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etween Record Management and Management Quality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ISO 15489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경영품질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경영평가모델과 기록관리표준에 입각하여 -

  • 정기애 (중앙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 김유승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In the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records have an even closer relationship with business processes and become a core element of organizations' managerial activities. In practice, management is represented as congregation of business outcomes.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terms of organizations' compliance, knowledge-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academic discussion on a between records management and managerial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has the notion that this should be defined and acknowledged for public institutions' effective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ISO 15489, the study discusses a close between records management and management quality. The records management elements of the Malcolm Baldrige model and the managerial quality elements of ISO 15489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both common and neglected elements were explored in terms of records management.

디지털지식정보 환경에서 기록은 업무처리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조직의 경영활동에 핵심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실제, 경영은 업무 성과물의 집합체로 표현되며, 조직의 컴플라이언스, 지식경영,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기록관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영 및 기록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와 경영활동 간의 실제적 상관성을 밝히는 학술적 논의는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발전을 위해, 양자간의 상관성에 대한 규명과 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 아래, 현 공공기관 경영평가모델의 토대가 된 말콤 볼드리지 모델과 기록관리표준을 중심으로 기록관리와 경영품질 및 성과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경영평가모델 평가지표 속의 기록관리 요소와 기록관리표준에서의 경영품질 요소를 추출 비교분석하며, 이를 통해 상호 공통된 요소와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요소들을 기록관리 측면에서 고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06a. "기록관리 국가 표준의 체계적 확산 방안". [대전]: 국가기록원.
  2. 국가기록원. 2006b. "기록관리 국가 표준 KS X ISO 15489 해설". [대전]: 국가기록원.
  3. 김선명. 2006. 공공기관 평가에서 균형성과표(BSC)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3(2):291-319.
  4. 김수욱, 곽영환, 최강화. 2005. 기업의 품질성과와 재무성과의 관계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16(2):153-179.
  5. 김연성. 박영택, 서영호 외. 2002. "경영품질 베스트 프랙티스". 서울: 법문사.
  6. 김인중, 정윤정, 이철원. 2002.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위험분석의 보안 요소 연구. "2002년도 한국통신학회추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26.
  7. 김효근. 2009. 성과지향적 통합 지식경영 방법론으로의 진화; P=TC2. KM&ECM Conference 2009. 2009년 4월 1일. [서울: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8. 설문원. 2005. 국가기록관리 표준 정비의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5(1): 137-169.
  9. 이상철, 권영주. 2008. 경영성과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유형 분석. 한국행정학보, 42(3):143-164.
  10. 이정연, 이성욱, 홍사선. 2007. 말콤볼드리지 품질성과 지표의 BSC 적용가능성에 대한 실증연구. 관리회계연구, 7(1): 45-70.
  11. 이창길, 최성락. 2008. 정부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의 후광효과(Halo Effect)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 245-260.
  12. 정기애, 김유승. 200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1):231-257. https://doi.org/10.3743/KOSIM.2009.26.1.231
  13. 정기애, 남영준. 2008. KM기반의 기록관리 및 일반 정보관리 통합화 연구: 공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23-43.
  14.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7. 공공기관 혁신: 지배구조개선과 종합관리대책. [서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15. 정성희. 지식경영 프로세스와 경영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12: 131-148.
  16. 조송암. 2008. 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민관 연계 표준화 협력방안. 2008년도 기록관리 세미나 발표자료.33-62. [대전: 국가기록원].
  17. 조택. 2007.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지표 개편안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4(3): 285-313.
  18. 차정현, 김수욱, 곽영환. 2008. 경영품질 요인과 기업성과 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19(1): 105-124.
  19. 한국표준협회. 2008, Global Standard 품질경영시스템 기준.
  20. Song-ahm Cho, & Bustelo, C. 2009. Standardization and records management. ISO TC46/SC 11 국제회의 발표자료, 2009. 4. [Spain: Infor@rea].
  21. Goulding, G. 2009. 뉴질랜드의 RMS 표준화 현황. 2009년 기록관리 표준포럼. [대전: 국가기록원].
  22. Kaplan, Robert, & Norton, David. 1998. 가치실현을 위한 통합경영지표 BSC. 송경근 외. 서울:한언출판사.
  23. Reed, Babara. 2009. 호주의 EDRMS 표준화 현황. 2009년 기록관리 표준포럼. [대전: 국가기록원].
  24. Lemieux, V. L. 2004. Managing Risks for Records and Information, ARMA International.
  25. Niven, Paul. 2008.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Hoboken,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6. Shepherd, Elizabeth, Yeo, & Geoffery. 2003. Managing Records: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27. Sundberg, Hakan, Wallin, & Patrik. 2007. “Recordkeeping and Information Architecture:A study of the Swedish financial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Information System,3(1): 31-45.
  28. Upward, Frank. 1997. Based on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the records continuum developed. Manash University, 278-281.
  29. Wilson, Darryl, & Collier, David. 2000.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causal model." Decision Sciences, 31(2): 361-390. https://doi.org/10.1111/j.1540-5915.2000.tb01627.x
  30.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2003. DIRKS: A Strategic Approach to Managing Business Information: Part 1-The DIRKS Methodology: A Users Guide. [online] [cited 2009.8.7]. .
  31. Vermont State Archives & Records Administrationm. 2008. Records management best practice for all public agencies. October 1. [online]. [cited 2009.7.20]. .
  32. 한국표준협회. "KS X ISO 15489-1:2007 문헌정보-기록관리-제1부: 일반사항". [online].
  33. 한국표준협회. "KS X ISO/TR 15489-2:문헌정보-기록관리-제2부: 지침". [online].
  34. 한국표준협회. "KS X ISO 22310 문헌정보-표준 입안자를 위한 표준에서의 기록관리 요건 서술지침". [online].
  35. 한국표준협회. "KS X ISO 23081-1 문헌정보-기록관리과정-기록메타데이터-제1부: 원칙". [online].
  36. 한국표준협회. "KS X ISO/TS 23081-2 문헌정보-기록관리과정-기록메타데이터-제2부: 개념과 실행 고려사항". [online].
  37. 한국표준협회. "KS X ISO/TR 26122:2008 문헌정보-기록을 위한 업무과정 분석". [online]
  38. 한국표준협회. "KS Q ISO 9001:2009 품질경영시스템-요구사항". [online].
  39. 한국표준협회. "KS Q ISO 14001:2004 환경경영시스템-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online].

Cited by

  1.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WBS vol.41, pp.1, 2010, https://doi.org/10.1633/JIM.2010.41.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