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haracteristics of Directional Orientation of the Houses on Sangas, Imha, Hawoosan, Walgok Traditional Villages of Geomantic North

북향형국(北向形局)의 전통마을에서 주택의 방위적(方位的) 특성에 관한 연구 - 상사, 임하, 하우산, 월곡 마을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09.04.15
  • Accepted : 2009.06.3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Korea, the direction of houses are typically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al orientation and shape of the mountain range rather than ignoring the geographical feature of the mountain range. Traditional villages of Korea are known to have very particular ways of adopting the geomantic surroundings of natural environment. This is very true especially have a high mountain in the back and a lower mountain in front.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houses tend to prefer south as a man direction so that they can receive more sun light. However, if the mountain range faces north, it will not be easy to determine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houses. This paper, therefore, tries to identify how the houses of villages facing north, direst the orientation. This, the northern village, solves the problem by facing all direction rather than one major direction. The houses of the villages facing north, tend to revise the direction by changing the back mountain(주산) or front mountain(인산) that helps them change the direction towards he range of eastern or western direction. As a result, the houses tend to the direction towards east and wes compared to north and south. The directional orientation of houses was clearly distributed or concentrated by depending of the shape and directional orientation of the mountain range. This kind of research let us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north direction, the direction of geomantic surrounding, and the direction of houses in traditional Korean villages.

Keywords

References

  1. 주식회사 한샘, 명지대학교 부설 한국건축문화연구소, 농촌주거환경 조사연구보고서(하우산, 남도석성), 1986
  2. 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3. 이현병, 김성우, 성주한개마을의 입지와 배치계획에 나타난 방위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논문집, 2004. 6
  4. 서수용 편저, 안동의문화재, 도서출판 영남사
  5.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6. 강선중, 금계포란형 국면의 마을공간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7. 이현병, 김성우, 北向形局의 安東臨河마을에서 주택의 方位的 특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8. 이해준, 조선시기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2002
  9. 최원석, 嶺南地方의 裨補, 고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0. 이왕기, 박명덕, 한국전통가옥의 재조명, 동족부락 상사마을, 건축사, 1990.12
  11. 한필원 농촌 동족마을 공간구조의 특성과 변화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12. 한상수, 恩津宋氏 集蔡村 이사동, 대전동구문화원, 동인문화사, 2006
  13. 박명덕, 영남지방 동족마을의 분파형태와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14. 박시익,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일빛, 1999
  15. 홍순인, 전통마을의 형성과 민가형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9
  16. 김철중, 문중조직을 통해서본 동족마을권의 공간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7. 국립지리원발행, 축척 1/5000, 1/25,000 지형도
  18. 최장순, 영동지역 농촌주택의 유형과 주거공간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1.9
  19. 김학범, 장동수, 마을 숲, 열화당, 1994
  20.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건축사연구, 도서출판 발언, 2003
  21. 신영훈, 김대벽, 한옥의 향기, 대원사, 2000
  22. 김형도, 전통취락의 주택 좌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3. 박문우, 입지론적 배경에 의한 마을과 민가의 좌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