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계열 분석을 통한 송도해안의 해안사구 이동경로 분석

Analyzing Sand Transfer Path by Songdo Bea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 한충목 (울산과학대학 공간디자인학부) ;
  • 김용석 (울산과학대학 공간디자인학부)
  • 발행 : 2009.08.28

초록

국토의 형상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해안 지역은 그 형태와 특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 대규모매립 공사와 크고 작은 해안 지역 개발 등으로 인하여 적절한 이용계획을 수립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해안사구는 관광 및 생태학적 측면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지역적 범위를 부산 송도해안으로 결정하였으며, 다년간의 RTK-GPS 측량 자료를 근거로 시계열적 분석을 통하여 해안사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송도해안의 경우, 해안선의 길이는 평균 약 620m, 면적은 약 $31,846m^2$으로 나타났다. 송도 해안은 좌우측에 방파제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모래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매년 일정양의 양빈으로 인하여 꾸준히 해안 사구가 퇴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회 측정 결과 해안사구는 좌우측면이 침식되고 중앙부분이 퇴적되어 해안 사구가 전반적으로 앞으로 전진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coastline area, which was the important to decide the shape of the national l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ing its shapes and features. We have some trouble to make the appropriate use-plan, because of the huge land to be reclaimed from the sea and developing large and small coast areas. Of them the coastal sand dune plays a definite primary role in the side of tourism and ecology. But there is not enough study for that. Busan Songdo coast is decided as an object of this study. We would analyze transfer path of the coastal sand dune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with RTK-GPS survey for many years. In case of Song do coast, the mean coastline length is approximately 620m, the area is approximately $31,846m^2$. Breakwaters are set up in right and left sides in Song do coast. it can make the sand dune be a minimum. So the coastal sand dune is steadily deposited with a certain beach nourishment of every year. As a result of 7 times survey, both sid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 eroded. It turns out it is going ahead over all as the center of the coastal sand dune is deposit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원경, 윤재옥, 황준, 이진오, "우리나라의 연안 침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제14권, pp.227-232, 2003.
  2. 양인태, 한성만, 최성필, "해도를 이용한 해안 지형의 변화량 산정",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03-110, 2002.
  3.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항공사진을 이용한 장기 해안선변화 조사",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pp.10-17, 2004.
  4. 위광재, 정재욱,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해안선추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09-215, 2006.
  5. R. Gutierrez, C. James, C. Rebecca, L. Tiffany,R. John, "Precise Airborne LIDAR Surveying For Coastal Research and Geohazards Applications,"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XXXIV-3/W4 Annapolis, 2001.
  6. D. Kaichang, W. Jue, M. Ruijin, and L. Ron,"Automatic Shoreline Extraction from High-Resolution IKONOS Satellite Imagery," ASPRS 2003 Annual Conference Proceedings, pp.105-115, 2003.
  7. G. Sithole and G. Vosselm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filter algorithms for bare-Earth extraction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point cloud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pp.85-101, 2004.
  8. A. Brzank, P. Lohmann, and C. Heipke, "Automated extraction of pair wise structure lines using airborne laser scanner data in coastal areas," ISPRS WG III/3, III/4, v/3 Workshop Laser scanning 2005, Enschede, the Netherlands, pp.12-14, 2005.
  9. T. Kajimura, S. Sato, M. Nakamura, and M.Isobe, "Sand movement and long-term beach evolution in an alluvial system composed of the SAME river and the NAKOASO coast," Japan Soc. of Civil Eng., No.691/II-57, pp.121-132, 2001.
  10. G. Sithole and G. Vosselm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filter algorithms for bare-Earth extraction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point cloud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pp.85-101, 2004.
  11.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지리정보구축연구, 2004.
  12. 국립해양조사원, http://www.ngi.go.kr

피인용 문헌

  1. Analysis of Ilsan Beach Shoreline Change Using Multiple Observation Information vol.13, pp.1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574