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콘텐츠에서의 성별언어에 대한 인식

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on Gender for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박덕재 (광운대학교 영어 영문학과)
  • 발행 : 2009.08.28

초록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연구 중에서 언어와 성의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콘텐츠와 교사-학생의 인식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외국어 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성별언어의 역할을 연구하였다. 성별언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콘텐츠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 및 교사, 학생의 소통은 언어습득의 효과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19명의 교사와 71명의 학습자와의 인터뷰,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는 89.4%가 여성언어가 존재함을 인정하였고, 학생은 49.6%가 성별언어에 대하여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거보다 언어가 중성화되고 았으며 굳이 남녀 성별언어를 구별하지 않는 이유는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에 기언하는 사회적인 영향으로 보고 있었다. 그러므로 문화를 통한 언어교육이 교육콘텐츠의 역할이므로 경우와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직 편향된 여성의 지위, 역할, 언어 등이 교재내용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는 교사, 학생들의 이해와 수용이 필요하고 교육콘텐츠 개발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부분이다.

This paper focuses on gender studies with respect to language education for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It also attempts to view the role of gender as exerting influence o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nd surveys KFL teachers' awareness of the role of gend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conceivable that teachers who are aware of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will be able to take these into account in their teaching; in doing so they will be more effective in their teaching than if they were to teach in ignorance of these differences. The survey for the teachers' awareness of gender difference was conducted through teachers' discussion as the follow-up measure of the questionnaire. A few teachers do not have a clear idea about the importance of gender differences in language teaching, but the majority have cognizance of the matter. For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1 subjects, consisting 37 intermediate KFL students and 34 advanced KFL student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reveals that 50.4% subjects use their words and intonation without recognizing the gender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49.6% subjects recognize the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language use. The result should be adopted as a sociolinguistic factor for the contents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J. Sunderland, "Review article: Issues of language and gender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Language Teaching, Vol.33, No.4, pp.203-223, 2000b. https://doi.org/10.1017/S0261444800015688
  2. 한국여성개발원, 남녀평등의 이해, 한학문화, 1997.
  3. H. D. Brown,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New York: Addition Wesley Longman. Inc. 2000.
  4. R. Lakoff, Language and Woman's Place, New York: Harper & Row, 1975.
  5. J. Coates and D. Cameron, Women in their speech communities, New York: Longman.1988.
  6. 김선희, "여성어에 대한 고찰", 목원대 논문집, 제19권, pp.111-128, 목원대학교, 1991.
  7. 이석규, 김선희, "남성어.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연구, 제2권, 목원대학교, 1992.
  8. 임홍빈, "국어의 여성어 연구- 국어사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 1993.
  9. 김선희, 우리 사회 속의 우리말-여성어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사, 2001.
  10. D. Tannen, Gender and Discours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11. J. Sunderland, "New understandings of gender and language classroom research: Texts, teacher talk and student talk," Language Teaching Research, Vol.4, No.2, pp.149-173, 2000a. https://doi.org/10.1177/136216880000400204
  12. 최혜정, 국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표현연구, 배재대 석사학위논문, 1999.
  13. 안상수, 사회적 의사소통 연구: 성차별적 언어표현 사례조사 및 대안마련을 위한 연구, 국립국어원.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