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by Using Prototype of Hwasun Unjusa

화순 운주사의 문화원형을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개발

  • Jung, Hyung-Ho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Bae, Soo-Jeo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정형호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배수정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 Honam province, the cultural prototype are largely unknown to the people, also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are scarce, the artistic excellence, somewhat under evaluated, both in our country and internationally. It is imperative that we develop the modern design using this prototype. thereby apply it to many areas of cultural products. We should extend the dimension not only to the local festival but also to the mass production resulting in the commercial gains. The Unjusa Buddha festival for promoting the public relation would be greatly benefited by using the concept of the temple, the local prototype, by which we expect to create a ingenious textile design pattern, coinciding with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ancient material around Unjusa come to be the subject of our textile design by way of selecting the most remarkable ones of heritage among the materials of Unjusa. In the long run, the harmonious contrast of both traditional and modern image were sought in this study. Designed patterns were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CS3, a multi-purpose graphic program and were simulated in the towel for visual presentation. The design is of two kinds, the one is of the free style using combinations of reclining Buddha, stone Buddha, stone pagoda, and geometric patterns freely not to be standardized. The other one is mixing of lotus pattern, reclining Buddha, and geometric patterns. These designs were applied delicately on the towel, necktie and handkerchief, and the various colors were suggested by the 6 color ways. The brilli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al property should be noted by these designs and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a help to develop our cultural prototype and make a product of using the outstanding heritage.

Keywords

References

  1. 이병훈 (2005), 문화 속에 미래가 있다, 디자인하우스, p.26
  2. 기 소르망, "한국 대표할 이미지 심어야", 중앙일보, 2008. 9. 29, p.31
  3. 조문식(2002), "충주시 이벤트 관광상품 전략설정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논문집, pp.21-33
  4. 윤찬종 (2007),"한국 문화원형 3D애니메이션 콘텐츠 개발 육성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배영동 (2005),"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6, pp.39-54
  6. 안홍국 (1998), "사진표현에 따른 영 호남지역 석불의 비교연구",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1(1), pp. 159-167
  7. 이상헌 . 최기주 . 신철균(1997),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의 풍화현상에 대한 연구(II)", 보존과학회지, 6(1), pp.31-60
  8. 송효섭(1997),"운주사에 대한 기호학적 담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 pp.193-215
  9. 라경수 (1997), "雲住寺傳設의 연구", 한국언어문학, 38, pp.177-196
  10. 박종철 . 김영성(1995), "전남 화순 운주사(雲住寺)의 칠성석에 관한 천문학적 조사", 天文學論叢, 10(1), pp.109-125
  11. 이상준 . 천득염 . 정주성(1992), "운주사 다탑봉 석탑의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II", 大韓建築學會論文集, 8(1), pp.69-74
  12. 이혜성 (1985), "雲住寺 石佛樣式에 대한 考察", 朝鮮大學校 大學校 純粹美術學科 석사학위논문
  13. 황정우 (1994), "운주사 천불천탑의 미적 특성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대원 (2000), "雲住寺 石佛의 彫刻的 分析에 關한 硏究 : 운주사 석불의 조형미에 관하여",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5. 문소이 (2002), "운주사 이미지를 형상화한 주얼리 문화 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東新大學校 석사학위논문
  16. 안명숙(1993), "高麗時代 雲住寺 石佛에 나타난 服飾에 관한 硏究", 服飾, (21), pp.75-85
  17. "문화", 한자사전, 네이버 ,자료검색일 2008, 10, 10, 자료출처 http://hanja.naver.com
  18. 이윤선(2006), '신해양시대의 문화원형(Prototype)과 문화콘텐츠 트렌드', 남도민속연구, 12, p.176
  19. 김교빈 (2005),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6, pp.11-12
  20. 임주훈(2006), 소나무 숲과 천불 천탑이 어우러진 화순 운주사, 숲과 문화, 15(1), pp.42-47
  21. 소재구 (1988), 불탑, 강좌미술사, 1(1), pp. 136-154
  22. 정제규(1991), "운주사의 성립과 그 불교사상의 배경", 學術論叢, 14(1), pp.601-620
  23. 강형구 (1998), "운주사 그 신비로운 전설 . 설화", 삶과 지성, p.7
  24. "축제의 기능과 의미", 화순군청, 문화관광, 자료검색일 2008, 11, 08, 자료출처http://hwasun.go.kr
  25. 전남대학교 박물관 . 화순군(1991), 운주사종합학술조사, 금강출판사, pp.351-354
  26. "운주대축제의 현황", 화순군청 문화관광 ,자료검색일 2008, 11, 08, 자료출처http://hwasun.go.kr
  27. 담당자 인터뷰, 통화일자, 2008, 11, 28, pm, 03:00, 화순군청 문화관광 담당 고국석
  28. "운주대축제의 현황",p.6, 화순군청 문화관광 , 자료검색일 2008, 11, 08, 자료출처http://hwasun.go.kr
  29. 이태호. 천득염. 황호균(1994), 운주사, 대원사, pp.14-77
  30. 전남대학교 박물관 . 화순군(1991), 운주사종합학술조사, 금강출판사, p.89
  31. "운주사", 두산백과사전 ,자료검색일 2008, 10, 8, 자료출처 http://100.naver.com/100.nhn?docid=716813
  32. 고춘심 (2007), "운주사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요헨 힐트만 (1997), 미륵, 학고재, p.140
  34. 이태호. 천득염. 황호균(1994), 운주사, 대원사, p.41
  35. 곽태기 . 양수영(2001), "Adobe Illustrator 9.0을 이용한 의류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9(3), p,162
  36. 오희선. 이정우(1996), 텍스타일 디자인론, 교학연구사
  37. 대한민국 공개특허30-2008-0052515(Design 1은 의장등록 하였음)
  38. 대한민국 등록특허30-2008-0042786(Design 2는 의장등록 하였음)
  39. 대한민국 등록특허30-2008-0042786(Design 3은 의장등록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