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DMB 기반의 긴급재난 방송 서비스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기상이변에 의한 자연재해나 방사능 유출, 가스폭발 등에 의한 인재는 예보방송도 중요하지만 사고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 현재의 상황 정보를 전달하고 행동지침 요령을 전달하여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재난 지역 및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긴급 재난 방송 또한 매우 중요하다. 지상파 DMB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개인 휴대 단말기와 결합된 형태로 보급되어 보급률 및 사용률이 매우 높으며 이동 중에도 별도의 비용 없이 양질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 재난 방송 서비스를 시행하는데 있어 가장 최적화 된 모델로 평가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내 재난방송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상파 DMB를 이용하여 어떻게 긴급 재난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지 서비스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또, 향후 긴급 재난 방송이 우리 생활에 끼치는 영향과 앞으로의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7.0026, 초단파 디지털라디오방송(지상파 DMB) 비디오 송수신 정합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4년 8월
  2.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 KO-07.0024, 초단파 디지털라디오방송 송수신 정합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3년 10월
  3. ETSI EN 400 401 V1.4.1, Radio Broadcasting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ETSI, January 2006
  4.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KO-07.0035,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바아송(DMB) 교통 및 여행정보(TTI) 서비스전송표준
  5. ETSI TS 101 498-1 V1.1.1, Digital Audio Broadcasting(DAB); Broadcast website; Part 1: User application specification, 2000년 8월
  6. ETSI TS 101 498-2 V.1.1.1, Digital Audio Broadcasting(DAB); Broadcast website; Part 2: Basic profile specification, 2000년 8월
  7. 이승엽, 박상현, 김경미, 'DMB 2.0 서비스', 방송공학회지, 제14권 1호, pp.17-25, 2009년 3월
  8. 권대복, '지상파 DMB 재난방송 표준화', KBS 방송기술연구센터, 2006년 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