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제40권2호
- /
- Pages.145-182
- /
- 2009
문화복지 개념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 휴먼서비스 실천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for Build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Welfare
- 투고 : 2009.04.30
- 심사 : 2009.06.15
- 발행 : 2009.06.30
초록
본 연구는 문화복지의 개념정립을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문화영역과 사회복지영역 실천가들의 문화복지에 대한 인식을 수정근거이론에 입각한 질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천가들은 문화복지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갖고 있지 못하며 다양한 인식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문화복지라는 용어 자체를 부정하는 이질형, 문화복지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는 부재형, 문화복지를 자신이 속한 전문영역의 하위영역으로 보는 층화형, 문화와 복지를 구분하지 않는 일체형, 문화복지라는 고유영역이 존재한다고 보는 고유형이다. 이와 같이 문화복지에 대한 이해의 편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실천가들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사람들의 문화향수 기회를 강조하는 공통된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의 견해를 정리하면 문화복지란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좁게는 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넓게는 모든 사람들의 문화적 감수성,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잠재역량을 높이기 위한 직·간접적인 일체의 문화예술적 노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문화복지 실천가들의 인식을 통하여 실제적인 문화복지 개념을 도출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문화복지 관련 연구가 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갖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build up the concept of culture welfar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practitioners' understanding about culture welfare in culture and social welfare by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actitioners did not understand the concept of culture welfare clearly, and revealed being in confusion. Their understandings about culture welfare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1) a type denying a terminology, culture welfare itself, 2) a type without awareness about culture welfare, 3) a type regarding culture welfare as sub realm in the special domain of culture and social welfare, 4) a type undividing and integrating culture and social welfare, 5) a type recognizing an independent domain of culture welfare. But despite of large deviation like this, the practitioners were common to give emphasis on giving opportunities to everyone in the enjoyment of culture, for heightening the quality of life. Summing up, culture welfare is defined as 'all direct and indirect effort in culture and arts, in a narrow sense to economical vulnerable class, and in a broad sense to everyone, to raise cultural susceptibility, creative thinking, and potential competence for realization a life worthy of ma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establishment the definite and practical concept of culture welfare through a deep analysis the practitioners' understanding. This will give the theoretical basis to the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in culture welfa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