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 농업.지역사회.취업활동 중심으로 -

Aspects of the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Korean Rural Area and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Resulting from the Activities

  • 양순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재해예방과) ;
  • 최규홍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재해예방과) ;
  • 강경하 (농촌진흥청 실용화 재단팀)
  • 투고 : 2009.09.27
  • 심사 : 2009.12.18
  • 발행 : 2009.12.30

초록

In the near future,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pected to be the majority of population living in the rural area, which is an aged and small-scaled society. Moreover, they are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sustaining the culture of agriculture and a rural communi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adjust and settle urgently as well as to develop a policy and social services for the adjustment and sett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 aspects of the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social, and job activ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Korean rural area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resulting from the l activiti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established from this study. First, married immigrant women participate in local social and agricultural activities in a Korean rural area more frequently than in their own country. However, the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y in a Korean rural area is lower than in their own country. Second, the main factor that prevents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activity in a Korean rural area is to carry out childcare, household chores, and farming at the same time. Their low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and job activity mostly results from their lack of fluency in Korean. Third, married immigrant women score higher i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y and job activity than in agricultural activ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갑현.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 대상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 공공도서관 및 평생교육관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원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나영.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사회적 지지와 사회 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두섭. (1998). 중국인과 한국인 이민자들의 소수민족사회형성과 사회문화적 적응: 캐나다 벤쿠버의 사례 연구. 한국인구학, 21(2), 144-181.
  4. 김영희. (2006). 자원봉사횔동의 활성화를 위한 인정 및 보상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이선.정해숙.김영주. (2008). 농촌 여성결혼이민자가족 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농림부.
  6. 박정은. (1994). 초기노인여성의 사회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7. 설동훈.이혜경.조성남.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8. 양순미. (2001).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양순미. (2006a).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적응 및 생활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중국, 일본, 필리핀, 이주여성 부부중심. 농촌사회, 16(2), 151-179.
  10. 양순미. (2006b).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적응정책의 모색. 한국자치행정연구, 5(5), 111-128.
  11. 양순미. (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재저술; 예측요인 효과분석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12. 양순미. (2009). 농촌 다문화가족의 농업 및 사회참여 활동프로그램 개발연구. 2008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보고서(농업공학부 편).
  13. 양순미, 정현숙. (2005).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종단적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27-46.
  14. 양순미, 유영주. (2002).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 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 성이 결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75-91.
  15. 양순미.임춘식.오윤자. (2008). 농촌 조손가족 조부모들의 손자녀에 대한 비용-보상적 가치관이 손자녀 양육 이후의 생활만족 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8(2), 145-178.
  16. 양순미.한춘희.양점남. (2009). 농촌 다문화여성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6(2), 253-284.
  17. 이순형.문무경.최연실.이숙정.정하나.우현경. (2006).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정착지원방안. 농림부.
  18. 조완규. (1993). 농민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제주발전연구원. (2006). 제주여성의 사회참여 실태와 활성화 방안(정책연구보고서).
  20. 전재은. (2006). 주 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정일선. (2004). 농촌 조손가정의 형성과 여성노인의 적응.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고령층의 정보문화 활성화 방안-사회참여활동을 중심으로. 정책연구보고서.
  23. 한국청소년 연구. (2004).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시민성 형성에 관한 연구.
  24. Berry, J.W. (1987). Finding identity: segregation, integration, assimilation or marginality?. In Leo Driedger(ed.), Ethnic Canada: Identities and inequalities, Toronto, Canada: Copp Clark Pitman, 223-239.
  25. Lemon, B.W., Bengtson, V. L. & Peterson, J.A.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4), 511-523. https://doi.org/10.1093/geronj/27.4.511
  26. Murphy, H. (2003). Exploring leisure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Some problematic issues in the case of northern ireland. Leisure studies, 22, 37-50. https://doi.org/10.1080/02614360306570
  27. Palmore, E. B. (1981). Social patterns in normal aging : Findings from the duke longitudinal study. Durham : Duke university press.
  28. Rowe, J. W. and Kahn, R. 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 Random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