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영주귀국 동포의 주거생활사 - 안산시 고향마을 거주 강제이주 동포를 중심으로 -

Housing History of Sakhalin Returnees in Ansan Gohyangmaeul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발행 : 2009.08.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housing history of Sakhalin returnees in Ansan Gohyangmaeul since leaving hometown under the Japanese ruling period, who experienced two international migration for one's life. Face to face interview had been done with 20 returnees in the community center of Ansan Gohyangmaeul during October to December, 2008.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housing the respondents lived in major life changes used to guide the individual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life as well as housing histories were differed by the reason to move into Sakhalin, which still influenced the returnee' life up to now. The housing they had lived changed from barracks like a training camp, to Japanese small wooden cottage/row house, and then Russian brick house/ apartment. Housing alteration and addition and rebuilding were common to renew the old existing house. The boundary of residing area was mostly limited to the first residing location under soviet governing system throughout one's life without a long distance move. Housing satisfaction was very high in Gohyangmaeul 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housing facilities and residence itself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housing management, compared to former residence in Sakhalin. Economic and emotional aspects of life satisfaction were also high during about 8 years of living in the apartment. Forced movers still require the compensation on hand to either Korean or Japanese government no matter the amount. Social integration to the Korean community would be one of the main issues to new returnees as well as the already returned. In-depth interviews of case study need to reveal the unique housing experience of the forced mover according to the type of leaving hometown by oneself or by parents, and to returned region and time to motherlan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민속박물관(2001), 러시아 사할린.연해주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 김민영(2000), 사할린 한인의 이주와 노동, 1939-1945. 국제지역학회. 국제지역연구, 4(1), 22-51
  3. 김종수(1997), 사할린 교포 2,3세들의 운명과 소망. 교민논총, 1, 175-183
  4. 김주자(2007), 사할린 귀환동포의 생활 적응 실태연구: 노인시설 거주자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춘경(1997), 러시아 사할린 한인들: 생활과 운명의 비극. 교민논총, 1, 150-166
  6. 박수호(1992), 사할린한인 역사통계. 재외한인연구, 2, 163-174
  7. 반민족문제연구소 역(1992), 사할린은 통곡한다: 사할린조선인 학살사건. 도서출판 계명문화사
  8. 배상우(2006), 사할린영주귀국 시설노인의 생활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산사할린영주귀국동포지원사업소(2009), 사할린 영주귀국자 고향마을 아파트 현황
  10. 이광규(1998), 러시아 연해주의 한인사회. 재외동포재단총서 1, 집문당
  11. 이성환(2002), 사할린 한인문제에 관한 서론적 고찰. 국제학논총, 7(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15-231
  12. 이영심.조재순(2004). 러시아 거주 고려인 주거에 관한 연구: 연해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지, 15(1), 51-62
  13. 이영심.조재순.이상해.정재국(2004),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의 주생활에 관한 연구: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8), 95-112
  14. 이은숙.김일림(2008), 사할린 한인의 이주와 사회.문화적 정체성: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문화역사지리, 20(1), 19-33
  15. 이정희(1997), 러시아 사할린주 한인의 실태연구. 영남정치학회보, 7, 257-314
  16. 장윤기(1998), 한 많은 섬 사할린. 대구: 도서출판 그루
  17. 정근식.염미경(2000), 디아스포라, 귀환, 출현적 정체성: 사할린 한인의 역사적 경험. 재외한인연구, 9, 237-280
  18. 정낙훈(2001), 사할린 영주귀국 고령동포의 건강양태에 관한 연구. 가천의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천수(2007), 사할린 영주귀국동포 생활상 및 사회복지지원실태에 관한 연구: 안산 고향마을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한구(2007), 러시아의 한인들: 1864-2002. 세종정책연구, 3(2), 219-247
  21. 주블라디보스톡 대한민국총영사관(2005), 러시아 극동.동시베리아 지역별 개황
  22. 최종혁(2003), 사할린 귀환동포의 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논문집, 42, 1-23
  23. 최한우(2004), 통계로 본 러시아 고려인 사회. 월간한민족, 2(7), 56-62
  24. 호경임(2002), 사할린 귀환동포의 생활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홍형옥.양세화.전남일(2009), 생애구술을 통해 본 주거의 의미와 사용 I: 주거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1), 45-60
  26. 황현옥(2004), 집단미술치료가 사할린 귀환동포의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황정태(2002), 사할린 귀환동포의 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겨레신문. '징용 한 씻고 편히 쉬소서' 60년만에 사할린 동포 현지 위령제 치러. 2005. 8. 2
  29. 한겨레신문. 일 '사할린 포로나이스크 한인 학살'. 2006.9.8
  30. 대한적십자사(2009), 재외동포사업. www.redcross.or.kr/intro/special/special 04.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