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김현경 (호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전우택 (연세대학교 정신의학과)
  • Received : 2009.05.07
  • Accepted : 2009.06.11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rrelation and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in 7year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05 North Korean refugees in 7 years with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 social variables, psychological trauma in North Korea and stress experience in South Korea.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was analysed. Result indicated that hope for future, perceived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had influence on the total quality of life in the South. And total quality of life affected PTG, especially emotion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early 3years living in the South affected PTG.. Additionally not only emotional but also soci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also affected PTG with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South in 7 years. Finally, social and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s for North Krean refuge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남한에 장기 거주하는 북한 이탈 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및 스트레스와 같은 역경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Posttraumatic Growth)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남한 거주기간이 평균 7년 이상 되는 탈북 주민 105명을 대상으로 PTG의 예측 요인으로서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삶의 질이 외상 및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조절하여 PTG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 개인이 PTG에 이를 수 있는 조절변수를 예측해 볼 수 있는 탐색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남한 이주 7년차인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인식된 만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이주기간에 따른 삶의 질과 PTG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초기 이주 3년 정도에까지는 총 4개의 삶의 질 영역 중 심리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의 삶의 질 향상이 PTG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제시되었으나 그 두 개의 영역 중 특히 심리적 영역이 PTG에 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주 7년이 경과된 상태에서 조사된 결과로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영역 모두가 PTG에 긍정적인 상관은 있으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중 특히 심리적 영역 뿐 아니라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된 삶의 질 향상이 PT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지원으로 연구 실행되었으며(KPI-08-001-B0814001), 호원대학교 일부지원으로 연구 및 게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