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제40권1호
- /
- Pages.235-260
- /
- 2009
노인가구의 소비불평등 분석
Consumption Inequality of Elderly Households
초록
일생동안 누적된 불평등이 극대화되는 것은 노년기이며, 특히 노년기에는 소비위주로 일상생활이 구성되기 때문에 소비의 관점에 입각해 노년기 불평등 구조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노년기 소비불평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가구의 총소비지출 불평등은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 차량유지비 등과 같이 현대소비문화를 반영해주는 비목의 지니계수 감소경향과 더불어, 우리사회가 고령화되어 감에 따라 노인들의 소비문화가 보다 대중성을 띄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 비목들의 총소비지출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식료품비와 같은 생활필수적인 비목은 지니계수, 불평등 기여도 등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건의료비의 지니계수는 감소하다가 최근에 접어들며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교육관련 지출의 불평등성이 최근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전반의 교육불평등 심화 경향이 노인가구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sumption inequality of Korean elderly households. The justification for analyzing consumption inequality during old ag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e to the rapid growth of elderly population, the intra generational inequality of older people will bring greater consequences to the society in the coming years. Second, inequality is more actualized during old age when income stops playing a major role and the everyday lives are based mostly on consumption activities. For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2nd, 5th, 7th and 9th wave of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otal consumption inequality of elderly households is gradually decreasing after the economic crisis. Also, the gini coefficient of consumption items representing modern consumption culture, such as expenditures on eating out and car maintenance is decreasing. However, the inequality contribution rate of such items is continually rising, indicating that whereas the elderly households in general are being assimilated to the mainstream consumption culture, the disparity between classes is continually expanding. Second, gini coefficient and inequality contribution rate of the essentials such as food and housing has decreased indicating that basic livelihoods in general has risen. Third, the inequality of education expenditure is increasing after the year 2000 which implies that the problem of education inequality in general might have an effect on elderly household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