 2이상을 보여 상당히 다른 수질환경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진도, 완도, 해남해역은 다른 해역과 달리 상호 매우 근접한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남서부해역은 영산강 하구둑의 영향을 받는 목포를 제외한 나머지 해역들은 비교적 안정된 수질과 영양염류를 보여 양식어장의 환경으로 적합한 환경을 보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수(1997a), 목포항의 수질특성(I)-하계의 유기물 오염과 용존산소를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3권 제1호, pp. 56-61.
  2. 김광수(1997b), 목포항의 수질특성(II)-하계의 부영양화를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3권 제1호, pp. 99-109
  3. 김광수(1999), 목포항 수질의 계절적 변화 특성- I. 물리환경과 유기오염,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5권 제2호 pp. 57-65.
  4. 김광수(2000), 목포하수처리장 가동에 따른 목포항 유입 오염부하량의 변화, 200년도 한국해양환경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189-193.
  5. 김광수(2001), 목포항의 수질 및 부영양도의 계절변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4권 제3호, pp. 3-15.
  6. 김도희, 유한홍(2003), 집중 강우시 목포 주변해역의 수질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6권 제2호, pp. 28-37
  7. 김우항(2006), 완도해역에서 유기물의 생산량 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2권 제3호, pp. 65-170.
  8. 박중현, 최정일, 최다미, 이용화, 이상룡(2006), 목포항 주변 해역에서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의 계절 및 연간변동, 제11권 제2호, pp. 97-102.
  9. 박홍식, 이재학, 최진우(2000), 목포 주변 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군접의 시.공간적 분포,바다, 제5권 제2호, pp. 169-176.
  10. 윤석태, 고영구, 오강호, 문병찬, 김해경(2003), 영산강 하류권역 하천수의 수질 평가, 환경영향평가, 제 12권 제4호, pp. 259-270.
  11. 임현식, 박경양(1998), 영산강 하구역의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군집 1.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제31권 제3호, pp. 330-342.
  12. 임현식, 박경양(1999),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제32권 제3호, pp. 320-333.
  13. 임현식, 박경양, 임병선, 이점숙, 주수동(1997), 목포 인근 해역 펄 조간대의 조서동물군집, 한국생태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355-365.
  14. 조은섭, 이상용, 김상수, 최윤석(2007), 2004-2006년 6-10월 동안의 남해중부연안 해역 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생태,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8호, pp. 941-957.
  15. 조현서, 윤양호(1997), 신지도 동쪽 주변해역의 계절별 수질특성,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제11권 제2호, pp. 9-104.
  16. 조현수(1998), 춘.하계 도암만의 수질환경 특성, 여수수산대학교 논문집, 제12권 제2호, pp. 677-694.
  17. 해양수산부(1998),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 pp. 330.
  18. Boaden, P. J. S. and R. Seed(1985), An introduction to coastal ecology. Chapman and Hall, New York, America, pp. 218.
  19. Malone, T. C., D. J. Conley, T. R. Fisher, P. M. Gilibert, L. W. Harding and K. G. Sellner(1996), Scales of nutrient-limited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Chesapeake Bay. Estuaries, Vol. 19, pp. 371-385. https://doi.org/10.2307/1352457
  20. Qian, Y., A. E. Jochens, M. C. Kennicutt and D. C. Biggs(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over the continental margin of the northeast Gulf of Mexico based on pigment analysis.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3, pp. 1-17. https://doi.org/10.1016/S0278-4343(02)00173-5
  21. Redfield, A. C., B. H. Ketchum and F. A. Richards(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p. 26-77, In M. N. Hill(ed), The Sea,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2. Rhee, G. Y.(1978), Effect on N/P atomic ratios and nitrate limitation on algae growth, cell composition, and nitrate uptake: a study of dual nutrient limitat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23, pp. 10-25. https://doi.org/10.4319/lo.1978.23.1.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