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stume and the inner Symbolic Meaning expressed in the Stanley Kubrick's film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로리타(1962)>에 나타난 의상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정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이상례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cinema, the composite space art taking the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together, exhibits the actual life of the realities, thereby having a mutually close relationship to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ields and continuing to generate the fashion code as well as reflecting the image of the times. Especially, fashion style in movies delivers their image and atmosphere and becomes the means for containing the personality, spiritual world and inner thinking of the characters in the movie and inducing its plot.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clear that fashion fuses and shares with a diversity of genres such as movies and the like, becomes the cultural model that proceeds to create a new culture in relation to daily life and induces and presents the trend of contemporary fash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fashion style in the movie. Lolita is the fiction published by the Russian?American writer Vladimir Nabokov($1899{\sim}1977$) in 1954. It is the fiction that portrays the unethical love between Humbert, a middleaged man, and Lolita, a girl in her 10s. It was cinematized by the director Stanley Kubrick for the first time in 1962 and revived by the movie director Adrian Lyne in 1997. The character of Lolita has a younger look like a girl and looks immature in the movie directed by the movie director Stanley Kubrick and the movie director Adrian Lyne. But the character of Lolita has the commonality that she showed an incomplete female image of having a sexually freewheeling thinking. Thereby, this study sought to prove that the created fashion style of the character in the film not only became the clue to enable us to know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in the film but also helped the film develop effectively by performing a role of portraying the character in the movie. And it attempted to present that it becomes both the foundation for leading the fashion trend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he code of mass culture. Fashion style of Lolita in the movie appears to be reflected diversely in mass culture as well as fashion style in the contemporary times.

Keywords

References

  1. 님펫은 성적으로 조숙하거나 성적매력이 있는 소녀를 말한다. 프랑스 작가 피에르 드 로자르드 (Pierre de Ronsard)가 특히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 용어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의 소설 로리타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소설 로리타에서 주요 캐릭터인 9세~14세의 성적매력을 가진 소녀를 지칭하여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대중잡지에서는 때때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여성에 적용되기도 한다. "Nymphet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자료검색일 2008. 10. 07 자료 출처 http://enc.daum.net
  2. 치명적인 매력으로 남성을 유혹해 지옥으로 빠트리는 악녀, 남성을 섹스로 유인해 파멸시키는 탕녀를 말한다. 이명옥(2005), 팜므파탈, 다빈치, p.14
  3. 임재철(2001),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세계영화사 강의, pp.140~141
  4. 미장센의 한 요소인 비가시 스타일로 '중심화(centering)'라는 원리를 개발한 것으로 의상이나 인물배치, 세트 디자인, 카메라 앵글 등과 같은 요소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내러티브에서 관심의 주 대상으로 정의된 것을 프레임의 전경이나 중심에 오게 하는 원칙 임재철(2001),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세계영화사 강의, pp.147~148
  5. Gerda Buxbaum(2005), Hollywood sets the Trends, Icons of Fashion(2nd ed.), New York: prestel, p.54
  6. 20세기-폭스사의 별칭으로 도시보다는 농촌관객을 타겟으로 시대극과 의상극을 많이 만들어 경쟁스튜디오로부터 농담조의 별명이 붙여졌다.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역), 경문사, p.83
  7. 임재철(2001), 고전적 할리우드 영화, 세계영화사 강의, p.138
  8. 양숙희 . 한수연(2007), 영화의상에 나타난 사치성에 관한 연구, 복식, 57(4), p.90
  9. Elizabeth Leese(1991), Costume Design in the Movies, New York:Dover Publications, p.17
  10. Susan Hayward(1998), 영화사전, 이영기(역), 한나래, p.186
  11. Gerda Bauxbaum(2005), "T-shirts, Jeans, and Leather Jacket", Icons of fashion(2nd ed.), New York: prestel, p.76
  12. Gerda Bauxbaum(2005), "T-shirts, Jeans, and Leather Jacket", Icons of fashion(2nd ed.), New York: prestel, p.76
  13. The Fashion Book(New York: phaidon, 2001), p.35
  14. 김혜정 . 박지훈(2008), "아메리칸 뉴 시네마에 나타난 의상에 관한 연구", 패션비즈니스. 12(2), p.21
  15. Thomas Schatz(1995),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창호 . 허문영 (역), 한나래, pp.184~185
  16. David Bordwell(2000), 세계영화사, 주진숙(역), 시각과 언어, p.246
  17. Geoffrey Nowell(2005), 세계영화사, 이순호 外 (역), 열린 책들, p.550
  18. Elizabeth Leese(1991), Costume Design in the Movies, New York:Dover Publications, p.35
  19. 문자적 의미로는 '검은 영화'라는 뜻으로 미국 스릴러 영화 가운데 하나의 특정한 형식적 요소를 지닌 영화 를 지칭하기위해 1946년 프랑스 영화 비평가들이 만들어 낸 용어로 대개가 B급 영화들로 범죄스릴러나 갱 스터 영화의 하위장르로 언급된다. Susan Hayward(1998), 영화사전, 이영기 (역), 한나래, pp.422~423. 참조
  20. 김정은 .정흥숙(2000), "제2차 대전 후 조형예술과 Christian Dior의 복식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0(2), p.69
  21. 조규화 . 이희승(2004), 패션미학, 수학사, p.512
  22. Gerda Bauxbaum(2005), Woman or Teenager Icons of fashion(2nd ed.), New York: prestel, p.74
  23. 여성을 주제로 한 느와르 영화로 심리적 공포로서 여성이 표상되며 여성의 물신화, 혹은 여성의 평가절하 혹 은 양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물신화의 과정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오래 머무는 클로즈업, 매력적인 의상 등의 테크닉을 이용한다. John Belton(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이형식(역), 경문사, p.234. 참조
  24. "fashion history" 자료검색일 2007, 08, 20 자료출처 http://www. fashion-era.com
  25. 이예영(2006), "비키니 수영복에 관한 연구 - 1946년에서 1960년대 까지 미국을 중심으로-", 복식, 56(7) 증보판, p.147
  26. Gerda Bauxbaum(2005), Woman or Teenager Icons of fashion(2nd ed.), New York: prestel, p.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